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뉴스
"
공동
"(으)로 총 10,08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가 나서니…생리혈을 젤로 바꾸는 '생리대'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해초에서 유래한 성분으로 만들어 인체에 안전하다. 미국 버지니아공대가 이끄는
공동
연구팀이 해초에서 추출한 생분해성 분자를 이용해 월경혈을 젤로 만드는 생리대와 생리컵을 만들고 그 결과를 10일 국제학술지 셀(Cell)의 자매지인 매터(Matter)에 발표했다. 기존 생리대에는 파우더 ... ...
정부 "2026학년도 의대 정원에 전공의 의견 반영"…의대생은 국시 거부 움직임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단축까지 허용하는 방안을 내놨지만 학생들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손정호 의대협
공동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원하는 바는 이미 의대협 대정부 요구안을 통해 전달했다"며 "앞으로 일어날 사태는 모두 정부의 결정에 따른 것이고, 문제 해결을 원한다면 정부는 조속히 결단을 내리기를 바란다"고 ... ...
국내 리튬 광상 첫 종합 조사…"개발은 불확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현재 1조원 정도 펀딩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진 외국 회사가 광업권을 가진 국내 업체랑
공동
탐사를 진행 중이다. 그래서 연구원이 자체적으로 매장량 평가까지 해야 하는지는 고민 중이다. 해당 회사의 요청에 따라 지질연에서 매장량 평가를 진행할 수도 있다. 매장량을 평가하려면 300m 정도 깊이로 ... ...
[사이언스게시판] KISTI, 2024 DATA‧AI 분석 경진대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교육부와 함께 10일 2025년도 기초연구 사업에 대한 현장 의견 청취 간담회를
공동
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간담회는 지난 6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심의·확정된 '2025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을 바탕으로 내년 기초연구사업 방향성을 공유하고 현장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 ...
알츠하이머 유발 단백질 엉킴 제거하는 세포 메커니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는 묵인희 의대 교수와 박종찬 성균관대 교수
공동
연구팀이 알츠하이머병이 진행되는 중 뇌 주변에 축적된 독성 단백질 덩어리(플라크) 주변에서 일어나는 미세아교세포의 식균작용의 새로운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2배 빠르게 자가치유되는 고성능 가시광선 반응 3D 프린팅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유영창, 안도원 선임연구원 연구팀 권민상 서울대 교수, 백현종 부산대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기존 기술보다 100배 정밀하고 5배 빠르게 출력하면서도 2배 빠르게 자가치유 되는 가시광선 활용 다기능성 3D 프린팅 소재를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팀이 이번에 개발한 신소재는 ... ...
전 세계 한인 과학기술인 모였다…"기후변화·바이오·AI 등 논의"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주자"라며 "한인 연구자들의 귀중한 지식과 경험이 국내 연구 현장에 확산할 수 있도록
공동
연구와 인력 교류의 기회를 적극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
9년 지연된 국제핵융합, 민간에 따라잡힐라…"여전히 중요한 시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MIT) 핵융합 연구 조직에서 분사한 스타트업인 커먼웰스퓨전시스템(CFS)의 브랜든 소봄
공동
설립자는 "물리학 및 재료 과학 분야의 투자와 발전 덕분에 민간 핵융합 노력이 ITER가 목표로 했던 많은 기술적 이정표를 먼저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핵융합 민간 기업들은 지난해에만 전 ... ...
바이러스는 죽어서 면역에 흉터를 남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바이러스 치료 이후에도 면역에는 염증성 후성유전학적 변화가 남아 있음을 확인했다.
공동
제1저자인 고준영 연구원은 “항바이러스제 치료는 간암 등 합병증 발병 위험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지만 면역에 남은 흔적이 회복된 환자의 면역 체계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 ...
"몸집 커진다고 뇌가 커지는 것은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분석이다. 크리스 벤디티 영국 레딩대 진화생물학과 교수 연구팀은 더럼대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뇌 진화와 관련한 수세기 동안의 논쟁을 명확히 하기 위해 동물 1500종의 뇌와 신체 크기에 대한 데이터세트를 수집·분석하고 연구결과를 8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생태 & 진화’에 발표했다.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