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뉴스
"
그림
"(으)로 총 2,102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리포트] 특수문자·
그림
에서 시작해 AR로 진화하는 이모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7.13
일러스트 이창우, 디자인 최연지/어린이과학동아 제공 가족이나 친구와 나눈 메신저 창이나 인터넷 댓글에서 이모지를 통해 다양한 표정으로 울거나 웃을 수 있 ... 일러스트 이창우.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13호(7.1자) 지금 인터넷은
그림
문자 시대? 이모지(emoji) ... ...
아기별은 자기장 ‘그물’의 방해를 뚫고 자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의해 수축하면 자기장도 빨려 들어가 마치 모래시계 모양의 자기장이 형성된다(아래
그림
). 이 모래시계 모양의 자기장 중심부에 아기별이 만들어진다. 아기별은 주변 물질을 빨아들이며 점점 자란다. 분자구름에서는 자기장 방향으로 물질 이동이 쉬워 자기장에 수직하며 편평한 원반 구조가 먼저 ... ...
AI가 기계 고장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영상이다. 육안으로는 차이를 구분할 수 없다. 머신 비전으로 두 영상을 비교하면 아래
그림
처럼 진동이 강하게 나타나는 부분의 색이 바뀌어 표시된다. 기계연 제공 ... ...
자연에 없는 '마법의 물질’을 설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8
미확인비행물체(UFO)를 떠올리게 하는 마름모 꼴의 비트맵 무늬가 보였다. 눈에는 단순히
그림
을 희미하게 그린 무늬로 보였지만, 실제로는 최적화시켜 설계한 미세한 메타구조가 인쇄돼 있어 8~12GHz(기가헤르츠)의 주파수를 갖는 X밴드 모든 영역의 마이크로파의 반사도를 크게 낮췄다. X밴드 ... ...
알츠하이머 치매 유발 노폐물 치우는 '경찰세포'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8
PET)으로 검사해 보면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은 초반에 급격히 증가하지만(아래 세
그림
), 타우 단백질은 시간에 따라 서서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는 이 현상을 이용해 치매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를 2016년 세계적인 학술지 뉴런에 발표했다. 사진제공 UC버클리 ... ...
[달 탐사 패러다임 바뀐다]아웃소싱의 시대(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mars)?’가 흘러나오고 있을 것이다. 팰컨헤비에 실려 우주로 향할 때 틀었던 곡이다. 이
그림
은 26일 현재 머스크의 트위터 프로필 사진이다. 여러 모로 머스크의 아바타를 상징하는 스타맨은, 머스크와 스페이스X가 지향하는 목표를 잘 보여준다. 바로 화성으로 대표되는 심우주 탐사다. 우주 탐사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람마다 '약발' 다른 이유는 장내미생물
2019.06.25
게놈에서 특정 약물을 대사하는 효소의 유전자를 찾는 방법을 도식화한
그림
이다. 게놈을 5만1000개 조각으로 쪼개 각각을 대장균(E. coli)에 넣어준 뒤 약물(여기서는 딜티아젬)의 농도변화를 본다. 만일 농도가 줄었다면 그 대장균에 넣은 게놈 조각에 대사 효소 유전자가 들어있는 것이다(아래). ... ...
[이정아의 미래병원] 소음 적고 민첩한 닥터드론 한국에선 뜰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6.20
교수팀이 개발한 1인승 환자 수송용 드론(아래쪽)과, 이 드론이 비행하는 모습을 상상한
그림
(위). 칼텍 제공 응급환자 이송을 위해서는 최소 한 명 이상 탑승이 가능해야 한다. 모리 가리브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구겐하임 항공연구소 항공및생체공학과 교수팀은 2017년 시속 약 241km 속도로 응급환자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PdCYP79D16 유전자의 표적 DNA 영역에 달라붙지 못하게 된 것이다. 이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그림
을 보면 ‘과연 분자 생물학이구나’라는 생각이 절로 든다. 사실 아미그달린 자체가 독성분자는 아니다. 벚나무속 식물의 씨에는 아미그달린과 함께 이를 분해하는 효소인 베타-글루코시다제(beta ... ...
휘어지는 기판을 센서로...‘판박이 스티커’ 닮은 전극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원하는 기판 위에 이 전극을 옮기는 기술인 ‘전사 프린팅’ 공정을 활용했다. 마치 미리
그림
을 그린 뒤 ‘판박이 스티커’를 이용해 피부 위에 옮기는 것과 비슷하다. 전사 프린팅 공정은 기존에도 널리 이용됐지만, 최종 기판이 평평할 때에만 활용할 수 있어 한계가 많았다. 연구팀은 내부에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