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큰길
한길
대도
가로수 길
뉴스
"
대로
"(으)로 총 1,442건 검색되었습니다.
[팔라우 힐링레터] 청소 받으면 몸 색깔 변하는 서전피쉬
2018.01.07
해 준다. 체색이 변하는 서전 피쉬처럼 올해 우리도 신년에 기도한 것처럼 원하는
대로
전부 다 바뀌어 질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제임스 정 ... ...
‘무료 찬장 캠페인’ 이웃과 나누는 공짜 음식과 생필품
팝뉴스
l
2018.01.07
팝뉴스 제공
대로
변에 놓인 작은 찬장. 속이 훤히 들여다보이고 잠겨 있지 않아 누구든 원하는 물건을 꺼내갈 수 있는 특별한 찬장에 관한 이야기가 16일 엠라이브(MLive.com) 등 미국 언론을 통해 소개되어 누리꾼들의 관심을 끌었다. 아칸소 주의 한 비영리 자선단체가 주축이 되어 지난 해 5월부터 ... ...
[그것을 알려줄개 ③] 본능과 이성 사이, 개는 억울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5
수천 년 전 인간에게 종의 운명을 맞긴 개는 살아남기 위해 또다시 인간이 원하는
대로
선택할 겁니다. 그 때까지는 서로 조금 참는 것이 어떨까요? 싸움은 피하는 것이 상책이니 말입니다 ... ...
신진 과학자 지원 대폭 늘린다…과기정통부 2018 연구개발 사업 종합시행계획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8.01.01
‘최초 혁신 실험실’을 525억 원 규모로 신설해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 시절 공약했던
대로
젊은 과학자들이 처음 실험실을 열 때 지원을 받을 수 있게 했다. 만 39세 이하로 제한했던 ‘생애 첫 연구사업’ 신청 요건도 만 40세 이상인 경우에도 박사 학위 취득 후 7년 이내면 지원할 수 있도록 ... ...
거창한 자율주행 안녕! ‘작고 느린’ 교통으로 미래 도시 혁신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1
자율주행에 필수적인 차선 인식까지 가능한 정밀한 GPS는 가격이 수백만~수천만 원
대로
상용차에 사용할 수 없다. 돌란 교수는 자율주행자동차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사물인터넷(IoT)과의 결합도 중요하다는 데에도 동의했다. 하지만 모든 교통 인프라가 IoT화 되지 않아 아직은 시기상조라고 ... ...
콘크리트 녹여 버린 고압선
팝뉴스
l
2017.12.30
번개가 바닥이나 사람 몸에 남기는 자국과 모양이 비슷하다. 해외 네티즌들의 평가
대로
흔치 않은 희귀 사진이다. 눈에 보이지 않고 우리 삶에 절대 필요한 전기가 길을 잃으면(?) 이렇게 무서운 힘을 발휘한다. 팝뉴스 제공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 ...
귀여운 코알라, 길거리에서 싸움박질
팝뉴스
l
2017.12.28
신경 쓰지 않고 싸움에 몰두하는 집중력이 놀랍다. 결국 한 마리가 달아나면서, 백주
대로
에서의 싸움을 끝을 맺게 된다. 귀엽고 착한 이미지를 가진 코알라의 싸움이어서 영상은 더욱 눈길을 끈다. youtube - 팝뉴스 제공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가릴까? 드러낼까? 옷차림 매일 고민이라면
2017.12.26
‘나체’로 다닙니다 프랑스에서는 공공장소에서 부르카 착용을 금지시켰습니다. 반
대로
이란에서는 몸을 드러낸 여성이 처벌을 받습니다. 과연 어떤 것이 옳은 일 일까요? 모두가 합의하는 답을 찾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사실이 있습니다. 복장에 대한 내적 검열(어떤 옷을 입고 싶다든가 ... ...
내 아이에게 맞는 코딩 장난감 찾아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2.21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코딩블록들이 있습니다. 이 코딩블록을 차례로 배치해 원하는
대로
로봇이 움직이게 합니다. 실로폰 연주, 공 던지기 같은 미션을 수행하고, 여러 대의 대시앤닷을 이용해 축구 경기를 할 수도 있습니다. 대시앤닷은 무선조종 로봇 역할도 합니다. 조이스틱 모드로 조종이 ... ...
과학&기술의 최전선ㅣ조직 세포 원하는
대로
복제 '불로장생' 넘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08
배아줄기세포와 성체줄기세포 등 두 가지로 나뉜다. 이 가운데 배아줄기세포는 말 그
대로
배아에서 채취한 줄기세포로, 배아를 예비 생명체로 보는 견해로 인해 윤리적 제약이 많다. 현재는 생명윤리법 29조 1항에 따라 22개 희귀난치병 외에는 연구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연구를 하더라도 각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