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커튼
장막
발
텐트
싸는 것
보자기
뉴스
"
막
"(으)로 총 1,313건 검색되었습니다.
[진단, SW 교육 ②] 소프트웨어 교육 위해 학교에서 준비해야 할 것은?
2017.07.05
가르친다. 담임을 맡고 있는 모든 교사가 소프트웨어를 가르칠 수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막
부임한 20대 선생님과 정년 퇴임을 앞둔 50대 선생님이 모두 소프트웨어를 알아야 한다. 해결 방법은 있다. 당장 교사의 역량도 중요하지만 소프트웨어 교육을 받아들이는 인식도 중요하다. 당장은 젊은 ... ...
꼬불꼬불한 미토콘드리아 내
막
의 비결
과학동아
l
2017.06.29
복합체들을 내
막
과 외
막
사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며 “그 결과 한정된 공간에 내
막
이 존재하기 위해 꼬불꼬불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5월 31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doi:10.1038/ncomms1525 ... ...
혈액으로 암 진단? 2017년 떠오르는 10대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7.06.27
세계경제포럼(WEF)은 27일 중국 다롄에서
막
을 올린 ‘2017 하계 다보스포럼’ 개
막
에 맞춰 미국 과학잡지 사이언티픽아메리칸과 공동으로 선정한 ‘2017년 떠오르는 10대 기술’을 발표했다. 이번에 선정된 10대 유망 기술에는 △태양광을 이용한 액체연료 제조기술 △인간세포 도감 ... ...
누에고치로 ‘시력 개선 필름’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23
개발했다. 연구팀은 특수염료를 단백질 수용액에 혼합한 뒤 빛반응을 이용해 얇은
막
형태로 굳혀냈다. 누에고치 단백질로 빛을 반사하는 필름을 만들어낸 것이다. 이렇게 만든 단백질은 사람 피부처럼 탄성이 뛰어나 구부러지거나 늘어나도 원형을 유지했다. 연구진은 이 필름을 시신경이 약해진 ... ...
아무리 잘 관리해도 암에 걸릴 사람은 걸린다?
과학동아
l
2017.06.23
아니다. 미래를 노력으로 바꿀 수 있는 유일한 길이기 때문이다. - 동아일보DB 제공 마지
막
으로 무작위 요인. 현재로서는 무작위로 발생하는 DNA 복제 오류를 줄이거나, 발생한 오류를 치료할 확실한 방법이 없다(체내 DNA 복구 시스템이 있지만 암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구되지 않는 경우 중에 ... ...
[ESC의 목소리 (14)] 나는 왜 교양과학을 읽게 되었나
2017.06.17
진화론적인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이러한 경향들은 인간 종 또한 개량될 수 있고 마지
막
에는 ‘우월한’ 사람들을 선택교배하여 완벽한 사람으로 만들거나 ‘열등한’ 사람들을 멸종시킬 수 있다는 믿음에 관한 학문인 우생학으로 합쳐졌습니다…. 삼척동자도 그 다음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알 ... ...
[돈테크무비] 유발 하라리의 ‘호모 데우스’, 그 다음 이야기는 ‘에일리언’ 시리즈?
2017.06.11
지목할 수 없을 것이라고 단정했다. 그래서 인류가 진짜로 맞이할 미래가 무엇이든, 그걸
막
을 방법은 없다는 걸 우리가 받아들여야 한다면서 말이다. ※참고 ☞ 웨이랜드사 홈페이지 ☞ 데비빗 8 소개 영상 ※ 필자소개 이철민. 학부에서 계산통계학을 전공하고 국내 IT기업들에 재직하다 미국 ... ...
세포 내 물질교환의 비밀, 국내 연구진이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07
결합하는 구조를 가졌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UNIST 제공 이 교수는 “세포소기관 간
막
접촉점을 만드는 단백질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세계 최초로 밝혔다”며 “이번 연구로 세포 내 물질 이동 결함 때문에 생기는 질병의 치료법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미국 ... ...
[카드뉴스] 보글보글 거품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7.05.23
크림 속 유지방은 특별한
막
으로 싸여 물과 함께 섞여 있습니다. 크림을 휘저으면
막
이 찢어지고 물을 싫어하는 유지방끼리 모여 공기를 감싸면서 거품이 됩니다. - 참고: 어린이과학동아 2014년 02호 ‘보글보글 거품의 ... ...
[카드뉴스] 공포의 기억, 지워버릴 순 없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5.21
전달되면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가 나옵니다. 이에 다음 신경세포
막
에 있는 글루타메이트 수용체가 결합해 세포 밖의 양이온을 안으로 가져오면 신경전기신호가 발생합니다. 그런데 중요한 점은 시냅스로 전달되는 신경전기신호가 일정해도 시냅스에서 그 신호가 크게 증폭되거나 감소할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