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자
의뢰인
고객
단골
환영
사건 의뢰인
정신병자
뉴스
"
환자
"(으)로 총 10,493건 검색되었습니다.
운전 중 스마트폰, 뇌파가 조장한다?
과학동아
l
2016.08.08
두드릴 때 나타나는 뇌전도(EEG)를 측정했다. 16개월 동안 실험을 진행한 결과 21%의
환자
에게서 스마트폰 메시지를 작성하는 동안에만 5~6Hz의 특정한 뇌파 리듬이 관찰됐다. 전화를 할 때나 손가락을 두드릴 때는 전혀 나타나지 않은 뇌파였다. 연구팀은 이 뇌파에 ‘텍스팅 리듬’이라는 이름을 ... ...
소리 종류 따라 뇌 속 공포 기억 저장위치 바뀐다
2016.08.05
않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 연구원은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와 같은 질환을 치료할 때
환자
가 경험한 자극에 따라 맞춤형 치료가 이뤄져야 한다는 의미”라며 “추가 연구를 통해 공포 자극이 편도체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지 밝힐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학술지 ... ...
올림픽 때 ‘지카 바이러스’ 안심해도 될까?
2016.08.05
지난 20년간 브라질 뎅기열 발생 빈도는 꾸준히 증가했다. 남아메리카 대륙 뎅기열
환자
의 70%가 브라질에서 발생한다. 에드바르드 마사드 브라질 상파울루대 교수는 “지카 바이러스는 10만 명에 3, 4명 정도의 소수만 감염된다”면서도 “아직 지카 바이러스에 대해 아는 것이 많지 않기 때문에 ... ...
화성탐사에 활용 가능한 ‘휴대용 제약공장’ 개발
2016.07.31
휴대용 기기를 개발했다. - MIT 제공 보건 시설이 갖춰져 있지 않은 전쟁터나 오지 등에선
환자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다. 미국 연구진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약물을 자가 생산할 수 있는 기기를 개발했다. 티모시 루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전자연구소 교수팀은 살아 있는 미생물 세포를 ... ...
까다로운 심근경색 진단…피 한 방울로 1분이면 '끝'
2016.07.29
한 임상시험 끝에 양전자단층촬영(PET) 같은 복잡한 검사 없이도 93% 정확도로 치매
환자
를 구분해 냈다. 김 연구원은 “국내외 병원들과 함께 임상연구를 진행하고 있어 3~5년 내 병원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혈액 진단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 ...
[전문의가 솔직히 말해주는 남자의 성] 남성의 아침, "오늘 텐트 치셨습니까?"
2016.07.28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아침 발기가 되는데 발기 부전이 있다면 발기부전이
환자
의 심리나 마음의 상태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됩니다. 아침 발기가 안 되는 경우라면 신체적 이상으로 발기 부전이 생겼을 가능성이 커집니다. 잠든 동안 발기가 일어나는지 측정하는 검사를 할 수도 있습니다. ... ...
“코드 뽑히면 경고음… 중
환자
생명유지 장치 안꺼지게”
2016.07.28
발명학교 심화반 과정 수업을 들었던 게 도움이 됐다”면서 “발명품은 중
환자
실 외에도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치매요양원, 장애인시설, 수족관 등 플러그를 함부로 뽑지 못하게 하는 곳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남궁 군을 지도한 임현숙 교사는 “재료를 사다 주겠다고 ... ...
11만 발명품 치열한 각축… 세상 빛낼 아이디어 301개 선정
2016.07.28
사진)은 27일 올해 대회의 특징을 이같이 말했다. 대통령상을 받은 남궁성윤 군의 ‘중
환자
생명 유지를 위한 안전 잠금 콘센트 및 플러그’는 실제 병원이나 복잡한 산업 현장에서도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국무총리상을 수상한 신민서 양의 ‘자리를 옮겨 공격과 ... ...
변비, 복부팽만이 계속된다면? 이것을 의심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6.07.26
순으로 주로 중장년층에서 많이 발생했다고. 일반적인 세균성 장염이나 바이러스성 장염
환자
의 수가 약 483만 명인 것을 감안할 때 결코 적은 숫자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라? 이것 혹시 내 얘긴가?' 요즘 부글부글한 속 때문에 고민 하고 있는 당신이라면 지금부터 주목해보기를 바란다. ... ...
면역세포에 로봇 태워 암 세포 공격한다
2016.07.26
발생하는 암은 나노크기의 항암 약물을 이용해 치료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암
환자
는 혈관이 불규칙하게 변하기 때문에 약물이 잘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진은 세포 안에 침입한 세균을 잡아먹는 대식세포에 직경 20㎛(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분의 1m) 크기의 마이크로로봇을 ... ...
이전
916
917
918
919
920
921
922
923
9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