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뉴스
"
대학
"(으)로 총 10,36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울증 치료약 복용 중단하면 재발위험 3배
동아일보
l
2015.04.06
상담치료를 받고 항우울제와 기분조절제를 복용하면서 증상이 완화됐다. 국내 법학전문
대학
원 진학을 목표로 공부도 다시 시작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곧 위기가 찾아왔다. 증상이 나아지자 가족과 친지로부터 “정신과 약은 중독된다. 약이 아닌 의지로 극복해야 한다”는 말을 자주 들었기 ... ...
“으악” 잦은 악몽의 원인, 불면증과 ‘○○○’…숙면 부르는 음식은 뭘까?
동아닷컴
l
2015.04.06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잦은 악몽의 주요 원인은 우울증과 불면증이다. 투르쿠
대학
의 날스 산드만 박사는 “지난 30일 사이에 악몽을 자주 꾼 사람은 심한 우울증이 있는 사람이 28.4%, 불면증에 시달리는 사람이 17.1%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밝혔다. 이 결과로 미루어 연구팀은 ... ...
몸속에서 완전 분해되는 전자소자 개발
2015.04.05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황석원 KU(고려대)-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융합
대학
원 교수는 미국 일리노이대 강승균 박사팀과 공동으로 생분해성 물질의 금속 위에 초박막 실리콘을 얹어 몸속에서 완전히 용해되면서도 기계적 성질과 안정성이 뛰어난 전자소자를 제작했다고 2일 밝혔다. 연구팀은 ... ...
‘심봉사’ 이제 눈 대신 뇌로 본다
2015.04.04
인식하게 하는 방법으로 눈먼 쥐가 스스로 길을 찾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도쿄대 약학
대학
원 이케가야 유지(池谷裕二) 교수팀은 이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2일자에 게재했다. 지구자기장을 이용해 미로 찾기에 성공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케가야 교수팀은 동물의 뇌가 ... ...
[SW가 미래다 1] “소프트웨어는 창의성 위한 훌륭한 도구”
2015.04.03
시절 스스로 프로그래밍하는 과정에서 소프트웨어에 대한 흥미를 느끼게 되고
대학
진학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중고교 시절 소프트웨어 교육을 받으면 문제 해결 능력 등 사고력이 향상된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안성진 성균관대 컴퓨터교육과 교수는 소프트웨어 ... ...
우주 저 먼 곳, 원시별의 진화를 생중계로 보다
2015.04.03
실제로 관측하지 못하고 있었다. 김순욱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과학기술연합
대학
원대 교수)과 김정숙 일본 국립천문대(NAOJ) 연구원 등은 1996년부터 2014년까지 18년 동안 VLA 2를 관측해 처음에는 등방형으로 분출물을 뿜어내던 별이 차츰 그 방향을 바꿔 현재는 위아래 방향으로 분출물을 ... ...
과일에 묻은 잔류 농약 먹으면 정액 품질 떨어져
2015.03.31
남성의 정액 품질을 악화시킨다는 과학적 증거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미국 하버드대 보건
대학
원 연구팀은 농약이 남아있기 쉬운 딸기, 사과, 배 등을 자주 섭취하는 남성들의 정액이 그렇지 않은 남성들의 정액에 비해 품질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임신 및 불임 분야 학술지 ‘휴먼 ... ...
20대 퇴행성 관절염 증가, 女가 男보다 많은 이유는…여성 호르몬 때문?
동아닷컴
l
2015.03.30
근육은 남성보다 불안정한 상태다. 남성과 여성의 신경계에도 차이가 있다. 오리건주립
대학
교의 한 연구에 따르면 남성의 근육은 여성의 근육보다 신경자극에 빨리 반응할 수 있다. 여성의 근육은 상대적으로 위험한 순간 재빨리 반응하기가 어렵다는 것. 또 점프 후 착지하는 동작에서 여성은 두 ... ...
“빅뱅 이전에는 무엇이 있었을까?”
2015.03.29
저자는 화학을 기반으로 살아가는 인간의 삶을 다양한 예를 들어 보여 준다. 저자는
대학
에서 화학공학을 전공하고 현재는 화학산업 분야 전문지 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저자는 딱딱하고 어려운 것처럼 느껴지는 화학이 알고 보면 일상생활에 없는 곳이 없을 정도로 ‘세상을 움직이고 있다’고 ... ...
포르투갈서 발견된 몸길이 2m 고대 도롱뇽, 사람보다 큰 몸집으로…
동아닷컴
l
2015.03.27
인간보다 더 컸다. 이들 도롱뇽은 당시 양서류 중에서 가장 몸집이 컸다. 에딘버러
대학
등 공동 연구팀이 포르투갈 지역에 있는 거대 공룡 화석을 연구한 결과 고대 도롱뇽은 화장실 변기 모양의 넓은 머리를 가졌다. 열대지방에 주로 거주하면서 가장 높은 단계의 포식자로 군림했으며 2m 길이와 10 ... ...
이전
917
918
919
920
921
922
923
924
9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