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뉴스
"
이후
"(으)로 총 12,762건 검색되었습니다.
산타클로스 어디쯤 왔나…63년 맞은 산타 추적 서비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3
시간 등을 유추해 산타의 가상 이동 경로를 측정하기 시작했고, CONAD가 NORAD로 개편된
이후
로도 이 서비스는 전화와 인터넷을 통해 지금까지 계속 이어지고 있다. NORAD 올해도 24일 0시(미국 동부 시각 기준)부터 홈페이지를 통해 산타의 동선을 실시간 추적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예전에는 ... ...
[해 넘기는 라돈사태]요원한 제품수거, 처리방법 없어 손놓은 업체들(상)
2018.12.23
채 과장은 “폐기 방안은 법적으로 불충분한 부분이 있어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한
이후
에 해결에 나서자는 게 정부 입장”이라며 “환경부와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늦어도 내년 하반기부터는 폐기 지침에 맞춰 업체들이 해당 제품을 폐기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때까지 결함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존재를 위한 투쟁
2018.12.23
원시 이상향은 사실 단 한 번도 존재한 적이 없습니다. 지구상에 생명체가 나타난
이후
존재를 위한 투쟁은 잠시도 멈추지 않고 계속되었습니다. 설사 자발적으로 투쟁을 포기한 생명이 있었다고 해도 곧 사라졌겠죠. 진화론이 아직도 많은 사람에게 정서적 배격을 당하는 이유 중 하나는, 마음 깊은 ... ...
[과학게시판] 사회문제과학기술정책센터 현판식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수여하고 유영민 장관과 미래 과학자 간의 대화 순으로 개관식이 진행됐다.
이후
국립중앙과학관 미래기술관 개관행사에서는 4차 산업혁명 등 과학기술 혁신으로 맞이하게 될 미래사회를 살펴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국가핵융합연구소는 21일 전주정보 문화산업진흥원과 중소·중견 및 ... ...
2019년 유성우, 부분일식과 함께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져 20분 남짓한 시간 부분월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8월 13일 달이 진 뒤인 3시 18분
이후
부터 관측하기 쉽다. 12월 14~15일 새벽에는 쌍둥이자리 유성우가 찾아오지만, 달이 밝아 관측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2019년 마지막 천문 이벤트는 12월 26일 펼쳐질 금환일식이다. 달이 태양을 모두 ... ...
[과학게시판] 연구윤리 포럼 2018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대응 관련 연구 보고서 공동 활용 등과 관련해 서로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이날 협약식
이후
방역연계범부처사업단의 사업 3대 목표와 7개 중점분야에 대한 소개발표가 진행됐으며, 화학연 신종바이러스융합연구단에서 수행하는 세부 6개 분야 과제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다. ■ ... ...
“VR 아바타가 내 표정이랑 똑같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된다. 화면을 보며 3초씩 입을 벌렸다 눈을 찡그렸다 하니 1분여 만에 등록이 끝났다.
이후
부터는 아바타가 실제 표정을 따라 하기 시작했다. 현재 이 기술의 정확도는 약 88%다. 10번 중 9번은 정확히 표정을 분류한다는 뜻이다. 차 연구원은 “슬픔과 두려움같이 비슷한 표정을 종종 혼동한다”고 ... ...
뇌출혈 없는 안전한 뇌 조직검사용 바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뇌 속 혈관의 위치를 미리 파악한다. 하지만 해상도가 낮아 정밀도가 떨어지고 촬영
이후
에 뇌 속 조직이 움직여 혈관의 위치가 바뀌기도 한다. 초음파 검사를 통해 실시간으로 혈관 위치를 찾기도 하지만 해상도가 떨어져 굵기 2㎜ 이하의 얇은 혈관은 찾기 힘들다. 연구진은 광간섭단층촬영술(OCT ... ...
"우주 비밀 간직한 '운석의 보고' 극지, 현장연구에 답이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1㎚는 10억 분의 1m)크기의 지렁이처럼 생긴 생명체 화석이 남아 있다는 내용이다.
이후
과학자들은 이 흔적이 생명체가 아니라는데 동의했지만 여전히 일각에선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홍 양은 “더 깊은 과거 빙하에서 운석을 찾으면 옛 태양계의 비밀을 밝힐 단서를 찾을 수 있다”며 “한국을 ... ...
사상 최악 산불·포퓰리즘의 위협·유전자 조작 아기…네이처가 뽑은 올해 과학사건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재정의한 것도 눈에 띄는 부분이다. 도량형 통일을 논의한 ‘미터협약’
이후
143년 만에 7개의 기본단위 중 4개의 정의가 한 번에 달라진다. 1㎏은 원기로 재지 않고 양자 역학의 기본 상수인 플랑크 상수를 이용해 재정의하게 됐다. 키블저울이라는 측정기기를 통해 얻은 플랑크 상수의 단위는 ... ...
이전
917
918
919
920
921
922
923
924
9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