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Y2K스트레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안될 것으로 보인다.Y2K 제2라운드그런데 지금까지 간과했던 새로운 Y2K 문제가 있다.
바로
국민들이 사용하고 있는 PC의 Y2K 문제다. 그동안 PC의 Y2K 문제는 국민경제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지 않는다는 이유에서 정부나 언론에서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았다. 문서를 작성하고, 인터넷을 이용하는데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중에서, 특히 침팬지가 우리 조상의 ‘원시적인’ 모습으로 종종 인식되고 있음이
바로
그것이다. 물론 원숭이나 침팬지가 인간의 조상이라는 생각은 틀렸다. 약 5백만-8백만년 전에 인류와 침팬지는 그들의 공통조상으로부터 갈라져 나온 이후 각각 독자적인 방향으로 진화해왔기 때문이다 ... ...
냄새나는 건강지표 똥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좋다.사람에 따라 배변에 걸리는 시간도 제각각이다. 누구는 화장실에 들어가자 마자 곧
바로
나오고, 누구는 들어가서 책 한 권을 다 읽고 나오는 경우도 있으니 말이다. 배변에 걸리는 시간은 전적으로 습관에 달려있다. 변의를 느끼고 변기에 앉았으나 배변이 되지 않으면 배에 힘을 줘 대변을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레이저포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비약적으로 증폭시키면, 한가지 색깔을 갖춘 강렬한 레이저가 발생한다.반도체레이저는
바로
매질이 반도체물질이라는 의미다. 여기에 펌핑을 위해 적당한 크기의 전류를 흘려준다. 온도나 압력, 전류, 자계 등에 의해 쉽게 변하는 반도체의 특징을 살렸기 때문에 다른 레이저에 비해 원하는 특성의 ... ...
Ⅰ. 30억개 문자의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기능을 하는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흔히 '유전자가 몇개다'라고 말할 때의 '유전자'는
바로
단백질을 만드는 2%의 DNA를 의미한다. 인체의 단백질이 10여만개가 있으므로, 유전자의 수 역시 10여만개로 추정된다.1990년 미국과 영국을 필두로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출범했다. 이 프로젝트는 인체를 ... ...
초상화는 왜 왼쪽얼굴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왼쪽 측면상에 비율은 맬버른 대학 연구팀이 제시한 것과 상당히 차이가 난다.
바로
여기에 문화적의 차이와 화가의 선호가 개입한다. 우리나라 초상화의 대부분이 오른손잡이 화가가 그림을 그렸기 때문이다. 우리 문화에서 오른쪽은 바른쪽과 통한다. 오른쪽은 옳고 왼쪽은 그른 것처럼 오른쪽에 ... ...
21세기 이동통신 IMT-2000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0이 등장하면서 길거리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즐길 수 있게 됐다. IMT-2000의 세 번째 특징은
바로
이동통신과 인터넷을 통합한데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마이크로소프트 빌 게이츠 회장은 지난 10월 17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텔레콤 99’에서 차세대 이동통신에서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게 ... ...
'사람은 먹고 벌레는 못 먹는' 배추 만든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작물 중에서 특히 유체과는 다른 유전자를 잘 받아들이지 않는 것으로 유명한데, 배추가
바로
유체과의 작물이다. 그만큼 유전자변형 배추를 만드는 권 교수의 목표는 쉬운 일이 아니다. 현재 권 교수와 연구원들은 비티톡신 유전자를 담배에 넣는데 성공하고 단백질의 활성을 확인했다. 잎을 먹은 ... ...
기름 3L로 100km달리는 3리터카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1천2백cc밖에 되지 않지만 세계 자동차 전문가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고 있다. 그 이유는
바로
기름 3L로 1백km를 주행할 수 있는 초저연비차이기 때문이었다. 이 차는 1L당 주행거리가 33.3km나 돼 우리나라에서 판매되고 있는 보통 경차의 연비(수동변속기 기준)가 18-21km/L인 것과 비교하면 거의 2배에 ... ...
3. 기상 버라이어티쇼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아닌 일부분이다. 어느 경우엔 1/4이고 많이 본다고 해도 1/2을 넘지 못한다. 그것은
바로
무지개의 나머지 부분이 지표면으로 가려졌기 때문이다. 실제 무지개의 모양은 도넛 형태다. 이것은 물방울의 모양이 구형이므로 여기로부터 반사돼 나온 빛이 만드는 무지개도 3차원적으로 보면 도넛과 같은 ... ...
이전
919
920
921
922
923
924
925
926
9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