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d라이브러리
"
계속
"(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식사할 때는 순서를 지켜라 「어흥」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중간 부분을 물로 깨끗이 닦아 버리면 개미의 행렬은 어떻게 될까 ?① 원래대로
계속
줄을 지어 다닌다.② 물로 닦은 부분에서 행렬이 끊어진다. 대열에서 탈락한 개미들은 이곳 저곳을 돌아다닌다.③ 물을 싫어하므로 물로 닦은 부분에서 더 나아가기를 포기하고 집으로 되돌아 간다.(2) 사자가 ...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게다가 다국적군의 전술핵무기 사용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방사능 누출의 위험은
계속
도사리고 있다. 체르노빌(1 백만 ㎾급 발전소)사고 이후 그 영향이 멀리 떨어진 스웨덴과 일본에서도 발견됐던 사실에 비추어 볼 때 핵무기가 사용된다면 주변 중동국가는 물론 아시아도 안심할 수는 없다 ... ...
무시무시한 괴물들의 잔치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쉽게 찾을 수 있다(3월에는 목성이 게자리의 중앙에서 약간 서쪽으로 벗어난 곳에서
계속
서쪽을 향해 움직이고 있다).쌍안경의 도움을 받아 별자리 모습을 완성 해보자. 성좌도에서 본 것처럼 여러분도 게의 다리 하나를 찾을 수 없을 것이다. 그럼 이 별자리는 왜 이처럼 어둡고, 또 다리가 하나 ... ...
일본 규슈의 지질과 화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시간은 밤 11시. 이때부터 자정을 지나 밤 1시 30분까지 '과학동아'독자를 위한 토론이
계속
되었다. 지질탐사와 직접 관련된 얘기, 일본을 눈으로 보고 느낀 얘기들이 자유롭고 활발하게 개진되었다. 넷째날아침 일찍 후쿠오카 시내관광을 했다. 시내 중심부에 조성된 상당히 규모가 큰 공원에서 ... ...
3 제6세대 컴퓨터를 향한 첫발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같이 보이지만 그 동안에 신경회로망의 기초이론에 관한 연구가 세계 여러곳에서 꾸준히
계속
되었다. 이러한 이론적 축적이 없었더라면 오늘날 뉴로컴퓨터 연구의 개화도 없었을 것이다.뉴로 컴퓨터는 이미 언급한바와 같이 뇌의 기본소자인 뉴런이나 그것들을 결합한 신경회로망의 구조 또는 ... ...
꿩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울안의 동료들을 관람하고 있었으니 생각해보면 재미있는 일이었다. 그후 며칠 동안
계속
그 야생장끼는 아침마다 울안의 동료를 면회하곤 했다.또 수년 전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 숲속에서 까투리가 부화된 병아리들과 함께 도로를 산책하는 순간을 찍은 사진이 신문지상에 보도됐다. 매일 대도시의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당신덕분에 60평생 처음으로 나비알 구경했다"는 소리를 들을 때의 기쁨 때문에 앞으로
계속
셔터를 눌러댈 작정이다. 집 주위에다 워낙 꽃을 많이 심어놔 나비들이 이씨 집 주위로 한번 날아오면 한시간 이상은 체류한다. 일하다가도 아이들이 새로운 종류의 나비가 날아들었다고 알려주면 ... ...
1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기계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이에 관한 연구결과들이 잇따라 발표됐다. 이들은 민스킨 만큼은 아니지만 '연구를
계속
하면 인공지능에 좀더 가까워지겠지'하는 확신을 품고있었다.이러한 낙관론과는 반대로 'AI가 당초부터 불가능하다'는 반론도 오랜 역사를 갖고있다. AI비판론자들은 '기계가 생각한다거나 컴퓨터가 마음을 ... ...
PARTⅠ마이크로파에서 레이저과학으로 첨단과학에 빛을 더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첨단산업들이 하루아침에 하늘에서 불쑥 솟아난 것들이 아니고, 19세기 산업혁명때부터
계속
연구되어온 분야들이기 때문이다. 다만 이들이 첨단 산업으로 지목받는 이유는 '컴퓨터를 도입했거나, 레이저광선을 이용하고 있다'는 사실 때문이다.조금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종래의 장치를 보다 더 ... ...
블랙홀·화이트홀·웜홀 우주의 세 구멍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된 주위(팽창에 따른 냉각으로 인해)로 흐르게 된다. 다시 말해 엔트로피의 증가를
계속
일으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주의 역사는 엔트로피가 보다 높은 상태로 진행되고 있는 셈이다.그러면 오늘날의 우주는 엔트로피가 얼마나 높은(또는 낮은) 상태에 있는 것일까. 여기서 우리는 검은 구멍의 ... ...
이전
921
922
923
924
925
926
927
928
9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