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품
상품
물체
제품
판매품
생산품
일
d라이브러리
"
물건
"(으)로 총 1,373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의 일등공신 엄지손가락 제2의 뇌 손의 신비
과학동아
l
200107
꼭 주의해야 한다. 인도나 태국에서도 마찬가지. 용변을 볼 때 주로 사용하는 왼손으로
물건
을 건네거나 악수를 청하는 것은 예의에 크게 벗어나는 행동이라 자칫하면 따귀를 맞을 수도 있다. 일부국가에서이긴 하지만 이처럼 왼손은 철학적으로 부정하고 더러운 것으로 치부돼 왔다.왼손에 대한 ... ...
달라붙지 않는 프라이팬의 비밀
과학동아
l
200107
해도 과언이 아니다.우연히 탄생한 신비의 하얀 분말주부에게 가장 호평 받는
물건
은 한두 가지가 아니지만 그 중에서도 타지 않는 프라이팬처럼 사랑받는 것은 없을 것이다.타지 않는 프라이팬은 제2차 세계대전을 승리로 이끈 세가지 화학발명품 중 하나에서 태어났다. 세가지 화학발명품이란 ... ...
자신을 가두는 반복의 굴레 -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과학동아
l
200107
받을 때는 헛기침으로 시작해야 하고, 어떤 행동이든지 5번씩 반복하는 습관이 있다.
물건
은 항상 말끔히 정돈돼 있어야 하며, 세수 후에 쓴 수건도 흐트러짐 없이 제자리에 놓아야 한다. 더러움에 대한 공포가 심해서 다른 사람의 몸이 닿는 것을 일체 싫어하며, 장갑이나 비누는 한번 쓰고 버린다. ... ...
절대 뚫리지 않는 철벽 암호시스템
과학동아
l
200106
수학분야가 있다. 복잡한 숫자를 다루지 않는 수학. 바로‘매듭’을 연구하는 분야다.
물건
을 묶거나 머리를 예쁘게 땋을 때 쓰는 매듭 말이다. 이 얘기를 듣고 매듭이 무슨 수학이야, 매듭 묶는 방법 연구해 무엇에 쓸 수 있지 하고 의심을 품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현대수학 중 가장 잘 ... ...
파멸로 치닫는 투명인간의 욕망 할로우 맨
과학동아
l
200106
내 손을 볼 수 없기 때문에 눈을 감고 잡는 것과 똑같아요. 하지만 주인공은 너무나 쉽게
물건
을 집고 계단을 내려갑니다.미경_ 투명인간이라면 계단을 내려갈 때도 넘어지기 쉽겠군요.정교수_ 제가 미국에 있을 때 봤던 ‘X파일’에 나오는 내용 중 기억나는 게 있어요. 램프에서 지니가 나타나 ... ...
컴퓨터에 무모한 도전장 내민 타자기
과학동아
l
200106
트웨인이었다. 그는 1874년 ‘타자기는 한 페이지에 엄청나게 많은 단어를 쏟아놓는다.
물건
을 흐트려 놓거나 여기저기 잉크 얼룩을 남기지도 않는다’고 칭찬했다. 저명한 소설가인 마크 트웨인의 추천은 원고를 쓰는 작가로 하여금 타자기 구입에 불을 붙였다.무엇보다 타자기의 가장 큰 역할은 1 ... ...
'당신은 창의적인가' 진단기준 4가지
과학동아
l
200105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방법을 찾아보기’‘코르크 마개를 활용해서 만들 수 있는
물건
만들기’‘코끼리와 연필의 공통점 찾아보기’‘성냥개비 퍼즐’등이있다. 창의성은 고정된 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으로 보는 눈을 갖는 것이다.독창성 남들이 생각 못한 것 찾아낸다창의성은 무엇보다도 ... ...
영원을 갈구하는 현대판 미라의 신비
과학동아
l
200105
미라가 언젠가 다시 살아날 날을 위해 사자(死者, 죽은 자)가 생전에 사용하던
물건
과 함께 그의 일대기를 피라미드의 벽면에 조각했다. 그러나 그들의 염원에도 불구하고 미라가 살아난 적은 없다. 사실 미라를 만드는 제작 방법을 생각하면 다시 살아 날 것이라고 믿을 사람은 없다. 또한 미라의 ... ...
꿈의 이동통신시대 준비하는 이론공학자 송익호
과학동아
l
200105
카드를 대체할 이동통신 단말기(CDMA2000-1x)가 등장하면서 신세대에게는 휴대폰으로
물건
값을 결제하는 일이 직접 돈으로 지불하는 것보다 편리하게 다가온다.그리고 손안의 개인비서로 불리는 PDA는 모바일 컴퓨터 환경이 필요한 사용자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여기다 이제 곧 상용화될 ... ...
3차원 입체사진, 애너글리프
과학동아
l
200105
볼 수 있다. 30대라면 어린 시절에 동네에서 팔던 네모난 모양에 두개의 렌즈가 있는
물건
을 기억할 것이다. 세계 유명도시나 유적과 같은 사진이 안에 들어있고 두개의 구멍으로 이를 보면 입체감을 느낄 수 있던 것이다. 이를 입체투시경(뷰마스터,② )이라고 한다.>>>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