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개요
요약
적요
개괄
귀결
추정
d라이브러리
"
결론
"(으)로 총 2,137건 검색되었습니다.
1936년 한스 셀리에 박사의 스트레스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믿을 수가 없었다. 결국 그는 실험동물이 보인 변화가 난소 추출물과 관련이 없다고
결론
을 내렸다. 그리고 두 집단이 공통으로 경험한 ‘뭔가’를 찾기 시작했다.사실 쥐를 다루는 데 서툴렀던 셀리에 교수는 난소 추출물이나 식염수를 주사할 때마다 쥐들과 한바탕 소동을 벌이기 일쑤였다. 쥐들은 ... ...
제 9 회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수상자 발표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논제를 먼저 깊이 생각하고, 자료를 모아 탐구 분석하고, 사실에 근거한 논리적
결론
을 내려야 한다. 주장을 두루뭉술하게 기술하거나 제시문의 내용을 지나치게 반복해 서술하는 글은 논제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거나 논지가 없는 글로 읽힌다. 가장 기대했던 창의적인 글이 많지 않았던 이유는 ... ...
녹색 지구를 위해 우리가 할 일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할 수 있는 일이 될 것입니다.위와 같은 사항이 제10차 생물다양성 협약 총회에서 내려진
결론
임을 알려드리는 바이며 오랜 시간 동안 여러 갈등 문제들을 해소하고자 함께 힘써주신 여러분께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을 드리는 바입니다. 이상으로 총회의장 유진곤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중등부 ... ...
개미 세계의 진정한 영웅 납시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됐어요. 이런 행동을 보고 연구팀은 개미가 동료들을 위해 이타적인 행동을 한 것이라고
결론
내렸답니다.잠깐! 그렇다고 꼭 개미가 이타적인 건 아니에요! 동물을 다른 장소로 가게 조종하는 병원체도 있다고요….그래서 연구팀은 다시 개미를 이산화탄소에 노출시켜서 죽게 만드는 실험도 했어요. ... ...
각진 친구들의 모임 다각형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길이가 각각 같은 사각형은 평행사변형이다”라는 명제를 기호로 나타내 보고 가정과
결론
을 구분해 보세요.기호 사용이 어렵더라도 익숙해질 때까지 연습을 많이 해야 합니다. 수학에서 기호 사용은 증명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직접 증명을 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기 때문입니다.역사, 그리고 ... ...
1971년 마샤 맥클린톡의 월경 동기화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이런 현상이 일어나려면 두 가지 페로몬이 관여해야 한다는
결론
을 얻었다. 즉 하나는 주변 암컷의 월경주기를 단축시키는 작용을 하고 다른 하나는 연장시키는 작용을 해야 한다. 두 개체가 이 두 페로몬의 작용을 서로 주고받으면서 월경 동기화가 일어난다는 것 ... ...
관성과 ‘친해지길 바래’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관성을 말할 때 언제나 곁에 있으며 헛갈리는 단어가 있다. 바로 ‘관성력’이다.
결론
부터 얘기하자면 관성력은 물체의 질량에 의해 결정되는 성질인 관성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관성은 물체 고유의 ‘성질’을 의미하지만, ‘관성력’은 물체를 보는 관찰자의 상태에 의해 인위적으로 ... ...
개인게놈 시대 미리 맛보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확인됐다.물론 이런 몇 가지 예를 갖고 ‘유전자가 신체 특성을 결정짓는구나!’라고
결론
을 내릴 수는 없다. 실제로 키나 몸무게 등에는 수십 가지 유전자가 관여한다고 추측되고 있고 영양상태나 운동여부 등 환경의 영향도 크기 때문이다.개인게놈 서비스 아직 초보 단계일일이 논문을 찾기도 ... ...
4곳으로 늘어난 영재고 전형 분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출제될 것으로 예상된다. 물리에서는 중등 교과 수준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화된
결론
을 도출하고, 이를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거나 실험 결과를 이용해 새로운 상황을 만들어내는 능력이 요구된다. 화학은 실생활에서 찾아볼 수 있는 상황을 화학 원리로 설명하고, 이를 확인하는 실험을 ... ...
은둔의 수학 영웅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데는 기간 제한이 없으며 논문이 국제 학술지에 실린뒤 2년 동안 검증해 오류가 없다는
결론
이 나오면 상금을 받을 수 있다.그 뒤 10년이 지난 지금 7가지 문제 중에서 해결된 문제는 단 하나에 불과하다. 바로 2006년 러시아의 그리고리 페렐만이 해결한 ‘푸앵카레 추측’이다. 페렐만은 2002년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