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목표"(으)로 총 3,7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여우각시별, 이수연 사원의 웨어러블 로봇이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교수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마비 환자를 위한 맞춤형 신경 치료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doi:10.1038/s41586-018-0649-2, doi:10.1038/s41593-018-0262-6 극중 이수연은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해도 감각을 느끼지는 못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팔을 제어할 수 있도록 웨어러블 로봇이 압력과 같은 ...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어떤 산업이든 모두 선택할 수 있도록 기초를 닦아주는 것이 화학생물공학부의 교육 목표”라며 “학문의 깊이를 유지하면서도 최대한 많은 과목을 가르쳐 다방면에서 활약할 수 있는 인재를 키우고 있다”고 말했다. 그래서 화학생물공학부 1학년은 서울대 공대에서 유일하게 화학과 생물학, ... ...
- ‘아베노믹스’가 한국에 주는 교훈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0% 이상으로 상승할 때까지 이 정책을 유지한다’는 정책 목표를 강하게 표시했기 때문이다. 이는 쉽게 이야기해,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때까지 정부가 무제한 돈을 푼다는 이야기다(참고로 일본 중앙은행은 1차 양적완화 기간 중 40조 엔 규모의 채권 매입을 단행했다) ... ...
- part 3. 야구 보며 여행하는 외판원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미국하면 또 야구 아니겠습니까! 우리 같은 야구팬들은 미국 여행에서 이루고 싶은 목표가 하나 있습니다. 미국 30개 야구장에서 경기를 관람하고 오는 거지요. 최소 비용으로 모든 야구장을 방문하는 방법을 찾아볼까요? 야구장마다 경기가 있는 날과 경기 하는 시간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파력발전소로, 제주 지역 주민들에게 연간 580MWh(메가와트시) 규모의 전력 생산 및 공급을 목표로 운영 중이다. ● 친환경 에너지 도시 환경오염과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에 맞게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전기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등 에너지 자립과 환경을 생각하는 ... ...
-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안정성을 높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STEP 3. 운동 상태 알려주는 스마트폰 처음 목표는 단 하나, 완주였다. 시간이 얼마나 걸리든 포기만 하지 말자는 것이었다. 그런데 대회 직전 중요한 사실을 알게 됐다. 시간제한이다. 오랜 시간 도로를 쓸 수 없는 시내 마라톤 특성상 1시간 30분 안에 ...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대체로 2030년대부터 DEMO를 건설해 ITER 운영이 끝나는 2040년경부터 실증에 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은 ‘제3차 핵융합에너지개발 진흥기본계획(2017~2021년)’에 따라 ‘한국형핵융합실증로(K-DEMO)’ 구축을 위한 장치 설계 등 초기 연구를 하고 있다. 정 단장은 “ITER 운영의 성공 여부에 ... ...
- 이원희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교장 - “과학과 인문학 아우르는 하이브리드형 인재”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이 교장은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에게 “이공계 전공에 대한 목표가 뚜렷하고 이를 위해 노력하려는 학생들을 기다리고 있다”며 “본교 입학은 어떤 의미에서는 혜택을 받는 것인 만큼, 자신의 역량을 사회에 환원하겠다는 마음가짐을 가진 학생들이 지원하 기를 바란다”고 ... ...
- 케네스 리벳 미국수학회 회장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의 숨은 공신수학동아 l2018년 11호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는 것을 꿈꿨던 와일스 교수와는 달리 리벳 교수는 그런 목표는 없었다고 담담하게 말했다.리벳 정리는 필즈상 수상자인 프랑스의 수학자 장 피에르 세르 교수가 제시한 ‘엡실론 추측’에 이를 해결한 리벳 교수의 이름을 붙인 것이다. 세르 교수는 엡실론 추측을 ...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개체에 집적할 수 있다. '알레르기 FREE’ 밀가루 빵 나올까 품종 개량의 가장 큰 목표는 뭐니 뭐니 해도 맛 아닐까. 순수한 빵의 맛은 밀의 종자 저장 단백질인 글루텐이 결정한다. 밀알에는 글리아딘과 글루테닌이라는 크게 두 종류의 단백질이 있는데, 밀가루에 물을 넣고 반죽하면 이 두 단백질이 ... ...
이전8889909192939495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