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설
분출
분비
방출
배변
걸러내기
발사
d라이브러리
"
배출
"(으)로 총 2,02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프로테오믹스 교육 기관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국내에서만 400여 명의 전문연구인력을
배출
했으며 31회의 국내외 워크숍을 개최하는 등 다양한 학술활동을 펴며 아시아권의 프로테오믹스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이곳에서 세계 공통의 프로테오믹스 교과서도 만들었다. 2003년부터 98편의 국제 표준 ... ...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그렇다고 기후를 되돌리기 위해 성층권에 햇빛을 가릴 물질을 쏟아내고 계속 온실기체를
배출
하는 게 정당할까.20 예기치 못한 결과과학자들은 복잡한 기후 상호 작용들을 모두 설명할 수 없고, 예측할 수도 없다. 그 누구도 지구공학으로 인해 어떤 결과가 나타날지 확신할 수 없다.▼관련기사를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된다고 주장한다.성층권에 뿌리는 황산의 양은 화산에서 나오는 양이나 산업 활동으로
배출
하는 양에 비해 훨씬 적기 때문이다. 또 원래 성층권 하부에는 자연적으로 생긴 황산염 입자층이 깔려 있다. 예를 들어 대류권에서 올라온 황화카르보닐 같은 기체는 안정한 성층권에서 오랫동안 남아 있다 ... ...
이동통신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등 거의 모든 대학에서 이동통신 연구를 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뛰어난 연구자를
배출
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미국 텍사스대 오스틴 캠퍼스, 스탠퍼드대에서 이동통신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다중안테나 기술은 하버드대가 유명하다.4.무엇을 배우나요?이동통신 분야가 굉장히 넓기 때문에 ... ...
새 패러다임 여는 이동통신 기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필자가 서울대 이동통신연구실의 문을 처음 두드린 것은 2000년 여름이었다. 당시 휴대전화가 전국민에게 널리 보급되던 시기였다. 앞으로 이동통신 시장에 큰 기회가 올 것 ... 패기있는 젊은이들의 도전으로 우리 연구실을 비롯한 연구기관에서 더 많은 과학기술자가
배출
되길 바란다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전투기의 은폐기능을 떨어뜨린다. F-22나 F-35등 신형 스텔스기는 이런 열을 급속도로 식혀
배출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➌ ➍ F-22 전투기 출격을 준비하고 있는 미 공군기지의 모습.스텔스기가 레이더에 보이지 않는 이유스텔스 기술은 적에게 비행기나 선박, 차량 같은 무기를 들키지 않도록 하는 ... ...
야생조류의 동성애 원인은 수은?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먹지 않은 그룹보다 33~35% 적게 새끼를 낳았다.연구팀 관계자는 “메틸수은이 호르몬
배출
을 통제하는 내분비 시스템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동물의 행동에 변화가 나타났을 것”이라며 “시험에 사용된 메틸수은의 양은 자연 상태에서도 얻을 수 있는 수준”이라 설명했다 ... ...
한반도의 수질오염을 감시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내년부터 시행되는 ‘생태독성관리법’에 따르면 전국의 대형 하수처리장은 물을
배출
하기 전에 생물 독성 테스트를 실시해야 한다. 김 교수팀은 환경부와 함께 이 법안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하수처리장에서 나오는 물의 독성과 원인 물질에 대해 연구했다. 또한 2007년부터 전국 4대강 유역의 ... ...
Part 2. 수학올림피아드와 슈퍼스타K는 닮았다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셈이다.1987년에 시작한 KMO도 긴 역사 속에 수많은 수학스타를
배출
했다. 미국 매사추세츠 공대(MIT) 수학과 교수로 임용된 신석우 박사는 IMO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만점을 받았다. 한국 대표 중에서 만점을 받은 사람은 아직까지 신 박사가 유일하다. 만 26세의 나이에 KAIST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과학자의 연구를 지원하면 매우 창의적인 주제가 나올 것”이라면서 “한국의 첫 노벨상
배출
에 도움이 되는 정책”이라고 평가했다.안데르손 부총장을 포함해 노벨위원회 심사위원들은 정기적으로 초등학교를 방문해 학생들에게 ‘노벨상은 어떻게 받을 수 있는가’란 주제로 강연을 한다. 이때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