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타리
담
장벽
장애물
담장
칸막이
제방
d라이브러리
"
벽
"(으)로 총 1,946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 과학과 예술이 만나 들려주는 바다 이야기, 코르디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깔린 조개들이 흩어졌다 모이기도 하는 ‘센시티브 플로어’가 발길을 붙잡는다.문 쪽
벽
면은 아예 커다란 그림으로 꾸며져 있다. 해양을 주제로 하는 예술 작품을 전시하는 코르디움 갤러리다. 오늘 전시된 작품은 해양생물인 해마와 육지동물인 말이 주인공인 아크릴 설치물. 앞에서 보면 2차원 ... ...
광집게로 DNA의 꼬인 나선 풀고 세포 특성 파악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수십 개의 동그란 작은 원들이 나타났다. 대물렌즈가 포착한 나노 입자 시료들이다. 완
벽
한 구의 형태를 띠는 이 입자들의 지름은 5μm로 동일하다. 이 교수는 “빛이 침투할 수 있는 물체는 크기 0.1~100μm, 금속은 5~100nm(나노미터, 1nm=10-9m)까지 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빛은 일반적으로 금속을 ... ...
팔색조 고분자의 화려한 변신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막대를 보니 지금 이 순간에도 뭔가 새로운 고분자가 탄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벽
면 한쪽을 가득 채운 철제 스탠드에는 투명한 실험 용기들이 걸려 있었다. 플라스틱 용기인가 싶어 다가갔더니 바닥에서 ‘빠지직’ 뭔가 깨지는 소리가 났다. 투명한 용기는 다름 아닌 유리였다.“고분자를 ... ...
부끄러울 때 쥐구멍에 숨고 싶은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부끄러울 때 “쥐구멍에 숨고 싶다”는 말을 한다. 쥐구멍은 말 그대로 쥐가 드나드는,
벽
이나 바닥에 나 있는 작은 구멍이다. 사람이 들어가기에는 턱없이 작을뿐더러 내부는 어두컴컴하고 칙칙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발적으로 쥐구멍에 들어가겠다고 하는 건 사람들의 시선을 피해 몸을 ... ...
알록달록 전통매듭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마치 조선시대에 들어온 것만 같았어. 이쪽 방문을 한번 열어 볼까? 삐이걱….시간의
벽
을 넘어온 매듭 공예문을 열자 방 안에 앉아 계신 선생님이 보였어. 그 앞에는 오색빛깔 고운 노리개들이 있었지. 정확히 말하자면 아직 완성되지 않은 것들이었어. 색이 참 예쁘고, 모양도 화려해!" 어서 와요. ... ...
소녀시대는 왜 9명일까?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답답답해’ 부분에서는 한 명이 중앙에 서고 다른 6명이 정육각형으로 둘러싸
벽
을 만드는 안무를 선보였다. 자연계에서 가장 단단하다는 벌집 구조를 가사와 맞는 안무에 활용한 것이다. 정팔각형은 ‘Oh’로 정상을 차지했던 ‘소녀시대’가 구사했다. ‘소몰이춤’이라 불리는 안무는 가운데 한 ... ...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노력을 일반인에게 어떻게 알리느냐가 관건”이라고 강조한다. ‘완
벽
한 GMO’나 ‘완
벽
한 육종’이 아닌 적절한 합의점을 찾는다면 인류의 미래를 책임질 밝은 등불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GMO 장밋빛 미래 될까최양도 vs 리프킨리프킨 이사장은 “GMO는 어디까지나 한계가 정해져 있는 편법이자 ... ...
볼리비아 우유니 소금사막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될까 광활한 소금사막 전체에서 인간의 손이 닿은 인공물은 ‘소금호텔’이 유일하다.
벽
과 기둥은 물론 내부의 탁자와 의자까지 모조리 소금, 즉 암염 덩어리로 만들어졌다. 관광객들은 직접 ‘소금집’의 맛을 확인한 뒤에야 꿈처럼 펼쳐진 하얀 풍경이 눈이 아니라 소금임을 다시금 실감한다 ... ...
달에 집을 짓는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없이도 위층이나 다른 곳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달의 장점을 살린 거지요. 바깥
벽
은 우주를 볼 수 있게 투명하게 설계된 반면, 안쪽에는 불투명한 구를 두어 사생활 보호가 필요한 침실과 욕실로 쓰게 했어요. 또 태양 폭풍이 불 경우를 대비해 지하 대피소도 설계돼 있답니다 ... ...
현재의 과학적 상상력은 왜 과거만 못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찾아서 차근차근 접근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덕환 서강대 교수는 “학문 간
벽
을 허물면 어떤 현상이 벌어질 수 있는지를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어야 중간 단계도 만들어질 수 있다”며 “한국에서 학문 간의 분과가 심각한 수준인 만큼 과학과 인문사회학의 교류, 다양한 학문 간의 교류가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