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d라이브러리
"
신호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설명했다.마이크로파 공진기를 이용한 액시온 측정 방법의 장점은 다른 입자에 의한
신호
는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리고 자석의 세기가 셀수록 액시온을 검출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연구단은 강력한 자석을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김영임 연구위원은 “이론적으로 액시온을 ... ...
[News & Issue]혼자 살면 좋을까? 아니 골병난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바이러스 군집이 더 빠르게 자랐다. 카시오프 교수는 “외로움에 의해 뇌에서 활성화된
신호
가 백혈구 생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015년 11월 23일자에 실렸다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이 장치는 외부에서 따로 전원이나 빛을 공급하지 않아도 자체적으로 빛을 쏴 뇌에
신호
를 줄 수 있다. 크기는 현재 사용되는 광유전학 장비와 비슷하고, 무게는 1.8g 정도로 가볍다. 뿐만 아니라 미세관을 통해 서로 다른 네 가지 약물을 특정한 지점에 동시에 전달할 수도 있다. 연구팀은 이 장치를 ... ...
[과학뉴스] 오줌으로 만드는 전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무선 송신기를 작동시키는 데 성공했어요. 이 무선 송신기는 2분에 한 번씩 컴퓨터로
신호
를 보낼 수 있었답니다.이로폴로스 교수는 “이 기술은 앞으로 군사용 장비나 생존 키트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그땐 그랬지! 1988 VS 2016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016년인 현재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무선 통화기기를 갖고 있어요. 전파 형태의 음성
신호
를 공기 중으로 보내면 근처의 기지국과 이동전화교환국을 거쳐 상대방의 휴대 전화로 전달되는 원리지요.그런데 최근에는 시계나 안경과 같은 액세서리로 전화를 할 수 있는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도 ... ...
[과학뉴스] 자라나라, 머리카락!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깨우는 원리예요. 이 발모제는 혈관 치료제나 관절염 치료제와 같은 성분으로, 세포가
신호
를 전달하는 것을 방해해요. 그러면 모낭을 공격하는 세포의 작용이 억제된답니다.우선 연구팀은 발모제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쥐의 털을 면도기로 깎은 뒤, 부분적으로 발모제를 발라 주었어요. 그러자 ... ...
생명력이 꿈틀꿈틀~! 생물의 구조와 기능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9호
‘인공 장기’가 대표적인 예지요. 달팽이관을 고스란히 본뜬 ‘인공 와우’는 청각
신호
를 만들어 청력을 잃은 사람도 소리 감각을 느끼게 해 줘요. ‘인공 망막’과 안구는 시력을 잃은 사람이 다른 사람의 눈을 이식받지 않고도 세상을 볼 수 있게 해 준답니다 ... ...
나방과 박쥐의 끝없는 생존경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6호
적의 통신을 방해하는 걸 뜻해요. 주로 독이 없는 나방들이 독이 있는 나방보다 화려한
신호
를 내 박쥐의 초음파를 혼란시키고 박쥐의 공격에서 벗어나지요. 나방과 박쥐의 끝없는 생존 경쟁박쥐가 밤하늘을 장악한 지난 6500만 년 동안 나방과 박쥐는 생존을 위해 공격과 방어무기를 지속적으로 ... ...
풍선으로 띄우고, 우주로 보내고~ 새로운 인터넷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특성 때문이에요.가장 큰 문제는 거리예요. 예를 들어 지구에서 화성과 통신한다면 한 번
신호
를 보내는 데 최대 22분이 소요돼요. 스마트폰 메신저로 “ㅋㅋ”, “ㅋㅋㅋ”라는 대화(?)를 주고받는 데 40분이 넘게 걸린다고 생각해 봐요. 생각만 해도 답답하죠?게다가 우주에는 이미 수많은 전파가 ... ...
참매미의 새벽 대합창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4호
나무에 살고 있는 한 반딧불이는 한 나무에 수십 마리씩 모여 동시에 깜빡거리며 짝짓기
신호
를 보내요. 멀리서 보면 마치 크리스마스 트리 같지요. 반딧불이의 짝짓기 역시 서로가 서로의 뒤에 숨어서 포식자를 피하는 희석효과를 이용한 예랍니다.그럼 매미들의 합창을 잘 들으려면 언제가 가장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