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류"(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세인트 앤서니 폭포 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강은 인류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한강이 서울의 젖줄이고 낙동강이 영남의 젖줄이라는 말 들어보셨을 겁니다. 세계 1위 강대국이라고 하는 미국의 젖줄은 미시시피 강입니다. 미시시피 강은 나일 강, 양자 강, 아마존 강 다음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강으로, 전체 길이가 6000km에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부모님을 구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 가장 좋아하는 붉은색과 푸른색 빛을 주로 쓰지요.앞으로 인류는 2030년에 화성에 가겠단 계획을 세우고 있어요. 이를 실현하기 위해 가장 큰 과제는 먹거리 해결이에요. 화성에 가려면 최소 몇 달은 걸리는데, 우주비행사들이 먹을거리를 우주선에 잔뜩 싣고 떠날 순 없어요. ... ...
- [Photo] ‘만인의 광물’ 방해석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피라미드에서 지구온난화 해법까지고대 이집트와 그리스, 로마 문명은 빛나는 인류의 유산이다. 특히 장엄함과 아름다움을 자랑하는 건축물은 오늘날까지 보는 이로 하여금 감탄을 자아낸다. 그 예술성과 건축 기술의 탁월함 때문이다. 여기에도 방해석으로 이뤄진 석회암과 대리암이 쓰였다 ... ...
- [Culture]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간의 마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지금까지 인간만 누려왔던 영역들을 하나둘 빼앗기게 될까. 일각에서는 AI가 발전 할수록 인류가 예상치 못할 위기에 직면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하지만 필자는 오히려 앞으로가 인간에게 희망을 주는 시대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4차 산업혁명이 일어나더라도 ‘사람과 사물 간의 상호작용 ... ...
- [과학뉴스] 아기 부르는 엄마 음색은 인류 보편적?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어린 자녀와 이야기할 때 부모는 본능적으로 짧고 반복적인 구절을 사용하고 목소리의 높이를 과장되게 높인다. 최근 연구 결과, 이 때 음색도 특정 방식으로 바뀐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음색은 음의 높낮이가 같아도 사람이나 악기에 따라 달리 들리게 하는 소리의 특성이다. 그리고 이런 현상 ... ...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변화와 문제를 예측하고, 이를 해결할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며 “이 프로젝트가 인류의 유인 화성 탐사의 걸림돌을 줄이는 데 일조한다는 점에서 뿌듯하다”고 밝혔다. 창문이 하나 밖에 없는 천막 돔대원들은 8개월간 개별 블로그를 개설하고 틈틈이 소식을 전했다. 제임스 베빙턴 대원은 ...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살아 있을 때 건강 상태와 사망 원인 등을 추정할 수 있다. 신동훈 서울대 의대 생물인류학및고병리연구실 교수는 2003년부터 미라를 의학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묘에서 갓 발굴한 미라를 컴퓨터단층촬영(CT)하면 내부 장기까지 확인할 수 있다. 신 교수는 “미라의 장기는 수분이 하나도 없이 바짝 ... ...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쉽지 않은 결정이었을 걸로 믿습니다.”마치 가장 먼저 불을 일으키는 법을 발견한 인류가 주변 원인(原人)들에게 ‘우리가 이걸로 당신들을 멸종시킬 수도 있다’며 부싯돌을 맡긴 것과 비슷한 일이었다. 내가 그렇게 말했더니 프로스페로는 씁쓸하게 웃었다.“가장 먼저 불을 일으키는 법을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인류에게 중력파라는 또 다른 ‘눈’이 생겼다.이 같은 ‘다중신호 천문학’을 통해 인류가 우주를 더 깊게 이해하게 될 거라는 기대가 커졌다.그리고 중력파의 노벨물리학상 수상을 축하라도 하듯, 그 일이 실제로 일어났다.10월 17일(한국시간) 공개된 다섯 번째 중력파 신호(8월 17일 검출)와 후속 ...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은 감마선 방출이 은하 중심부에 집중돼 있음을 보였다. 인류가 암흑물질의 정체에 한 발짝 다가간 셈이다. 플랑크 위성은 2009년 5월에 발사된 3세대 우주배경복사 관측 위성이다. 우주배경복사는 빅뱅 후 38만 년 뒤에 방출된 ‘태초’의 빛으로, 초기 우주에 대한 ... ...
이전8889909192939495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