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자
구성원
알맹이
극소량
티끌
미립자
브이
d라이브러리
"
입자
"(으)로 총 2,810건 검색되었습니다.
피구왕 통키의 불꽃슛?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날아온 고에너지
입자
들이 지구의 자기장과 만나면 어떤 모습일까. 미국 뉴햄프셔대의 우주과학자 시바 카보시는 최근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함께 태양풍과 지구 자기장이 상호작용하는 현상을 시뮬레이션 해 5월 11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했다.‘켈빈-헬름홀츠파’라고 불리는 이 ... ...
원자를 세는 영원불멸의 수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얘기하면서 탄소 12g 이야기를 할 필요가 없게 됐다. 1몰은 그냥 아보가드로 상수만큼의
입자
개수라고 말하면 된다. 하루는 24시간이고, 1시간은 60분인 것처럼 말이다. 겨우 이 정도 작은 숫자 하나 정하려고 그 수고를 하나 싶지만 눈에 보이지도 않는 그 전진이 바로 과학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 ...
[생활] 이종필 교수와 백북스 수학아카데미 사람들 우리도 아인슈타인이 될 수 있을까요?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이종필 고려대 전기전자전파공학부 연구교수가 ‘백북스’ 독서클럽 모임에서
입자
물리학을 주제로 강의를 했을 때였다. 뒤풀이에서 박용태 백북스 서울 모임 회장이 이 교수에게 이런 질문을 던졌다. “우리가 일반상대성이론의 중력장방정식을 직접 수학으로 풀어 볼 수 있을까요?” 이 교수는 ... ...
‘펜타쿼크’ 반세기 만에 발견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년대부터 이론적으로 예견됐을 뿐 실제로 관측된 적이 없었다.CERN 연구팀은 ‘람다 b’ 중
입자
가 붕괴되는 과정에서 우연히 펜타쿼크를 찾았다. 붕괴 과정에서 3개의 쿼크가 검출될 것으로 예상했는데, 2개의 쿼크 신호가 추가로 검출된 것이다. 실험에 참가한 미국 시러큐스대 물리학자 토마스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나노
입자
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색상의 빛을 다시 발산하죠. 양자점 TV는 이런 나노
입자
의 크기를 다양하게 만들어 아주 섬세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LCD TV에서 광원인 LED 램프와 화면 사이에 양자점 필름 한 장만 덧붙이면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입니다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공식과, 이를 발전시킨 물리적 모델로 심사 위원들의 흥미를 끌었다. 그중에는 대표적인
입자
론자인 푸아송도 있었다. 그는 프레넬의 논문에 매료됐으면서도 파동론을 지지하는 물리적 결론에 대해서는 쉽게 동의하기 못했다. 프레넬의 이론을 면밀하게 살펴보던 푸아송은 결국 반론을 제기했다. ...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본 적이 없다. 즉 개별적으로는 시간 되짚음 대칭성이 있는 물리법칙을 따르는 미시적인
입자
들이라도, 여럿이 함께 모여 거시적인 물체를 이루면 마치 시간 되짚음 대칭성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는 뜻이다.볼츠만의 엔트로피가 바로 이 패러독스를 해결해냈다. S=kBlogW 에 따르면, 거시적인 세계에서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양전하
입자
가 올라가는 길은 하나로 이어진다. 이때 전자가 낸 계단 모양의 길을 양전하
입자
가 따라 올라가면서 번쩍번쩍 빛을 낸다(되돌이 뇌격).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빛은 바로 되돌이 뇌격이다. 즉 우리가 본 번개는 대부분 땅에서 하늘로 솟구치는 현상이다. 전자가 내려오고 되돌이 ... ...
[생활] 우주로 떠나는 시간여행 천문학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선 모양으로 늘어선 것과 같은 거대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물리학 법칙을 따르는 작은
입자
는 아무렇게나 움직이는 것 같았지만, 크게 보면 일정한 패턴이 보였다.연구에 쓰인 SW를 직접 프로그래밍한 김주한 고등과학원 거대수치계산센터 연구교수는 “우주가 팽창하면 어느 구역이든지 물질이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이다. 에어로졸은 병원 내에서 인공기관지 삽관 등 시술이 있을 경우에 발생하는데,
입자
가 작고 가벼워 공기 중에 떠다닐 수 있다. 하지만 에어로졸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에어로졸로 감염되기란 쉽지 않다. 크기가 작은 만큼 그 안에 포함된 바이러스의 양도 적을뿐더러 환기구를 통해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