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학
화학
d라이브러리
"
자연 과학
"(으)로 총 4,467건 검색되었습니다.
선을 넘은 사랑, 혜성을 만들고 죽이다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거리는 지구까지 거리의 5만 배 정도다.
과학
자들은 ‘너의 이름은’의 혜성처럼 지구로 ... 바탕으로 함수의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 뉴턴이
자연
현상을 분석하면서 사용했다. 슈메이커-레비 제 ... 복합적으로 작용해 쪼개졌을 것이다.우리는
과학
시간에 중력이 내 몸의 한 점에 작용하는 것처럼 ... ...
[쇼킹 사이언스] 알록달록 무지개 산이 있다?! 단하지형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진 무지개 산이 있어요. 이 단하 지형들은 독특하고 경이로운
자연
경관으로 인정받아, 2010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됐답니다 ... ...
[공룡은 왜?] 꼬리뼈에 이빨 자국이? 공룡의 사냥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박물관과
과학
관에는 다양한 종류의 공룡 뼈화석들이 전시돼 ... 공룡들의 사냥 이야기를 들려 줄게요.국립과천
과학
관 2층
자연
사관에 가면 육식공룡만큼 거대한 초식공룡 뼈화석을 만날 수 있어요. 주인공은 에드몬토사우루스예요.에드몬토사우루스는 중생대 백악기 후기(약 6600만 년 전~7300만 년 ... ...
Part 2. 빙하기 땅이 꽁꽁 얼면 동물이 커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털매머드는 빙하기에 딱 맞아!털매머드를 포함한 대부분의 매머드가 살았던 시기는 약 285만 년 전부터 1만 년 전까지 이어진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예요. 이 시기 후반부는 또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답니다. 바로 ‘빙하기’지요.지금은 평균 기온이 영하에 머무르는 북극과 남극, 그리고 그 부 ... ...
Part 5. 복원 털매머드 되살리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유전자가 있으면 매머드를 다시 만날 수 있다?멸종한 동물의 유전자를 현재 살아 있는 동물의 유전자에 끼워 넣어 멸종한 동물을 되살리려는 연구가 늘고 있어요. 그 가운데서도 털매머드는 가장 먼저 복원될 가능성이 높은 동물로 꼽혀요.털매머드 화석이 가장 많이 발굴되는 시베리아에는 1 ... ...
[2017 국가수리
과학
연구소] 즐거운 수학 체험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Camp 창의력과 우정이 넘친다! 어디에도 없던 수학캠프수학은 다양한
자연
현상과 사회현상을 설명하는 힘이 있습니다.국가수리
과학
연구소와 대한수학회는 수학을 좋아하는 국내 일반고 학생들이 수학의 힘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습니다. 캠프에서 친구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하면서 수학의 ... ...
[
과학
뉴스] ‘청정구역’ 마리아나 해구까지 오염됐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심해가 심각하게 오염됐다는 첫 증거가 나왔다.영국 뉴캐슬대 해양
과학
및기술대 앨런 제이미슨박사팀이 태평양 마리아나 해구 10km 해저에서 무인 ... 단열물질에 사용하던 물질로 1970년대에 이미 사용이 금지됐다. 그러나
자연
적으로 분해되지 않아 동물의 몸에 축적돼 먹이사슬을 타고 상위 ... ...
[Career] 꿈의 연구실에서 만든 꿈의 다이오드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물리현상’이 잘 조합된 연구 주제를 주신다”고 말했다.박기복 UNIST
자연과학
부 교수(왼쪽에서 세 번째)의 연구실에는 아주 특별한 장치가 있다. ‘내부광전자방출 측정시스템’이다.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 표면에 금속 박막을 올려 다이오드를 만든 뒤 다양한 에너지의 광자를 쏘이면서 전류를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지구의 온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연
적인 요인은 태양 활동의 주기, ... 뜻이다. 허창회 서울대 지구환경
과학
부 교수는 “온난화라고 해서 기온이 ...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런
자연
주기의 일부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 MIT) 기상학과 교수는
과학
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를 통해 “지구의 평균 기온은 .. ...
[Issue] ‘김’ 뜨는 마을 충남 서천 마량항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친숙한 해조류인 ‘김’. 그 안에 담긴 이야기와
과학
을 찾아 충남 서천의 생생한 김 양식 현장으로 ... 김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전세계에는 50여 종의
자연
종자가 있고, 우리나라는 서해와 남해안을 ... 종자와 섞어서 사용한다. 허진석 국립수산
과학
원 해조류연구센터 연구사는 “단기간에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