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시
주의
응시
감시
관찰
묵시
각광
d라이브러리
"
주목
"(으)로 총 4,113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생기지 않는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알파갈 유전자가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돼지가
주목
받는 이유는 효율성 때문이다. 임신 기간이 100일 정도로 짧고, 수개월만 기르면 이식에 충분한 크기로 장기가 자라나는 점 등이 장기 생산에 유리하다. 장기이식에 적합하도록 형질을 전환한 돼지의 가격이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부위별 역할을 알 수 있게 됐습니다. 수술 없이 뇌 치료 길 열려이런 광유전학 방법이
주목
을 받고 있는 이유는 간단하면서도 안전하게 뇌 치료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이서로스 교수팀은 빛을 이용해 쥐 뇌의 시상 하부 영역을 활성화시켜 잠든 쥐를 깨우는 데 성공했습니다. 실제 빛을 ... ...
시계장인은 수학천재? 태엽 시계의 반란
수학동아
l
2018년 01호
스마트워치로 심장 박동까지 알 수 있는 지금 이런 게 뭐가 대단하냐고? 셀레스티아가
주목
받은 이유는 건전지 없는 기계식 시계여서다. 태엽으로 수많은 톱니바퀴를 돌려 추가 기능을 구현한다. 전기의 힘으로 움직이는 쿼츠 시계★에 비해 훨씬 어렵다. 셀레스티아는 장인 한 명이 5년 동안 514개 ... ...
[Future] 뒤로 공중돌기 완벽 성공, 너의 이름은 아틀라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연구팀은 사람이 팔을 움직일 때 이두박근과 삼두박근이 서로 번갈아 당겨진다는 점에
주목
했다. 이를 모방해 두 개의 유압 실린더를 단 액추에이터를 개발했다. 이 액추에이터를 로봇 팔에 부착해 로봇 손목이 최대 210도까지 움직이도록 했다. 로봇손에 액추에이터와 전기모터를 둘 다 적용하자 ... ...
통계로 예측하는 쩐의 전쟁, 이적 시장
수학동아
l
2018년 01호
분들은 footballobservatory.com에서 선수정보를 넣어 직접 계산해 보세요. 겨울 이적 시장을
주목
하라!유럽 주요 리그의 이적 시장은 크게 두 번 열립니다. 6월부터 8월까지 열리는 여름과 1월 한 달 동안 열리는 겨울 이적 시장인데요. 시즌의 성패를 가르는 선수 영입을 매 시즌 두 번 밖에 못하기 때문에 ... ...
[공룡은 왜?] 단단한 머리뼈로 박치기를 쾅! 파키케팔로사우루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여전히 논쟁 중지난 2013년, 파키케파로사우루스가 머리로 박치기를 했다는 주장이 다시
주목
받기 시작했어요.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의 피터슨 박사 연구팀이 파키케팔로사우루스 머리뼈화석을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거든요. 연구팀은 파키케팔로사우루스 머리뼈화석 109개를 컴퓨터 단층촬영(CT)으로 ... ...
[과학뉴스] 투명한 태양 전지판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전기로 바꾸는 태양광 에너지는 친환경 기술로
주목
받으며 점점 확산되고 있어요. 하지만 태양광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 전지판은 무겁고 새까만 탓에 아무 곳에나 설치하기 어려웠지요. 그런데 최근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연구팀이 투명한 태양 전지판을 개발했어요. 연구팀은 태양 전지판 ... ...
[공룡은 왜?] 공룡 백과사전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세이스모사우루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알지 못했던 정보가 드러나고 있거든요. 특히 과학자들은 디플로도쿠스류의 긴 목에
주목
하고 있어요. 아직 디플로도쿠스가 왜 이렇게 긴 목을 가졌는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거든요. 그런데 지난 2006년, 미국 라마르주립대학교 센터 박사는 암컷과 수컷의 목 길이가 다르다는 주장을 내놨어요. ... ...
[가상인터뷰] 카시니 호, 토성에서 최후를 맞이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9호
더 크죠. 일리: 토성에서 너는 어떤 일을 했니? 카시니 호: 수많은 자료들 중 가장
주목
받은 성과는 위성인 엔셀라두스에서 생명체의 가능성을 발견한 거예요. 저는 얼음 위성인 엔셀라두스의 남극 지역에서 솟아나는 따뜻한 물기둥과 바다를 발견했어요. 그리고 물기둥 성분을 분석한 결과 물과 ... ...
Part 2. [도전 ➊] 세포를 냉동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한다. 북극 효모에서 결빙방지단백질을 찾다!최근 과학자들은 결빙방지단백질에
주목
하고 있어요. 결빙방지단백질은 지난 1969년 미국의 동물학자인 아서 드브리스가 남극에 사는 경골어류에서 발견한 물질이에요. 추운 온도에서 체액이 어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지요. 효과가 뛰어나고,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