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대
줄거리
요점
개요
개략
스토리
d라이브러리
"
줄기
"(으)로 총 1,425건 검색되었습니다.
1.
줄기
세포 희망심기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서울대 의대 김효수 교수는 올해 중반부터 새로운
줄기
세포 임상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게
줄기
세포를 주사해 심장에 새로운 혈관 ... 진짜 희망을 따줄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다시 꾸는
줄기
세포의 꿈1.
줄기
세포 희망심기2. 정자 없이 수정하는 난자 ... ...
1. 대한민국 최고과학자의 몰락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2개를 11개로 조작했다.” 서울대 조사위원회가 12월 23일 발표한 내용의 핵심은 “2005년 ‘사이언스’ 논문의 데이터들은 세포 2개에서 얻은 ... 파형도 사람마다 다르게 나온다. 환자 맞춤형
줄기
세포에 사용된 체세포와 복제배아
줄기
세포의 유전자는 같기 때문에 DNA지문도 당연히 같다 ... ...
잃어버린
줄기
세포의 희망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최고과학자 서울대 수의대 황우석 교수의 논문은 결국 ‘조작’이었다. 황 교수팀에게 ‘
줄기
세포 원천기술’이 남아있더라도 난치병 환자들이 의지했던 희망은 이미 아련해졌다. 거짓은 결국 과학에 대한 신뢰를 갉아먹게 될 것이다.서울대는 12월 15일 조사위원회(위원장 정명희 교수)를 꾸려 ... ...
2. DNA지문검사 과정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비교한다.
줄기
세포와 체세포가 같은 사람에서 유래했다면 DNA지문이 일치한다. 그러나
줄기
세포가 돌연변이를 일으켰거나 손상됐다면 DNA지문이 일치하지 않거나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친자관계나 죽은 사람 신원 확인도 가능하다. 단 친자 확인 결과는 ‘일치한다’가 아니라 ‘몇% 확률로 ... ...
3. 논문 진실찾기 흐름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있다고 주장12월 18일_ 서울대 조사위, 황우석팀 본조사 착수12월 19일_ 2004년 논문
줄기
세포 사진 미즈메디병원과 동일 의혹 제기12월 20일_ 노성일, 난자 1000여개 제공 주장12월 23일_ 서울대 조사위, 중간 발표. 황우석 교수 사퇴 ... ...
4. 진실DNA를 캐낸 숨은 주역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미즈메디병원 노성일 이사장 “
줄기
세포 내 눈으로 확인했다.” (12.4 동아일보에)→“
줄기
세포 현재는 없다. 11개 중 9개는 분명 가짜다.” (12.15 언론에)한양대 윤현수 교수 “내가 직접 테라토마 실험을 했다.” (PD수첩에)→“테라토마 준비작업만 했지 직접 실험하진 않았다.” (매일경제에 ... ...
PART1 과학잡지가 바꾼 세상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황우석 교수의
줄기
세포 논란으로 우리가 많이 듣는 이름들이 있다. 바로 ‘사이언스’(Science), ‘네이처’(Nature), ‘사이언티픽 아메리칸’(Scientific American) 같은 세계적으로 명망 있는 과학잡지 이름이다. 전세계 과학자들의 선망의 발표 공간으로 학문적인 공인과 권위를 얻는 바로 그 잡지들이다 ... ...
돌개구멍이 만든 조각 공원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가평천은 계곡 사이로 들어선 울창한 원시림과 넓은 암반 위를 타고 흐르는 시원한 물
줄기
가 끊임없이 시원스럽게 이어져 그야말로 경기도 제1의 계곡이라 하기에 손색이 없다. 그런데 백둔계곡과 명지계곡이 만나는 백둔교에서 명지계곡 쪽으로 500m 정도 올라가면 하천 바닥 암반 곳곳에 크고 ... ...
북극과 남극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조류가영하 50℃의 차가운 얼음 속에서도 생존할 수 있게 하는데, 혈액이나 장기,
줄기
세포 등을 냉동 보관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입니다.우리나라가 북극으로 진출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요즘 북극으로 주변 나라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어요. 북극을 통과하는 항로는 유럽과 아시아, ... ...
2005년 과학계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증언을 보도하고 생명과학인들이
줄기
세포 사진 조작 의혹을 제기하면서 환자맞춤형
줄기
세포 연구 진위 논란이 불거졌다.02_세계 최초 50나노 16기가 낸드플래시 메모리 개발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50나노(1나노는 10억분의 1m) 공정기술을 적용한 16기가비트급 낸드플래시 메모리 개발에 성공했다.03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