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국"(으)로 총 3,4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섭섭박사] 칠교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불리지요.미국과 유럽에도 칠교와 똑같은 ‘탱그램’이라는 퍼즐이 있어요. 중국의 칠교가 19세기에 유럽으로 건너가서탱그램이 됐다고 알려져 있답니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탱그램 문제집이 팔릴 정도로 유행했지요.칠교놀이 또는 탱그램에서 사용하는 도형은 딱세 가지예요. 모든 변의 ... ...
- 벌레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말벌에 쏘였을 때 숨쉬기가 어려워지면 즉시 병원으로 가서 치료받아야 해요.최근에는 중국에서 들어온 외래종인 ‘등검은말벌’이 전국으로 퍼지고 있는 것도 문제예요. 특히 영남지역의 경우 벌집제거 신고의 50% 이상이 등검은말벌일 정도지요. 등검은말벌은 지난해 9월, 소방관 사망사고를 ... ...
- [숲이야기] 여름 숲을 수놓는 하늘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인공적으로 키우기 위해 계속 연구하고 있답니다.그 결과 올해 초, 지난 2014년 중국에서 데려온 수컷과 암컷이 교배해 낳은 알을 어른벌레로 키워내는 데 성공했어요. 앞으로 이 기술을 이용해 장수하늘소의 특징을 더욱 깊이 알아가고, 토종 장수하늘소를 복원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할 예정이랍니다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정기! 천 보(步)를 걸어 닿은 명당오른쪽 벽화를 본 적이 있나요? 노란 옷을 입은 사람은 중국 명나라 최고의 풍수지리가 ‘두사충’입니다. 두사충은 임진왜란 때 명나라의 원군으로 조선에 왔는데, 조선의 지세를 살펴서 적합한 장소에 진지를 정하는 것이 그의 임무였습니다.전쟁이 끝나자 ...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pusan.ac.kr)25년째 백두산을 연구하고 있는 우리나라 1세대 백두산 화산학자. 일본 규슈대, 중국 창춘지질학원 객좌교수를 거쳐 작년에는 한국암석학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자연재해와 방재’, ‘백두산 대폭발의 날’ 등이 있다. 화산학 및 화산방재학 분야를 개척한 공로로 지난 10월 ... ...
- [Tech & Fun] 직장과 집만 고집하는 당신, 변해야 ‘동안’된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수 있다고 말한다. 미국 워싱턴주립대 심리상담학과 티모시 처치 교수는 2014년, 미국과 중국, 필리핀, 일본 등 문화권을 조사한 결과 오래된 친구를 만나는 등 외향적인 성격의 사람이 일상생활에서 더 평온한 감정을 유지한다고 학술지 ‘성격연구’에 밝혔다. 연인이나 사회적으로 편안한 관계에서 ... ...
- 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등)가 발달해 있고, 형제·자매뻘 되는 화산 수십 개가 솟아 있다.해양판 기원설일본과 중국 연구팀은 최근 지진파토모그래피 연구를 통해 일본 동쪽에 위치한 해구로부터 섭입하는 태평양판이 백두산 아래 심도 약 500~600km에 있는 상부맨틀과 하부맨틀의 전이대까지 깊숙이 들어가 만주 끝까지 뻗어 ... ...
- Part 2. 가상현실(VR) 드론의 미래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지난 6월 시판된 가상현실 헤드셋 신제품 ‘VR ONE Plus’의 제작을 총괄했다. VR ONE Plus는 중국의 DJI나 프랑스 패럿 등이 생산한 드론과 쉽게 호환할 수 있는 가상현실헤드셋이다. 여기에는 VR드론이나 일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인간이 더욱 생생하고 실감나게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특수 ... ...
- [가상인터뷰] 세상에서 가장 긴 곤충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그 사람이 저를 유심히 보더니 갑자기 깜짝 놀라서 넘어지더라고요. 그 사람은 서중국 곤충박물관 자오 리 박사였어요. 그래서 저의 이름은 ‘프리재니스트리아 차이넨스 자오(Phryganistria chinensis Zhao)’가 됐답니다.일리 : 우리나라에도 너처럼 커다란 대벌레가 살고 있을까?대벌레 : 한국에도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있다. 정 책임연구원은 “한국과 북한, 중국의 공동연구가 가능해지면 북한에서 중국까지 긴 측선을 이어서 그 하부를 동서방향으로 측정할 수 있다”며 “지금까지 얻지 못한 정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한편 백두산 하부구조가 파악되면 그 다음 순서는 마그마 가까이까지 ... ...
이전8889909192939495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