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d라이브러리
"
천체
"(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들이 재미없는 영화를 끝까지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하늘을 보는 기회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 2009년에는 답답한 PC방을 나와 탁 트인 들판에서
천체
를 바라보면 어떨까. 관측을 위한 기초 지식과 쌍안경 사용법부터 차근차근 설명하면서 침묵속에서 변화하는 하늘을 펼쳐 보이고 있다. “가장 맑은 빛을 눈동자에 담고 싶은 사람은 밤하늘 별 여행을 ... ...
망원경, 크기를 향한 무한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모형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천문연구원 대형망원경그룹에서 변광
천체
연구와 더불어 대형광학망원경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 나이 밝힌 허블우주망원경별의 전령사, 갈릴레이망원경, 크기를 향한 ... ...
우주 나이 밝힌 허블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빅뱅으로 탄생한 직후 인플레이션(급팽창)이 일어났고, 물질 밀도가 높은 곳이 뭉쳐
천체
가 생겼으며 암흑물질(22%)과 함께 암흑에너지(74%)가 우세해 가속 팽창하고 있다. 암흑에너지의 유력한 후보는 중력에 대항해 물질을 밀어내는 진공에너지인 우주상수.허블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은하 NGC1569. ... ...
요즘 태양은 왜 민얼굴인가요?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사진과 비디오를 전시하는 프로젝트. 우리나라에서는 아마추어천문가 권오철 씨의
천체
사진이 TWAN 공식 웹 사이트 (www.twanight.org)에 소개됐다. 2008년 12월 31일~2009년 1월 18일 홈플러스 잠실점에서 오프라인 전시회가 열린다.세계 태양 관측 캠페인2009년 1월 1일 보현산 천문대에서 한국천문연구원과 ... ...
[지구과학]우주에 작용하는 힘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하는데, 기조력의 크기는 조석 현상을 일으키는
천체
의 질량에 비례하고 그
천체
까지의 거리 세제곱에 반비례한다. 지구와 달 사이는 만유인력이 작용하므로 지구와 달은 서로 끌어당겨 가까워져야 하나 실제로는 끌려가지 않고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다. 이유는 와 같이 지구와 달이 공통질량중심을 ... ...
“어흥~!”토성 위성의 호랑이 줄무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등의 유기물을 포함한 옅은 대기가 있어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는
천체
예요.이 사진은 지난 2008년 8월 11일에 토성 궤도탐사선인 카시니가 시속 6만 4000㎞로 엔셀라두스를 근접 비행하면 서 찍은 것으로, 호랑이 줄무늬처럼 보이는 좁고 긴 협곡이 잘 드러나 있어요. 과학자들은 ... ...
‘순간’을 필름에 담는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두리번거렸다. 그래도 사진은 마저 찍어야했다. 용기를 내 달과 별 촬영을 계속했다.
천체
사진을 잘 찍으려면 담력부터 키워야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편집자 주 ‘과학계 다빈치를 찾아서’는 이번 호로 마칩니다. 그동안 ‘과학계 다빈치를 찾아서’를 지켜봐 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 ...
[천문학]이웃 태양계엔 소행성대가 2개?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에리다니b’ 외에 2개의 행성이 더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이 연구 결과는
천체
물리학지 ‘아스트로피지컬 저널’ 내년 1월 10일자에 발표될 예정이다 ... ...
설립 700주년_서운관의 잠 못 드는 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관상감이란 이름과 지위를 되찾았다. 그 뒤 관상감은 안정적으로 수백 년에 걸쳐 꾸준히
천체
를 관찰했다.정조가 뽑은 천문학자, 굶어 죽다관상감 학자가 되는 길은 천거를 받거나 과거를 보는 방법이 있었다. 천거는 말 그대로 유능한 전임 천문학자들의 추천을 받는 방법이다. 기본적으로 3명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하는 점이다.변용익 교수 연세대 천문기상학과를 졸업한 뒤 호주국립대에서 천문학과
천체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2년 미국 NASA의 허블펠로우쉽을 수상했고, 하와이주립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지낸 뒤 대만국립중앙대 교수를 거쳐 1998년 연세대에 부임했다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