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academe
학구생활
d라이브러리
"
학계
"(으)로 총 1,500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시아 우주비행선은 국제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층의 단면이 노출되어 있다 1817~1897 프랑스의 광물학자 파리대학 교수를 지냈다광물
학계
초기의 대가로서, 광물의 광학적 성질, 결정 측정 등은 그에게 힘입은 바 크고 구면투영법은 그에 의해 보급되었다열에 의한 광학적 성질의 변화에 관한 연구 등도 있다1870년 프랑스광물학회 초대 회장을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별의 진화모델을 비롯한 이 단장의 연구는 네이처, 사이언스 등에 논문으로 실리면서
학계
에서 주목을 받으며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해나갔다.지성이면 감천일까. 1997년에는 드디어 자외선우주망원경에 대한 구체적인 윤곽이 잡혔다. 11월에 자외선우주망원경 갤렉스 계획이 NASA의 프로젝트로 ... ...
과학과 인문학 사이 다리 놓은 과학기술학자 송상용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과학사학회의 경우 과
학계
에서 인정받게 하려고 1980년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에, 인문
학계
에도 한다리 끼게 하려고 1977년 전국역사학대회에 가입시켰다. 같은 취지에서 1995년 과학철학회도 만들었다.한편 송 교수는 아직까지 과학사학자·과학철학자들 다수가 외면하는 과학의 사회적 측면을 ... ...
가장 오래된 생명체의 DNA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오래된 DNA를 추출했다는 연구결과가 있었다. 그러나 현대 DNA 흔적으로 오염돼 있어
학계
에서는 인정을 받지 못했다. 연구팀은 논쟁을 피하기 위해 다른 과학자들이 자신의 연구결과를 검증하도록 했다. 분석에 참여한 영국 옥스퍼드대의 고대 생물학자 토머스 길버트는 “이번처럼 확실하게 오래된 ... ...
딸꾹질의 기원은 올챙이의 아가미?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전쯤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동물 화석 하나가 세계적인 잡지인 ‘네이처’에 발표돼
학계
를 떠들썩하게 한 바 있다. 페데르페스 피네예(Pederpes finneyae)로 명명된 이 동물 화석은 흉악한 악어의 모습을 하고 있는데, 학자들은 화석의 주인공이 바다에서 육지로 올라올 만큼 모험심 강한 최초의 ... ...
5mm 톡토기에서 진화를 추적하는 생물학자 이병훈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전 서울대 생물학과에 입학했다. 그때부터 그야말로 맨바닥에서부터 시작해 국내 분류
학계
의 선두주자가 됐다.하지만 대중에게는 국립자연사박물관 설립 추진운동가로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지난 10여년 간 각종 신문, 잡지를 통해 우리나라에 국립자연사박물관을 세워야 한다는 주장을 꾸준히 ... ...
사람 얼굴처럼 자동차를 구별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사람 얼굴을 구별할 때 사용하는 뇌 부분의 전기생리학적 활성도를 조사했다. 지금까지
학계
에선 얼굴 구별은 뇌의 한 부분이 전담하고 있다고 생각돼 왔다.연구결과 자동차 애호가가 자동차와 얼굴을 구별할 때 뇌의 활성도는 똑같은 시간에 똑같이 나타났다. 자동차와 얼굴을 본 후 뇌 신호는 ... ...
5 분자생물학 만능시대 극복하는 통합생물학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다양한 생물학 분과들을 접목하는 통합생물학의 한 사례로서 최근 수년 사이에 생물
학계
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통합생물학이 추구하는 방향은 기본적으로 두가지다. 하나는 생물학이란 모름지기 궁극적으로 생명의 다양성을 연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생명의 다양성이란 흔히 쉽게 생각하는 ... ...
씨없는 수박의 개발자는 우장춘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그러나 그는
학계
가 아닌 군대에서 오랫동안 전기통신 분야에 종사한 관계로 과
학계
에는 그다지 잘 알려지지 못했다. 최규남은 몇년 후인 1932년 미시간대를 마쳤으니 물리학 부문에서도 2호 박사가 된다. 그럼에도 실제와 달리 그가 최초의 물리학 박사, 이학박사로 더 많이 알려진 이유는 ... ...
한국의 아리스토텔레스 정약전의 해양생물학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1892년에 잡힌 청어 등뼈수가 지역에 따라 차이가 보이는 것을 통계적으로 분석해 수산
학계
의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받고 있는 ‘레이셜 이론’(racial theory)을 만들었다.그런데‘현산어보’에는 하인케보다 수십년이나 앞선 시기에 이와 비슷한 시도를 했다는 사실이 기록돼 있다. 청어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