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뉴스
"
그림
"(으)로 총 2,102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 나노패턴 빠르고 정확하게 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6
만드는 새로운 공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나노패턴은 실로콘 기판(웨이퍼)에
그림
을 그리듯 회로 패턴을 그리는 방식(리소그래피)을 많이 쓴다. 하지만 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비싸다는 한계가 있어 대체 기술이 널리 연구되고 있다. 대표 후보가 김 교수팀이 연구중인 고분자를 이용한 ... ...
[주말N수학] CIA요원마저 사로잡은 대테러 수학의 세계
수학동아
l
2019.06.15
테러 조직 역시 수장과 부하 조직원으로 이뤄진 부분 순서 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림
에서 A부터 순서를 따라 내려가면 최종적으로 잔디밭에 물을 주게 되는 것처럼, 테러 조직도 A에서 말단 조직원까지 지시가 도달하면 테러가 일어나게 됩니다. 이때 다음 식을 사용하면 각 점의 조직원을 ... ...
[글로벌프런티어]가상의 세상과 소통하는 공존현실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일치해 몰입감이 높다. 손 동작과 가상 공간 속 움직임이 일치하지 않으면 자신이
그림
을 그린다는 감각을 느낄 수 없고, 흥미와 몰입감이 크게 떨어진다. 연구단은 실용적인 장치를 개발해 이 문제를 훌쩍 해결했다. 공간 터치감 지원 핸드 모션캡처 외골격 장치. 연구단이 자체개발한 이 장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253명의 19%에 이른다. 반면 ‘발바닥이 인체의 축소판’이라며 경혈 자리를 묘사한
그림
은 꽤 그럴듯하게 보임에도 왠지 믿음이 가지는 않는다. 서 있거나 걷거나 뛸 때 중요한 기능을 하는 발이 다른 신체 장기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세분돼 각각 서로 연결돼 있다는 말인데 뭔가 필연성이 느껴지지 ... ...
온도 제어 세포배양 기술로 인체 유래 상피세포 배양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배양할 수 있는 플랫폼이 개발됐다. 국제학술지 '바이오머티리얼스 사이언스' 6월호 표지
그림
으로 선정됐다. -사진제공 바이오머티리얼스 사이언스 국내 연구진이 세포를 넓은 면적으로 키워 인체의 손상 부위에 이식하는 재생의료 기술인 ‘세포시트’를 3차원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 ...
미국 땅을 처음 밟은 이주민은 시베리아에서 건너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6
조상이 됐다. 약 3만~4만 년 전 이후의 시베리아 북동부 인류의 이동을 설명한
그림
. 미지의 고대 북시베리아인이 베링기아에 진출했고, 이 과정에서 동아시아에서 유래한 인류와 만났다. 이렇게 섞인 인류는 동서로 나뉘어 일부는 지금은 사라진 고대 고시베리아인이 됐고, 일부는 미국 원주민의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조 힌 치오,염색체와 매카시즘
2019.06.06
지금처럼 정교하지 않았다. 훗날 그의 염색체
그림
을 본 치오는, 이런 낮은 해상도의
그림
으로 염색체 숫자를 거의 근사하게 맞춘 페인터의 공을 높이 샀다고 한다. 나중에 알려진 사실이지만, 페인터가 사용한 세포고정기법으로는 가장 커다란 1번염색체가 동원체를 중심으로 둘로 찢겨 나가는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체이면서 동시에 초유체인 물질은 정말 존재할까
2019.06.04
결정 격자에 해당)이 결맞음 행동을 보여 초유체(보스-아인슈타인 응축)임을 나타낸
그림
이다. 오른쪽은 방울 사이에 결맞음이 없는 평범한 고체 상태다. 하늘색은 원자의 밀도가 낮은 영역이고 빨간색이 짙어질수록 밀도가 높다. 네이처 제공 1957년 미국의 이론물리학자 유진 그로스는 고체이면서 ... ...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
과학동아
l
2019.06.02
있는 만큼 사실상 뇌에서 A와 C만 작동하면뇌 기능은 정상적으로 발현된다. 결국 A와 C는
그림
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 활동을 생성시키는 뇌의 최소지배집합이 된다. 논문의 제1 저자인 이병욱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사후연구원은 “뇌에서 발견된 최소지배집합은 뇌 전체 구역에 존재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체내 미생물의 바다 '마이크로바이옴'
동아사이언스
l
2019.06.01
진행하고 있는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의 여러 연구 성과를 소개하며 표지에 이
그림
을 실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미생물'과 '생태계'를 합친 말로 인체에 살고 있는 미생물과 그 유전정보 전체를 뜻한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를 이루고 있는 세포보다 두 배 이상 많고 유전자수도 100배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