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중성
뉴스
"
둘임
"(으)로 총 1,993건 검색되었습니다.
머리 하나에 몸은 둘 강아지?
팝뉴스
l
2018.12.28
팝뉴스 제공 “머리가 하나인 샴쌍둥이 강아지”라 불리는 견공의 모습이다. 정말 그렇게 보인다. 처음 보면 머리 하나에 몸이 두 개 붙어 있는 것 같다. 그런데 사진을 볼수록 이상하다. 사진에 눈이 하나가 나와야 맞는데 둘이다. 귀도 아래쪽에 있다. 수상한 그림이다. 사진은 절묘한 순간 포 ... ...
‘1000조분의 1초’ 빛으로 ‘왼손잡이 분자’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7
분자의 초고속 움직임을 펨토초 단위로 실시간 분석할 수 있는 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서울센터의 펨토초 다차원 레이저 분광시스템을 연구원들이 사용하고 있다. 화학, 생물, 재료분야에서 다양한 물질의 극초단 반응 동역학 규명 연구에 활용하는 선도연구장비이다. -사진 제공 기초과학지원연구원 ... ...
[해 넘기는 라돈사태]요원한 제품수거, 처리방법 없어 손놓은 업체들(상)
2018.12.23
라돈침대 논란 7개월…매트리스, 베개, 생리대 등 확대 수거명령 불구 수거율 절반 이하 대부분…연락두절 회사도 라돈침대 수거 명령을 받은 대진침대의 충남 천안 본사 야적장. 인적이 끊긴 채 텅 비어 있다. - 천안=조승한 기자 shinjsh@donga.com 올해 5월 3일 대진침대 매트리스에서 방사성 물질인 ... ...
신재생에너지 저장매체로 주목받는 바나듐 배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7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전자제품뿐 아니라 발전소에서 생산한 에너지 저장 장치(ESS)에도 리튬이온 배터리가 널리 쓰인다. 현재까지 나온 수많은 종류의 배터리 중 효율(90% 이상)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2017년 3월 삼성 갤럭시노트7의 발화사태와 같은 화재나 폭발 사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00년 전 가야시대에 정말 차나무가 들어왔을까
2018.12.11
전남 보성의 차밭에 있는 차나무는 중국종으로 크기가 작고 잎도 작다. 곡우 전에 따는 어린 잎으로 만든 우전(雨前)과 그 직후 딴 잎으로 만든 세작(細雀)은 고급 잎차다. 위키피디아 제공 '김해의 백월산에는 죽로차가 있다. 세상에서는 수로왕후인 허씨가 인도에서 가져온 차씨라고 전한다(金海 ... ...
[영상]영국왕립학회가 뽑은 올해 최고의 과학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하늘에 세 개의 다이아몬드 반지가 떴다. 영국 왕립학회가 주최한 국제 과학 사진 대회에서 최종 결선에 오른 작품 '하늘의 세 다이아몬드'란 작품이다. 체코 천체사진 작가 페트르 호라렉은 2013년 11월 3일 우간다에서 있었던 혼성일식을 담았다. 영국왕립학회는 2015년부터 과학의 순간을 포착한 ... ...
40년 미제사건 푼 과학수사,과학계 미투운동…올해 최고 과학뉴스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2
국제학술지 ‘사이언스’가 올해 과학계를 뒤흔든 12개의 이슈에 대한 순위 선정을 위해 온라인 투표를 진행한다. 한국 시간으로 오는 6일 오후 2시까지 사이언스 홈페이지를 통해 투표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이달 20일 발표할 예정이다. https://www.sciencemag.org/news/2018/11/choose-your-2018-breakthrough-year ... ...
금속공기전지 효율 높여줄 새 복합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02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한 새로운 복합촉매의 구조. 원통형 촉매인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SSC·흰색)과 평면 형태인 3차원 질소 도입 그래핀(3DNG·검정색)이 뒤섞인 형태다. 두 물질이 혼합되면 각각 따로 사용할 때보다 월등한 촉매 성능이 나타난다. - UN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저렴한 소 ... ...
[유전자 편집 아기 논란]점입가경 ‘유전자 편집 아기’
동아사이언스
l
2018.12.01
허젠쿠이 중국 난팡과학기술대 교수(가운데)가 28일 홍콩에서 열린 인간유전체교정 콘퍼런스에서 유전자를 수정한 쌍둥이 아기를 태어나게 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AP/연합뉴스 출산 사실이 공개되면서 과학계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큰 파문이 일고 있는 유전자 교정 아기 연구 문제가 새로운 국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간지럼의 정체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간지럼’은 가만히 생각해보면 정말 이상한 행동이다. 만졌을 뿐인데 웃음이 나고, 웃음이 나다가도 조금 지나면 아프고 짜증이 난다. 도대체 간지럼의 정체는 뭘까. 일단 간지럼을 두 종류로 나눠보자. 하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Knismesis)’이다. 벌레가 팔 위를 누비는 상황을 생각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