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뉴스
"
한계
"(으)로 총 3,756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가 당뇨병 발병률 높였다…"남성 확진자에 주로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3.04.19
이러한 주장은 아직 의학적으로 명확한 근거를 얻진 못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의
한계
점으로 "조사 대상자들의 생활습관이나 비만도 등 당뇨병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말하며 코로나19 감염과 당뇨병 발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
ETRI, 로봇 두 대 동시 무선충선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4.19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하나의 송신기로 하나의 수신기를 충전하는 1대1 충전 방식의
한계
를 극복했다는 평가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수신코일 크기와 동일한 하나의 송신 코일을 이용해 송신 코일의 양방향에서 동시에 무선충전이 가능한 ‘듀얼사이드 로봇 무선충전’ 기술을 세계 ... ...
전기차 충방전 반복시 배터리 용량 감소 문제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9
급격한 용량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라며 “기존 상용 첨가제들의
한계
를 극복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남희범 현대차 연구원과 전민호 한국화학연구원 연구원도 참여했다. 연구 역시 현대차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 ...
우리 아이 얼마나 클까...키 결정 유전자 확인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7
뼈의 길이와 모양을 결정하는 유전자를 확인하는 연구에서 활용한 쥐의 연골조직. 위키미디어 제공 아이가 성장한 후 뼈의 길이와 모양을 결정하는 유전자가 확인됐다. 주로 ... 연구팀은 다만 "사람의 신장에 차이가 생기는 원인의 40% 정도만을 설명할 수 있다"며
한계
점을 언급했다 ... ...
소화기관 미생물도 채취하는 캡슐 내시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6
비용을 투입해야 한다. 임상의 숙련도에 따라 검진결과 차이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같은
한계
를 극복하기 위해 먹는 캡슐 내시경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지만 영상 진단만 가능한 단점이 있다. 김자영 랩장 연구진은 ‘소화기용 영상진단 및 미생물 채취를 위한 캡슐 내시경 로봇’을 개발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서서히 풀려가는 인간 생식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04.16
수 있도록 발달했다"면서도 "다만 생식에 대한 과학적 지식과 의학적 기술 모두 주요
한계
가 남아있다"고 말했다. 인간 생식을 인위적으로 조정하는 것과 관련한 4개의 글이 실렸다. 첫번째 글은 캐서린 에이켄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 연구팀의 연구 계획이다. 에이켄 교수 연구팀은 아직까지 ... ...
[기후위기와 산림] '사라진 꿀벌' 돌아오게 하려면 헛개나무 심어야
2023.04.14
또한 황폐지, 유휴지에 마누카숲을 조성해 토양을 피복하고 생태계도 복원한 점은 경작
한계
지를 훼손 없이 경제성 있는 토지로 전환한 좋은 산림비즈니스 모델이다. 현재 처해있는 양봉산업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꿀벌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종의 밀원단지를 확충하는 것이 시급하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엑스선 현미경 해상도
한계
극복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13
교수 연구팀이 임준 포항가속기연구소 박사 연구팀과 기존 엑스선 현미경의 해상도
한계
를 극복할 수 있는 원천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얇은 텅스텐 필름에 수많은 구멍을 뚫은 형태로 만든 엑스선 렌즈를 제안해 입사되는 엑스선을 회절시켜 만든 무작위 회절 패턴 속에 시료의 ... ...
이차전지‧인공지능…지역 산업체질 개선 '메가프로젝트 사업'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3.04.11
이행을 위한 주요과제다. 바텀업 방식의 지역주도 또는 톱다운 방식의 정부중심 기획의
한계
를 보완해 지역이 주도적으로 중장기 지역과학기술 현안을 발굴‧기획한다. 정부는 전문가단을 통해 컨설팅을 지원하는 상호보완 방식으로 관여해 기존 연구개발(R&D) 기획방식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킨다는 ... ...
암·노화에 영향 미치는 '염색체 3차 구조' 원리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말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주재건 KAIST 석박사통합과정생은 "그동안 실험기법의
한계
로 가려져 있던 염색체 간 상호작용 형성원리를 밝혀낸 연구”라고 설명했다. 정인경 KAIST 교수는 “향후 염색체 3차 구조에 따른 유전자 발현 조절 분야와 암 질환 등에서 빈번하게 보고되고 있는 염색체 변이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