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결합"(으)로 총 1,079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0) 남극 오존층을 구하는데 일조한 랄프 시세론2017.01.04
- 염소가 성층권에 있는 오존층을 파괴할 수 있음을 알았다. 즉 염소이온이 불안정한 오존 결합을 파괴한다는 것이다. 한편 영국의 대기화학자 제임스 러브록은 세계 곳곳의 대기를 분석한 결과 냉장고 냉매인 염화불화탄소(CFC)가 검출됐다는 연구결과를 1971년 ‘네이처’에 보고했다. 이듬해 그는 한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 극저온에서 새로운 물질 상태를 구현한 데보라 진2016.12.31
- 극도로 낮춰 극저온을 만든 뒤 원자들을 접근시켜 페르미온 분자(두 원자가 화학결합을 한 진짜 분자는 아니고 강하게 상호작용하는 쌍이다)가 보손처럼 행동하게 만드는데 성공했다. 즉 2003년 페르미온 응축 상태를 구현한 것이다. 최근에는 두 원자로 이뤄진 진짜 분자로 극저온의 화학반응을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2016.12.29
- 지식이 없는 동료들에게 그의 접근법은 경이 그 자체였다. 1980년 첸은 칼슘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형광색소인 퀸2(quin-2)를 합성해 세포 내 칼슘신호 전달 과정을 포착하는데 성공했다. 1982년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생리학과에 자리를 잡은 첸은 1985년 퀸2보다 성능이 훨씬 뛰어난 푸라2를 만들었다. ... ...
- 조류독감은 백신으로 예방할 순 없나요?2016.12.21
- 번호를 매겨 바이러스 이름을 완성합니다. 둘 중 H관련 단백질은 동물의 세포와 결합해 바이러스가 세포 안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백신을 만들 때는 유행하는 바이러스의 H관련 단백질이 몇 번인지가 가장 중요해요. 같은 종류의 H관련 단백질이 포함된 바이러스를 ... ...
- 올해도 내년에도 목표는 금연2016.12.21
- 도파민을 분비시켜 쾌감과 만족을 일으킨다. 바레니클린은 니코틴 대신 니코틴 수용체에 결합해 니코틴의 작용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바레니클린이 맞지 않는 경우에는 부프로피온이나 니코틴 패치나 껌, 사탕 등을 이용한 니코틴 대체요법을 쓸 수 있다. 부프로피온은 항우울제의 일종으로 체내 ... ...
- [사이언스 지식IN] 예뻐지고 싶은 그대를 위한 보톡스의 진실동아사이언스 l2016.12.16
- 나타납니다. 대신 효과의 지속 시간은 3~6개월 정도로 짧은 편입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결합했던 조직에서 떨어져 나와 소변으로 배출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시술 받을 때, 주사기의 청결 상태는 매우 중요합니다. - GIB 제공 여기까지만 보면 필러는 보톡스에 비해 훨씬 안전하다고 느껴지지만,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분자화석으로 지구 역사를 재구성한 화학자, 지오프리 에글린턴2016.12.12
-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가 고안한, 각각 삼중결합을 지닌 두 분자의 탄소 사이의 결합반응은 ‘에글린턴 반응’으로 불린다. 학위를 받은 뒤 에글린턴은 천연물화학으로 관심을 돌렸다. 그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 같은 최신 분석기기를 써서 복잡한 혼합물을 분리해 구성 성분을 규명했다. 특히 잎의 ... ...
- 우리는 보노보를 롤모델로 삼아야 할까?2016.10.25
- 조직은 첫째 남성끼리의 유대, 둘째 여성끼리의 유대, 셋째 핵가족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결합돼 있다”고 요약한다. 이 가운데 남성끼리의 유대는 침팬지와 공유하는 특성이고 여성끼리의 유대는 보노보와 공유하는 특성이고 핵가족(일부일처제)은 인간만의 특성이라는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2016.10.18
- 4인 이산화탄소를 1분 정도로 짧게 노출시킨 뒤 잎을 갈아 분석하면 이산화탄소가 처음 결합한 분자가 정말 탄소 4개짜리인지 알 수 있다고 가정했다. 그리고 실험한 결과 정말 그랬고 이를 발표한 게 1966년 논문이다. 그 뒤 C4 광합성 연구가 이어지면서 흥미로운 사실이 밝혀졌다. 즉 C4 광합성을 하는 ... ...
- 기초과학부터 신산업 창출까지 현대과학의 '팔방미인' 가속기IBS l2016.10.04
- IF)를 동시에 접목하는 기술은 세계 최초로 시도되는 것이다. 라온은 ISOL과 IF의 결합을 통해 우주에 존재하는 동위원소의 80% 이상을 만들 수 있다. 라온은 가속기계 팔방미인으로 평가받는다. 새로운 원소 발견과 중성자별 연구와 같은 기초연구는 물론 신소재 개발, 차세대 방사선 치료법 개발, ... ...
이전8889909192939495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