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체
육체
육신
인체
몸통
동체
바디
스페셜
"
몸
"(으)로 총 1,34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젊을 때 근력운동을 해두면 좋은 이유
2019.02.06
큰 조직이다. 그렇다면 인체를 이루는 세포 가운데 근육세포의 수가 가장 많을까. 우리
몸
은 세포 30조 개로 이뤄져 있는데, 이 가운데 90% 가까이는 적혈구와 혈소판이다. 혈액은 5리터 밖에 안되고 적혈구와 혈소판이 차지하는 부피는 2리터에 불과하지만 워낙 크기가 작아 수로는 다른 세포들을 ... ...
[팩트체크] 잘못된 논문에…“슬라임 유해성 과장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뜻이다. 또 삼킨다 하더라도 실제로는 함량보다 훨씬 더 적은 양이
몸
에 남으며 그 중에서도 붕산은 매우 적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앞서 지난해 11월 미국에서도 슬라임을 두고 비슷한 논란이 있었다. 일부 연구자들이 붕소의 유해성이 그동안 간과돼 왔다고 주장하고 ... ...
[Science토크] 면역항암제는 암 정복에 장밋빛 미래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기전 자체가 다르다. 1, 2세대 항암제처럼 약물이 직접 암세포를 공격하는 게 아니라 우리
몸
에 있는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만든다. 현재 암 환자 치료에 쓰이고 있는 면역항암제는 면역관문억제제로 통한다. 면역항암제 치료방법. 암세포는 체내 면역체계를 피해 증식한다. 암세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
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기차에 직업을 빼앗기고 개는 대다수가 정적인 생활을 하는 사람의 반려동물이 되면서
몸
을 쓸 일이 없어졌다. 그 결과 오늘날 정적인 생활을 하게 된 말과 개의 건강을 유지하려면 사람과 마찬가지로 따로 운동을 시켜줘야 한다. 지난 2017년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 ...
미세플라스틱
몸
속 들어오면 세포 꼼짝 못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있다. - 자료: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버려진 플라스틱이 깨지면서 발생한 미세플라스틱이
몸
속에 들어오면 세포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가 손상되고, 독성이 약한 물질의 유해성을 증폭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정진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앞에서 포즈를 취한 스탠리 밀러. 당시 23세의 대학원생 신분으로 언론의 주목을 한
몸
에 받았다. 시카고대 제공 밀러는 자신이 그 실험을 해보고 싶다고 말했고 유리 교수는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며 말렸지만 밀러가 고집을 부리자 “6개월에서 1년 정도 해보고 안 되면 접자(학위를 받을 수 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다이어트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
2019.01.02
시간제한섭식이 주목을 받게 된 건 24시간 리듬인 생체시계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음식도
몸
의 생리 리듬에 맞춰야 먹어야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해가 뜨면 깨어나 활동하고 해가 지면 잠자리에 들어야 하는 주행성 동물인 사람은 낮에 먹어야 섭식에 관여하는 호르몬이나 효소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받는 기쁨보다 주는 기쁨이 더 오래간다
2018.12.22
심리학과 래러 애크닌 교수는 실험을 통해 똑같이 돈을 써도 자기 자신을 위해 쓸 때보다
몸
이 아픈 아이들을 위해서 쓰는 등 ‘타인’을 위해 쓸 때 더 행복감이 증가한다고 밝혔다. 최근 시카고 대 에드 오브라이언 교수는 같은 돈도 남을 위해서 쓸 때 더 ‘오래’ 행복하기도 하다는 연구결과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2018년을 빛낸 획기적 연구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2
이중나선 형태의 유전물질인 DNA가 모습을 드러낸다. DNA의 염기가 해독돼 우리
몸
에 필요한 단백질이 생성되는 과정을 ‘번역’이라 한다. 번역 과정을 시작하거나 멈추기 위해 작용하는 물질 중 하나가 단일가닥의 염기로 이뤄진 RNA 전사체다. 발달 과정에서 생기는 RNA 전사체를 따라가면 무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00년 전 가야시대에 정말 차나무가 들어왔을까
2018.12.11
보인다) 사람에게는 진정효과와 신경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차나무는
몸
안에 질소를 저장하기 위해 테아닌을 만드는 것으로 보인다(한 분자에 질소원자 두 개를 지니고 있다). 다즐링이 아삼보다 카페인 적어 알칼로이드인 카페인을 만드는 유전자는 커피나무와 카카오나무(역시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