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뉴스
"
정도
"(으)로 총 13,497건 검색되었습니다.
직접 조립하는 실내 농장
팝뉴스
l
2017.02.23
바로 실내에서도 식물을 키울 수 있는 디자인 제품. 성인 여러 명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
의 내부 공간을 지니고 있고 바닥부터 천정까지 그 벽면이 모두 선반 형태로 되어 있어 그리 넓지 않은 공간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식물들을 키울 수 있다. 나무 선반과 푸른 잎사귀의 조화로움이 마치 숲 속에 ... ...
[카드뉴스] 세계의 면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2.23
글루텐 구조가 매우 치밀하게 형성됩니다. 반죽 덩이를 손으로 누르면 다시 튀어올라올
정도
로 우동의 반죽은 탱탱한 조직감을 이룹니다. 일본의 사누끼 우동은 온도와 습도, 밀가루의 상태에 따라 반죽의 소금물 농도를 조절하며 변함없이 쫄깃한 맛을 낸다고 합니다. 일본의 소바 점성이 없는 ... ...
싱가포르 ‘불타는 무지개’ 나타나
팝뉴스
l
2017.02.23
냈다고 한다. 처음에는 오렌지 빛이었으나 차츰 다양한 색깔을 내면서 커졌고 15분
정도
이 신비한 자연 현상이 지속되다가 서서히 사라졌다는 게 목격자들의 설명이다. 불꽃 무지개는 빛이 높은 고도에 있는 구름을 통과하면서 얼음 알갱이에 반사되면서 나타나는 희귀 현상이라고 해외 언론들은 ... ...
무서워라, 고속도로에 떨어진 낙뢰
팝뉴스
l
2017.02.22
없는데, 미국의 한 고속도로에서 블랙박스 카메라에 촬영된 것으로 보인다. 소름끼칠
정도
로 강력한 번개는 하얀 빛을 내는 거대한 나무처럼 보이기도 한다. 일부 네티즌들은 ‘번개가 만든 죽음의 나무’라 부른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 ...
영국의 전기톱 조각가 ‘화제’
팝뉴스
l
2017.02.22
동물과 인물 그리고 신화 속 존재를 주로 조각한다. 전기톱을 이용했다고 믿기 어려울
정도
로 정교해서, 사이먼 오로크는 해외 소셜 미디어에서 큰 화제를 낳았고 주목도 받았다. 물론 그는 생계를 위해서 조각품을 판매한다. 얼마나 할까. 참고로 맨 아래의 요정 조각품은 3600파운드(약 510만원)이 ... ...
[자연의 신비] 작은 악어 삼키는 왜가리 ‘포착’
팝뉴스
l
2017.02.21
먹성을 자랑하는 자연의 ‘포식가’인 셈이다. 영상 속 왜가리는 새끼 악어 주변에 20분
정도
맴돌다가 잡아먹었다고 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 ...
사자들에 먹힐 뻔한 버팔로, 구사일생
팝뉴스
l
2017.02.21
촬영된 영상을 갈무리한 것이다. 버팔로 떼가 흙먼지를 일으키면서 달린다. 사자 5마리
정도
가 다가왔기 때문이다. 버팔로들은 살기 위해 모두 내달렸지만 한 마리는 사자들에게 잡힌다. 소리를 지르고 버둥거렸지만 사자를 이겨낼 도리가 없었다. 버팔로는 바닥에 쓰려졌고 이제 사자들은 막 배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독해보니...
2017.02.21
세팔로투스(Cephalotus follicularis)의 게놈을 해독해 식충식물 진화의 비밀을 어느
정도
밝혀냈다. 세팔로투스는 네펜시스처럼 포충낭으로 벌레를 잡는 식충식물이다. 연구자들이 식충식물 게놈연구의 표준으로 세팔로투스를 선택한 건 잎이 자랄 때 평범한 잎이 될지 포충낭이 될지 결정하는 조건을 ... ...
5미터 산갈치, 바닷가에서 발견
팝뉴스
l
2017.02.21
거대한 산갈치의 모습이다. 필리핀의 도시 카가얀데오로에서 발견되었다. 길이는 5미터
정도
였고 처음에는 살아 있었는데 곧 죽었다고 한다. 이 심해 물고기가 해변으로 밀려온 이유는 알 수가 없다. 재앙의 전조일지 모른다고 걱정하는 현지인들이 있다고 한다. 지난주에는 필리핀 ... ...
남들보다 밤 눈 어두운 이유는 ‘신호전달 세포’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17.02.20
지금까지 망막에 있는 ‘광수용 세포’가 빛을 감지하고 적응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광수용 세포 이외의 망막 신경세포들이 빛 신호 처리에 어떻게 관여하는지를 알아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 실험 결과 알파 아마크린 세포는 빛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일부 ... ...
이전
929
930
931
932
933
934
935
936
9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