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뉴스
"
큰
"(으)로 총 14,539건 검색되었습니다.
얼음낚시로 잡은 대물
팝뉴스
l
2018.01.27
같다. 크기도 크지만 모양이 보통 물고기와는 다르다. 팝뉴스 제공 입과 머리가 특히
큰
것이 이채롭다. 사진은 24일 미국의 사진 공유 사이트 임져에 올라온 것이다. 소년이 파이크(강꼬치고기)이다. 미국 사우스다코타에서 얼음을 뚫고 낚시를 하다 잡아 올렸다. 길이가 1미터에 달하고 외모는 ... ...
개기월식 때 달이 빨갛게 변하는 이유는?
2018.01.26
보이는 정도를 0~4까지 등급화해 놓은 지표입니다. 댄존 등급은 지구의 대기 상태가
큰
영향을 미칩니다. 지구상에 화산활동이 일어난 뒤에 일어난 개기월식에서 달은 매우 어둡게 관측되곤 했습니다. 대기 중의 먼지나 습도 등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댄존 등급에서 0등급은 가장 어두운 ... ...
MS “AWS가 과거 MS처럼 되고 있다”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8.01.26
맥OS 버전을 제공하기도 했지만, 윈도용 오피스와 맥OS용 오피스는 기능과 성능 면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 이런 점에서 최 이사의 발언은 AWS가 MS처럼 성을 짓고 자신만의 세상을 건설하고 있다는 의미로 들린다. 최 이사는 “단적으로 제품명을 보면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애저는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②] 로봇 3원칙에 대한 고민… ‘아이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8.01.26
분명
큰
가치가 있다고 믿습니다. 동아사이언스는 이런 의미에서 가까운 미래에 가장
큰
조명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는 로봇기술에 대해 고정 코너를 연재합니다. 수많은 영화 속에 등장하는 로봇이 과학기술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 어떤 점은 비현실적인 그저 공상(空想)의 설정인지를 짚어주는 ... ...
지구교신 없이 길 찾는 우주선… 深우주 탐사 새 돌파구 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1.26
“장기적으로는 우주선 스스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이 심우주 탐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도 “새롭게 개발되는 기술인만큼 위험 요소도 있기 때문에 충분한 검증 후에 임무에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습기만 있으면 로봇이 움직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6
이 과정을 통해 씨앗은 단단한 땅을 뚫고 들어가 싹을 틔운다. 이는 하이그로봇 개발에
큰
영감을 줬다. 두어 해 전까지 화려한 색의 제라늄을 연구실에서 키운 김 교수는 “식물과 친하지 않아 실험실로 화분을 옮겼는데 다 말라 죽었다”며 멋쩍게 웃었다. 김호영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가 ... ...
체액 한 방울만으로 몸속 질병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5
있거나 채취가 어려운 사람들, 혹은 빈번한 혈액 검사가 필요한 환자들의 질병 관리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나노과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ACS 나노’ 1월 15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연구 성과 그래픽 이미지 - KIST 서정목 박사 ... ...
카카오, "이제는 돈 벌자"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8.01.25
출시 하루만에 매진되는 등 인기를 끌었는데, 멜론 무료 이용권을 제공하는 프로모션이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카카오가 네이버와 맞붙어서 우위에 선 10년 만의 서비스(제품)라는 뒷얘기도 있었다. 네이버 뮤직 이용권보다 멜론 이용권의 힘이 더 발휘했다는 평가다. 3월에 임기를 끝내는 ... ...
[그것이 궁금하드아 ①] 블록체인을 코인과 분리하자고? 모르는 소리!
2018.01.24
과한 투자 열기에 정부는 지난해 일단 신규 가상 계좌 개설을 막았습니다. 성장 가능성이
큰
‘블록체인’ 기술 발전을 막느냐는 질문에 부랴부랴 ‘가상화폐(=코인) 거래는 규제하고 블록체인 기술은 육성하겠다’라는 답을 내놓았습니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유영민 ... ...
최후의 야생본능 ‘회색늑대’는 어떻게 진돗개가 됐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1.24
여기서 개가 출현했다는 것이 학계의 중론이다. 이런 과정에 대해서 학자별로
큰
이견은 없지만 그 시기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다. 농경사회 이전인 1만7000년 이전(구석기 시대)에 사육화가 됐다는 의견과, 농경사회를 시작한 뒤인 1만7000년~7000년 전 사이(신석기 시대)에 늑대와 개가 ... ...
이전
929
930
931
932
933
934
935
936
9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