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Sixth Sense Mobile!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센터에 들어 있는 모든 이미지들과 픽셀(이미지를 구성하는 화소 단위), 색상, 재질 등을 비교한다. 이렇게 나온 정보는 얼마나 유아기기존 이미지와 비슷한지 계산한 뒤 검색 결과를 수 초 내에 보여준다. 만일 외국인이 경복궁에 있는 경회루에 방문해 기둥 하나만 사진으로 찍어 검색한다면 ... ...
- PART 1. 세상을 속인 과학 사기극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산 뒤 사망한 후였는 걸.킬리처럼 ‘그럴싸한’ 말로 사람을 속일 수 있는가 하면 권력을 등에 업고 우기는 일도 있어. 말도 그럴싸한데 힘으로 억누르니 믿기 싫어도 믿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는 거지. 구 소련의 과학자 트로핌 리센코 말이야. 1898년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난 그는 소련의 농업을 ... ...
- 비행, 레이더, 동면 - 진화의 꽃 박쥐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않았습니다. 하지만 개체수가 줄고 서식지가 파괴되고 있는 건 분명합니다. 붉은박쥐 등이 자연동굴 대신살고 있는 폐광조차, 광산폐수가 흘러나오거나 위험하다는 이유로 하나하나 메워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당신은 이제 어디로 가야 하나요.당신을 보호하려면 우선 체계적인 개체수 조사부터 ... ...
- [현장취재] 온가족이 즐거운 수학체험관 궁리마루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지난 3월 10일에는 파이데이를 맞아 파이 시계 만들기와 수학 인형극, 파이 골든벨 등 다양한 행사를 진행했고, 4월 과학의 달에는 부산과학축전을 개최한다. 또 연구원들이 직접 만든 교재로 학생들을 가르치는 탐구교실과 다양한 캠프 행사를 비롯해, 부산지역 학교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하는 ... ...
- [시사] 20세기 마지막 보편주의자 푸앵카레수학동아 l2013년 04호
- 현대수학 전반의 흐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푸앵카레의 논문에는 엄밀한 증명이 등장하지 않으며, 정확한 정의도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거의 모든 절에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있다." _장 디외도네(프랑스의 수학자)20세기 최고의 난제, 푸앵카레 추측푸앵카레는 ‘대수적 위상수학(algebraic topology ... ...
- [생활] 수학탐정 M 로슬린 성당의 비밀을 밝혀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오는 4월 1일까지 로슬린 성당과 가장 잘 어울리는 음악을 연주하지 않으면, 로슬린 성당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될 것이다. -베타-D-10 의문투성이 로슬린 ... 사실을 알아냈다.그가 정리한 새로운 무늬는 컴퓨터 프로그램인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등의 재생 화면에서 쉽게 만날 수 있다 ... ...
- [생활] 통계로 생각을 바꾸면 과학이 보인다!수학동아 l2013년 04호
- 보니, 병원은 벌레가 들끓고 악취가 진동하고 있었어요. 부상자수, 환자의 질병 내역 등의 병원 기록도 제도로 관리되고 있지 않았어요.나이팅게일은 병원의 위생을 개선하기 위해 먼저 청소를 하고 병원 기록을 작성하기 시작했어요. 이 자료를 바탕으로 질병 원인별 사망률이 매달 어떻게 변하는지 ... ...
- 나누는 기쁨, 더하는 즐거움!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선배들과 함께 짝을 이루어 시그마 수학지를 만들고, 교육 봉사활동과 축제 준비 등을 함께 하면서 ‘수학으로 소통하는 즐거움’을 느끼게 될 것이다.수학 기호 시그마(Σ)가 뜻하는 것처럼, 동아리원들이 가진 열정 하나하나를 더해 수학 나눔이라는 아름다운 방정식을 완성해 가기를 기대해 본다 ... ...
- PART 4. 구글 in Science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만큼, 딱 원하는 정보를, 장애인도 불편함 없이, 컴퓨터·휴대전화·안경·자동차·신발 등 다양한 도구로, 심지어 화성에까지’ 통하기를 꿈꾼다. 수학과 기초과학에 대한 광적인 존중, 그리고 끝없는 혁신과 연구 열정이 가져온 결과다.2013년 현재, ‘구글 잇!’이 아닌 ‘구글 사이언스’가 꿈틀대고 ... ...
- 한국형 달탐사선 베일을 벗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설치했다. 여기에 500g의 힘을 내는 자세제어용 추력기, 밸브제어장치, 착륙제어 컴퓨터 등을 설치해 원격으로 추진력과 착륙 방향을 조종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정도 힘은 지구 중력의 6분의 1인 달에서 600kg 정도의 물체를 착륙시킬 수 있다. 모형 착륙선은 철골에 고정돼 실제로는 움직이지 못했지만 ... ...
이전9339349359369379389399409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