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d라이브러리
"
계속
"(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원 밖에서는 이미 찾기 힘들다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충남북 몇군데서 번식했으나, 1971년 충북 음성의 번식개체중 수컷이 총살된후 암컷이
계속
무정란을 산란했다. 이 암컷은 그후 서울대공원에서 1988년 부산에서 입수한 수컷과 합사했으나 쇠약해져 번식하지 못하고 있다. 황새는 흔히 왜가리와 혼동되어 불리지만 외형이나 크기, 또는 쌍을 이루고 ... ...
체르노빌 사고 이후의 생태계 변화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약 1백50만명이 방사능과 관련된 병마에 시달리고 있으며, 앞으로 30~40년간 각종 암환자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한다.나로디치 중앙병원 원장은 "최근 1년6개월 동안 갑상선의 이상과 빈혈, 그리고 암이 급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소련의 원자력평의회 슈첼바크 부의장은 "암발생은 ... ...
PARTⅡ 태양계탐사의 선두주자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이것이 장차 달개발을 위한 소련의 전초기지가 될 것이다.소련은 태양계탐사에
계속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지난해 9월2일~24일 미국의 제트추진연구소에서 열렸던 '제2회 태양계 탐사국제회의'에 소련대표로 참석한 발스코프박사는 "소련은 1996년엔 화성의 달 포보스, 1998년엔 금성, 2002~2003년에 ... ...
금속활자의 부활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게다가 그 무렵 중국의 사정도 어려웠다. 송(宋)나라와 금(金)나라의 끊임없는 전쟁이
계속
되고 있어서 송나라로부터 책을 수입하기가 여간 어렵지 않았던 것이다. 고려는 어떻게 해서라도 그들이 가지고 있던 기술로 필요한 책을 인쇄하는 길밖에 없었다.한정된부수를 여러 종류 인쇄해야 하는 ... ...
Ⅱ 생명체의 사령탑─뇌하수체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그들은 주위의 신경조직을 모두 절단했으나 혈관만은 그대로 두어 혈액의 공급은
계속
유지되도록 했다. 잘려진 십이지장 조각과 다른 신체부분과의 유일한 통로는 혈관 뿐이었다. 스탈링은 십이지장에서 어떤 화학물질이 분비돼 혈액을 통해 이자에 작용한 것이라고 생각했다.그들은 여기서 ... ...
Ⅴ 식물호르몬─생로병사의 열쇠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보다는 상호연관성을 갖는다는 점 등이다.이러한 문제들을 이해하면서 호르몬 연구가
계속
된다면 식물의 생명현상을 보다 깊이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성큼 다가온 위성통신시대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일어나는 현상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봄 가을 두차례, 매일 4~8분씩 일주일가량
계속
된다.위성통신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지구국 장비다. 지구국과 위성사이의 자유공간 손실이 2백dB이 넘을 뿐만 아니라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세력도 생각보다 매우 낮다.따라서 이들의 손실을 ... ...
로터스로 작성하는 프로그램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부분이 숫자를 입력해서 그 합을 구하는 것임을 생각해볼 때 이 두 개의 매크로(숫자를
계속
입력하고 그 합계를 내주는)의 효용가치는 매우 높다. 석차를 가리는 매크로 기능 지난달 로터스 강좌의 마지막을 기억하는지. 예제로 다룬 성적 데이터베이스에서 학생들의 석차를 내는데 평균과 국어 ... ...
새로운 교통체계 오반 시스템 실용화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타이어안에 든 알루미늄바퀴가 버스를 지탱하여 운전사는 낮은 속력으로 운전을
계속
할 수 있었다.선로밖에 나서면 오반버스는 여느 버스와 거의 같아 보인다. 사람들은 흰 바탕에 청색과 녹색 줄무늬로 오반버스임을 알아볼 수 있을 뿐이다. 또 밤이 되면 특수장치된 고광도의 전조등으로 선로를 ... ...
킬라우에아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치솟으면서 킬라우에아는 그 명성을 되찾았다. 이날부터 1백36일동안 숨쉴 새 없이
계속
용암을 흘려 보냈던 것이다.할레마우무우가 힘을 잃자 이번에는 동부의 균열지역이 꿈틀거렸다. 1969년 마우나울라에서의 용암 분출이 최초의 신호탄이었다. 그것도 단발성이 아니라 무려 5년간을 다연발로 ... ...
이전
934
935
936
937
938
939
940
941
9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