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모
세모기둥
삼각기둥
d라이브러리
"
삼각
"(으)로 총 1,086건 검색되었습니다.
달착륙 4반세기 새로운 도전 NASA 우주센터를 가다
과학동아
l
199409
아주 흥미있는 일이다. 공중에서 버튼 두개로 자신의 움직이는 방향을 결정하면서
삼각
폴대를 조립하는 일은 생각만큼 쉽지 않다. 특히 협동작업이기 때문에 호흡을 일치시키기도 힘들고 우주복이 거추장스러워 볼트를 박고 나사를 조이기가 만만치 않다. 우주유영장치를 이용해 무중력상황에서 ... ...
생물 - 지문과 주름,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409
마디의 바닥 면에 있는 피부 표면에는 가는 홈이 종횡으로 나 있고 작고 불규칙한
삼각
형이나 마름모꼴이 무수히 있다. 이들 하나하나를 피야(皮野)라고 하는데 피야 속에는 피구(皮丘)로 불리는 작은 융기가 있다. 피야와 피구를 융선이라고도 하며 바로 이것들이 지문을 만든다.지문은 일반적으로 ... ...
목성고별관측 - 혜성충돌자국선명
과학동아
l
199409
대표하는 거문고 백조 독수리자리가 천정에서 약간 서쪽으로 치우친 곳에서 거대한
삼각
형을 이루고 있고, 동쪽하늘에는 가을철을 대표하는 페가수스자리의 사각형 별들이 상당한 고도를 유지하고 있다.이 페가수스 사각형 한참 밑에는 가을철 별자리에 유일하게 존재하는 1등성인 ... ...
페르세우스 유성우 여름밤 별똥축제
과학동아
l
199408
사이에 두고 접근한 듯한 모습이다. 같은 밝기의 1등성인 데네브를 합치면 하늘에 거대한
삼각
형의 기하학적 모양이 형성되는데 마치 밤하늘을 지배하는 요새와 같은 느낌으로 다가온다. 이때 동쪽하늘에서는 2등성 4개가 거의 정사각형 모양을 이룬채 조용히 떠오르고 있는데 이것이 가을철의 ... ...
밤하늘의 길잡이 쌍안경 선택법
과학동아
l
199408
있는데 쌍안경을 구입할 때 이 고정쇠를 필히 확인해야 한다. 고정쇠에는 카메라
삼각
대의 나사와 맞물릴 수 있도록 1/4-20 크기의 나사산이 나있다.● 기타접안렌즈에는 연질의 고무로 된 아이 컵이 있으면 좋다.쌍안경은 굳이 방수형일 필요는 없지만 이왕이면 방수형이면 좋다.잡기 좋도록 몸체에 ... ...
화학- 물질반응속도, 온도따라 다르다
과학동아
l
199408
(그림3)에서와 같이 종이에 X표시를 해놓은 후 그 위에 티오황산나트륨 용액이 담긴
삼각
플라스크를 올려 놓는다. 위에서 X표시가 선명하게 보인다. 이제 초시계를 누름과 동시에 여기에 묽은 염산을 넣고 관찰하면 잠시 후 X표시가 보이지 않게 된다. 그때의 시간을 측정하면 일정량의 황이 ... ...
(3) 지름 1백m 소행성, 1만년 한번꼴 지구 충돌
과학동아
l
199407
소행성은 목성 중심으로 두곳에 분포한다(그림2). 3:2 공명지점 또한 1:1 지점처럼 정
삼각
형을 만들지는 않지만 목성과 태양의 인력 중심지역에 분포한다. 이 두 공명지점에 존재하는 소행성은 결국 목성을 피해다니면서 태양과 목성의 인력 평형점을 찾아 궤도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 ...
우라늄·플루토늄·핵무기의
삼각
관계
과학동아
l
199407
추출하고 이를 농축시키면 핵무기가 만들어진다. 우라늄 플루토늄 그리고 핵무기의
삼각
관계를 살펴보자.요즘 플루토늄이란 말이 유행어다. '북한 핵' 문제가 전면으로 떠오르면서 플루토늄은 매스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용어가 돼 버렸다. 플루토늄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원소가 아니다. ... ...
1등사수의 지름길, 포물선 운동
과학동아
l
199407
지상에서의 물체운동은 상식적인 감각으로 잘 이해되지 않는다. 그러나 포물선 운동의 원리를 알게 되면 그 실체를 간파할 수 있다. 물체를 옆으로 던짐과 동시 ... 하므로 30m/s이다. 따라서 수평방향과 이루는 각을 θ라고 할때 tanθ=3.6이고 이 값을
삼각
함수표에서 찾으면 약 75도가 된다 ... ...
2. 태양계 축소판, 16개 위성과 소행성 가족
과학동아
l
199406
사는 작은 소행성들이다. 이들 소행성들은 태양과 목성을 긋는 선을 밑변으로 하는 정
삼각
형의 꼭지점 근처에 모여 있다. 이곳은 중력의 '말안장'이라는 곳으로 소행성이 지나가다가 이 말안장에 잡혀버리는 곳이다. 따라서 일정한 소행성의 수가 이곳에서 유지된다(그림4). 따라서 목성은 이들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