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반
기본
토대
근본
근거
터전
밑바탕
d라이브러리
"
기초
"(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내가 그래핀보다 낫다고요~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소재’라 불리는 그래핀보다 활용도가 더 뛰어난 소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최희철
기초
과학연구원(IBS) 원자제어저차원전자계연구단 그룹리더 연구팀은 ‘2차원 이황화몰리브덴’을 원하는 모양과 크기로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1월 14일 밝혔다. 2차원 이황화 몰리브덴은 그래핀처럼 원자 ... ...
네가 먹는 초콜릿은 진짜 초콜릿이니?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초콜릿이 바로 카카오 버터에 설탕을 첨가해 만든 초콜릿이다.사실 카카오 매스가 가장
기초
적인 초콜릿의 형태지만 시판되는 고급 수제 초콜릿은 카카오 매스를 잘 쓰지 않는다. 카카오 버터의 함유량에 따라 초콜릿의 맛이 달라지는데, 카카오 매스는 처음 카카오 열매가 갖고 있는 지방을 그대로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매우 가볍다. 액시온 검출을 위해 지난해 10월 한국에 온 야니스 세메르치디스
기초
과학연구원(IBS) 액시온및극한상호작용연구단장은 “질량이 1~1000μeV 사이일 것”이라고 말했다. 표준모형에서 가장 가벼운 입자인 전자중성미자(2.2eV)보다 2000~200만 분의 1 가벼운 수준이다.문제는 입자의 세계에서는 ... ...
차세대 ‘레이저’ 입자가속기, 한국이 주도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거대강입자가속기(LHC)를 이용해 발견한 ‘신의 입자’ 힉스가 노벨상을 받으면서 ‘입자가속기’도 덩달아 주목받고 있다(특집 3파트 참조). 현재의 ... 다만 방식의 차이로 아직 중이온 가속은 불가능한 게 흠이다. 이 연구 결과는 11월 27일
기초
과학연구원(IBS) 연구 컨퍼런스에서 발표됐다 ... ...
그들은 어떻게 과학을 지배하고 있나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다른 학술지보다는 한결 낫다). 2013년 9월 사이언스에 논문을 발표한 이지웅 성균관대
기초
과학연구소 연구원은 “연구 내용은 우리 생활 속 의류와 관련된 것으로 공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이 사이언스에 실린 요인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고효율 2차전지, 나노다공성 산화물 저가합성법 ... ...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만들 수 없다고 생각했던 단백질을 결정으로 만들었다.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연구의
기초
단계를 지지하고 있는 결정학, 2014년 결정학의 해를 맞아 우리는 얼마나 새로운 결정을 찾아낼지 기대된다 ...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개발한다는 말에 20여 년의 미국 생활을 접고 바로 귀국했다. 며칠 앞서 열린
기초
과학연구원 학술대회에서 처음 만났는데, 가속기의 개발 현황을 조용하면서도 자신감 넘치는 목소리로 발표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가속기의 ‘시작과 끝’이라고 할 수 있는 빔 발생장치(ECR 이온원)의 초전도 ... ...
미래는 컴퓨터에게서 노인의 지혜를 얻는 세상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어려운 일이지요. 그래서 학생들에게 얕은 지식을 먼저 쌓기보다는 일단 컴퓨터공학의
기초
부터 튼튼히 쌓아올린 다음 다른 분야로 나아가라고 말합니다. 특히 신입생들에게는 다른 학부 학생들보다 최소한 두 배, 세 배쯤 공부할 각오를 하라고 강조합니다.Q. 컴퓨터에 대해서는 어떤 걸 배우나요?A. ... ...
지사탐 대장님이 상 받으셨대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이 ‘여천생태학상’을 수상했답니다.여천생태학상은
기초
생태학 분야에서 연구 업적이 뛰어난 차세대 생태학자를 표창하기 위한 상이에요. 2005년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인 여천 김준호 박사가 기증한 기금을 바탕으로 여천생태연구회에서 만들었지요. 장 교수님은 여섯 ... ...
Part 1_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너무 크다. 만약 진공에너지가 암흑에너지의 답이 아니라면 문제는 더 커진다. 현재의
기초
과학이 뿌리채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이런 문제에 봉착하자 2000년대 초반부터 우주론자 사이에서는 암흑에너지의 존재에 대해 회의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가속 팽창은 기존에 알고 있던 중력만으로도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