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hysics
물리학학문
물리
화학물리학
화학
자연 과학
물리과
d라이브러리
"
물리학
"(으)로 총 2,70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도시의 형태를 수학으로 비교한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을까.프랑스 이론
물리학
연구소의 수학자 레미 라우프와
물리학
자 마크 바르텔레미는 미국과 유럽의 주요 도시 형태를 수학적으로 비교 분석해, 그 결과를 ‘영국왕립학회지 인터페이스’ 10월 8일 자에 발표했다.두 사람은 도로로 나뉘는 구획의 크기와 모양, 배열을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1957년 4월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휴 에버렛 3세의 박사학위 논문이 통과됐다. 에버렛은 이 논문에서 양자역학에 대한 새로운 해석방법을 제시했다. ... 광활한 우주마저 무한히 많은 평행우주의 하나일 뿐이라니. 다 세계 해석이야말로 현대
물리학
이 제시하는 허무주의의 종결자라 할만하다 ... ...
수학 유전자를 찾아라! 아인슈타인 프로젝트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수학 유전자를 찾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중국 베이징유전체연구소는 1997년 노벨
물리학
상 수상자 스티븐 추 교수(중국계 미국인)와, 영국의 유전학자인 로버트 플로민 교수하고 손을 잡고 수학 유전자 찾기 프로젝트를 기획했다.연구팀은 본래 국제수학·과학올림피아드 입상자 모두를 대상으로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물에 뜨긴 한다. 하지만 카이퍼벨트 소천체는 그 정도가 아니다. 2013년 11월에 ‘천체
물리학
저널 레터스’에 실린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름이 약 600km인 소천체의 밀도가 물의 82%에 불과할 정도로 가볍다. 남한보다 큰 얼음덩어리가 마치 나무토막처럼 뜬다고 생각해보자(나무토막의 밀도는 물의 70% ... ...
차세대 레이저 가속기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이미 가속된 전자를 여러 단계로 연속 가속해 훨씬 높은 에너지 상태로 만들어 입자
물리학
연구에도 사용할 수 있다. 아직은 발생되는 전자빔 에너지를 더 높이고 빔의 질을 더 높여야 하는 숙제들이 남아 있으나 테이블탑 크기의 소형 차세대가속기가 기초과학이나 응용과학, 산업에까지 활용될 ... ...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컴퓨터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정보부, 기업 등 많은 곳에서 관심을 갖는 것이 당연하다. 이후 지난 20년간 양자컴퓨터는
물리학
을 이끌어 온 가장 중요한 동력 가운데 하나였다.양자컴퓨터의 가장 큰 특징은 중첩상태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동시다발적 계산이 가능하다. 그루버가 발견한 양자 찾기 알고리듬이 기존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전산학자이자 현대 컴퓨터의 선구자인 데니스 리치는 미국 하버드대에서 응용수학과
물리학
을 전공했다. 리치는 첫 직장인 벨연구소에서 만난 동료 켄 톰슨과 함께 프로그래밍 언어의 본격적인 시작이라고 말할 수 있는 C언어와 유닉스 시스템을 만들었다. C언어의 탄생으로 코드는 엄청 빠른 ... ...
100m달리기 10초벽 깨려면 큰허리근 키우고 중력을 역이용하라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이것이 수직항력이다. 우사인 볼트처럼 좋은 선수는 이 힘을 최대한 이용한다.
물리학
적으로 말하면 볼트는 좋은 회전체다. 회전가속도를 크게 만들 수 있다는 뜻이다. 회전가속도는 작용하는 힘이 크고 회전축이 길수록 커진다. 볼트가 달리는 모습을 보면 착지하는 동안 몸을 거의 수직으로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과학에 대한 꿈을 키웠다”며 “그 꿈을 좇아 탐사에 참여했다”고 말했다. 지질학과
물리학
은 달라도 너무나 다르지 않느냐는 우문에 이 교수는 “모든 과학의 분야는 한 곳에 모인다”는 현답으로 응했다. 이정모 서울 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은 과학계의 마당발이자 과학 예찬론자다. 주변에 ... ...
[체험] 세계수학자대회에서의 12시간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간단히 설명할 수 없는 이론이에요. 이 이론은 미분기하학에서 시작했지만 현재는
물리학
의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어요. 이 이론은 저와 중국의 수학자 천싱선이 함께 만들었어요. 수민 학생이 나중에 공부를 더 하게 되면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2. 저지 모길스키(미국 텍사스대 수학과 교수)Q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