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녁
나이트
야간
마롱
BAM
d라이브러리
"
밤
"(으)로 총 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맹꽁이 VS 두꺼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그래서 이름이 맹꽁이지요. 맹꽁이는 짝짓기 철이 아니면 주로 땅 속에서만 지내다
밤
에 나와 활동하기 때문에 눈에 쉽게 띄지 않아요. + 참개구리는 입이 뾰족하다고?참개구리는 보통 몸이 초록색이어서 쉽게 구별할 수 있어요. 하지만 참개구리가 밭이나 주변에 있는 산으로 올라가면 몸의 색이 ... ...
공부의 적❷ 스마트폰 공부를 잘하려면 스마트폰을 버려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6호
하다가 늦게 자서 잠이 부족하면 낮에 학교에서 졸아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고,
밤
에는 다시 쌩쌩해져 스마트폰을 하며 잠을 못자는 악순환을 만들거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3년 조사에 따르면 초등학생 10명 중 3명은 잠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어.스마트폰에 왜 중독되는 걸까?스마트폰이 ... ...
Part 2 - Moon Story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말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위성 요리사를 위한 7가지 레시피Part 1 - 난 오늘
밤
도 삐딱하게 뜬다Part 2 - Moon Story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모른다는 것'이 천문학 연구의 매력 (타이탄 연구자 심채경 박사 ... ...
'모른다는 것'이 천문학 연구의 매력 (타이탄 연구자 심채경 박사)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웃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위성 요리사를 위한 7가지 레시피Part 1 - 난 오늘
밤
도 삐딱하게 뜬다Part 2 - Moon Story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모른다는 것'이 천문학 연구의 매력 (타이탄 연구자 심채경 박사 ... ...
말레피센트 사악한 요정의 비밀
수학동아
l
2014년 06호
확인할 때 활용되고 있다. 또한 녹색 형광 단백질의 유전자를 조작해 식물에 주입하면
밤
에도 빛을 발하는 발광식물을 만들 수 있다.이런 녹색 형광 단백질을 배아줄기세포에 이식하면 녹색 동물을 만들 수 있다. 어느 세포에 언제 이식하느냐에 따라 전신 또는 일부만 녹색이 될 수 있다.실제로 201 ... ...
Part 1 - 난 오늘
밤
도 삐딱하게 뜬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위성 요리사를 위한 7가지 레시피Part 1 - 난 오늘
밤
도 삐딱하게 뜬다Part 2 - Moon Story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모른다는 것'이 천문학 연구의 매력 (타이탄 연구자 심채경 박사 ... ...
다람쥐원숭이 수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사실이 밝혀졌어요. 영장류 조상은 3원색을 볼 수 없었다는 간접적인 증거지요.
밤
에는 주로 막대세포가 활동하기 때문에 색을 보는 데 쓰이는 원추세포가 활성화되지 않고, 따라서 원추세포가 진화 과정에서 선택되고 발달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지요.가장 오래된 무리인 원시원숭이가 대부분 ... ...
INTRO 위성 요리사를 위한 7가지 레시피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위성 요리사를 위한 7가지 레시피Part 1 - 난 오늘
밤
도 삐딱하게 뜬다Part 2 - Moon Story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모른다는 것'이 천문학 연구의 매력 (타이탄 연구자 심채경 박사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위성 요리사를 위한 7가지 레시피Part 1 - 난 오늘
밤
도 삐딱하게 뜬다Part 2 - Moon Story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모른다는 것'이 천문학 연구의 매력 (타이탄 연구자 심채경 박사 ... ...
어린왕자, 서호주 아웃백에서 은하수를 보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있다. 태양 주변에도 이런 가스들이 모여 있다. 워낙 미약해서 평소에는 보기 어렵고,
밤
하늘이 어두워지는 절묘한 시점에 비로소 태양빛을 반사하며 드러난다. 그 빛이 너무 약해서 하늘이 아주 깨끗한 곳에서만 볼 수 있다.35억 년의 역사를 품은 붉은 땅서호주의 ‘필바라’는 붉은 땅이 끝없이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