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경"(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박사와 정준영 미국 하버드대 비스연구소 박사, 프랑스 티몬대학병원 나딘 지라르 신경방사선학과장 연구팀은 뇌와 특성이 비슷한 뇌 모형을 만들어 주름이 생기는 과정을 재현했다(DOI: 10.1038/NPHYS3632).우선 주름이 생기지 않은 태아의 뇌를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촬영한 다음, 3D 프린터로 모형을 ... ...
- PART 1. 의식과 무의식이 빚은 1만 개의 언어, 표정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슬픈 표정을 짓고 운다. 이런 표정은 유전적으로 뇌에 각인돼 있는 것으로, 피질하부의 신경회로를 통해 신호가 전달되면서 근육이 무의식적이고 불수의적으로 움직인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당황하거나 민망할 때 짓는 표정은 사람이 성장하면서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인 관계를 학습하면서 ... ...
- [Tech & Fun] 무한한 손짓을 흉내 내기 위하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보낸다. 이 때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근전기신호라고 한다. 전기신호를 받은 근육의 운동신경세포가 활동하면 근육이 수축해 근육에 붙어 있는 뼈가 움직인다.Le Petit Lorrain이런 손을 대체할 최초의 의수(약 5세기)는 전혀 움직일 수 없었다. 당연하다. 나무를 깎아 만든 의수였으니까. 후크 선장의 ... ...
- [Tech & Fun] 초인적인 벼락치기, 성공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술술 풀릴지도 모르는 일이다.반복하기, 평소에 습관 들이기, 마감 당기고 푹 자기. 신경과학자들이 추천하는 벼락치기 성공요령이다. 그런데 듣고 보니 이상하다. 마감에 닥쳐서, 시간이 없을 때 후딱 하는 게 벼락치기 아닌가? 미리 한다면 그게 벼락치기일까. 결국 성공적인 벼락치기는 결코 ... ...
- [지식] 수학 잘하는 방법이 궁금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앞에 앉아 있는 시험감독이 노트북으로 키보드를 계속 두드리고 있는 거예요. 너무 신경 쓰여서 시끄러우니 자제해 달라고 말했죠.”나중에 알고 보니 시험감독이 바로 권 교수의 지도 교수가 될 타오 교수였다. 권 교수와 타오 교수의 첫 만남이었다. UCLA의 최연소 교수일 정도로 나이도 젊을뿐더러 ... ...
- PART 2. 로봇의 도전, 가장 사람다운 표정 만들기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증거가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2011년 7월, 미국 UC샌디에이고 인지과학 및 신경과학과의 아이세 피나르 세이진 교수팀이 불쾌한 골짜기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을 실험으로 밝혔다(doi:10.1093/scan/nsr025). 연구팀은 휴머노이드 로봇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실험참가자 20명을 모은 뒤, 일반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연구자의 연구 방향을 제한하거나 조종하지 않는다. 테일러 그룹 리더는 “연구소에서 신경세포의 노화와 관련된 연구를 하기 위해 날 뽑았지만, 내가 내일부터 다른 연구를 하겠다고 해도 허락할 것”이라며 “지원 기간이 끝났을 때 연구 성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노벨상 공장은 자유로운 ...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다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장내미생물이 유아의 발달 과정과 성인의 여러 가지 면역 및 신경계 질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을 것이라는 추측에 힘이 실린다. 인간이 가진 수만 종의 미생물 가운데 오랜 시간 공진화해온 미생물에 연구자들이 더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관련기사를 계속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집에 있는 체중계의 수치 역시 거의 여행 전 체중으로 돌아와 있었다. 그래도 계속 신경이 쓰였다. 집에 있는 체중계로 잰 무게와 밖에서 잰 체중 사이의 미세한 차이 같은 것들이.기록을 시작했다. 약 두 달이 지났을 때 은경은 비로소 패턴을 발견했다. 매일 재지 않은 탓에 오래 걸리긴 했지만 눈이 ... ...
- [과학뉴스] 인공지능, 사지마비 환자를 움직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전달된 뇌의 신호로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전극을 붙였답니다.연구팀은 이 장치에 ‘신경의 우회도로’를 뜻하는 ‘뉴럴 바이패스(neuralbypass)’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뉴럴바이패스는 인공지능을 이용해 뇌가 보내는 명령을 분석하고, 이를 근육으로 전달할 수 있어요.실제로 이 장치를 장착한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