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액
액상
유동체
물
액체공기
공기
유체
d라이브러리
"
액체
"(으)로 총 2,19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한다. 이 힘에 의해
액체
표면은 팽팽하게 잡아당겨진다. 이때
액체
에는 표면적을 가능한 한 작게 만들려는 힘이 생긴다. 이를 ‘표면장력’이라고 한다. 아침에 이슬이 풀잎 위에서 동그란 모양을 띠는 것도 소금쟁이가 물 위를 가볍게 떠다닐 수 있는 것도 모두 물의 표면장력 ... ...
들이와 무게는 어떻게 다른가?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부피는 다면체의 부피를 이용해서 구할 수 있지만
액체
는 용기에 담아야 하기 때문에 이
액체
를 담는 용기의 부피로 들이를 정한 거죠. 그러면 무게는 무엇일까요? 부피나 들이가 눈으로 비교되는 것과는 달리 무게는 눈으로 봐서는 알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큰 컵에 담긴 우유는 많고 작은 컵에 ... ...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넓어지는데, 그만큼 이산화탄소가 빠져나갈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이산화탄소 분자들은
액체
속에서 하나씩 밖으로 나가지 않는다. 이들은 일단 어떤 장소에 모여 덩어리를 만든다. 이것이 거품이다. 미세한 먼지나 어떤 흠은 거품이 많이 만들어지는 장소 역할을 한다. 컵 안쪽 표면에 조그만 ... ...
[hot science] 내년 여름휴가는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고체연료 자체는 폭발할 위험이 없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운반하기도 좋다. 연료에
액체
산화제를 넣을 때는 밸브를 사용하기 때문에 연소반응을 조절하기가 쉽다는 장점도 있다. 이 기술은 안전하고 저렴하기 때문에 민간 우주비행선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NASA가 우주개발을 주도하던 ... ...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관성을 받지 못해 애초에 딸려 올라오는
액체
가 적을 것이고 왕복운동이 너무 느리면
액체
기둥이 충분히 높아지기 전에 중력을 받아 떨어져 버리기 때문이다.연구자들은 고양이과 동물의 신체 비율이 유지된다고 가정하고 혀의 왕복거리가 혀의 폭(R)에 비례한다고 봤다. 이를 토대로 수식을 만든 ... ...
“20년 꿈을 달나라로 쏘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참여하고, 뒤를 이어 한국형발사체 개발에도 관여하고 있는 홍일희 팀장은 “우리나라는
액체
로켓을 이용해 위성을 우주궤도에 올려본 경험이 전혀 없는 나라”라며 “나로호를 발사해 본 경험은 결코 돈으로 살 수 없는 귀중한 것인 만큼 이 경험을 살려 KSLV-II의 발사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 ... ...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방적돌기는 명주를 만들어내는 분비기관의 배출구다. 끝에 있는 구멍을 통해 명주가
액체
상태로 나오고, 공기 중에서 건조돼 가늘지만 강하고 질긴 명주실 가닥으로 형성된다. 이 명주실은 잎을 뭉쳐 집이나 휴식처를 만들거나, 탈피하기 위해 몸을 고정시키는 흡착판을 만든다. 또 천적으로부터 ... ...
수학과 물리학이 만나 우주 생성 비밀 밝혀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나타난 뒤 상변환을 통해 질량이 있는 입자가 생겼다고 설명한다. 상변환은 끓는점에서
액체
가 기체로 바뀌는 것처럼 물질의 상태가 변하는 것을 말한다.조용승 교수는 “수학자와 물리학자가 만나 5년간 함께 연구한 결실”이라며 “앞으로 이 이론을 활용해 초기 우주 모형을 완성할 계획”이라고 ... ...
화산이 들썩들썩! 백두산이 폭발한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분화, 분출 등 여러 가지 단어가 나와요. 그 뜻이 각각 다르다는 것, 알고 있나요? 분출은
액체
상태의 용암이 지표면까지 올라와 땅을 타고 흘러 내려가는 현상을 말해요. 끈적끈적함이 적은 현무암질 마그마를 담은 화산이 주로 분출을 일으킨답니다. 하와이의 화산들이나 제주도와 울릉도를 만든 ... ...
완전수 6으로 떠나는 여행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물이 얼면서 생기는 육각형 구조 때문에 가운데 빈 공간이 많이 생겨 다른 물질과 달리
액체
보다 고체일 때 부피가 더 커지는 거야.우리가 마시는 물 중에도 육각형 고리구조로 된 물, 즉 육각수가 있어. 이 물을 꾸준히 마시면 건강에 좋다고 알려져 있기도 해. 물을 차갑게 하거나 게르마늄 이온을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