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작
참고
참조
암시
풍자
진술
기재
d라이브러리
"
언급
"(으)로 총 1,256건 검색되었습니다.
1 우리도 우주산업시대 저궤도 위성에 눈을 돌려라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우주산업 진입 연도를 기준으로 할 때 우리나라는 늦은 편에 속한다.앞에서 잠깐
언급
했듯이 50년대 후반 미국과 옛소련의 국력경쟁으로 시작한 우주개발은, 70년대 ESA와 일본의 NASDA(우주개발 사업단)가 등장함으로써 우주산업으로 발돋움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계우주산업의 5년 10년 후를 예측해 ... ...
「대기오염 측정 전국 별자리관측」을 마치며 "잃어버린 밤하늘을 되찾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생략하고 앞으로 이 행사가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말씀해주시지요.박승 앞에서도
언급
됐지만 전국을 더욱 세분해 많은 지역을 관측해야 합니다. 그래야 데이터의 공신력도 생기고 비교도 좀더 과학적으로 가능해집니다. 서울만해도 10여군데를 하면 오염도도 세밀하게 차이가 날 것입니다.이혁 ... ...
쓰레기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쓰레기를 버린다고해도 해결책이 찾아지는 것은 아니다. 매우 소중한 생태계의 파괴를
언급
하지 않더라도 지구상의 모든 것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한군데가 썩으면 다른 쪽이 불결해진다.따라서 지금도 쓰레기 매립장은 점점 넓어지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매립장중의 하나는 뉴욕 스테턴섬의 ... ...
마이클 화이트·존 그리븐 「스티븐호킹의 삶과 사랑」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전달하게 될 것이다. 특히 호킹이 부인 제인과 헤어지게 된 일에 대해서도 자세히
언급
하고 있는데, 가장 근본적인 이유로서 독실한 기독교 신자인 제인과 무신론자나 다름없는 호킹의 종교적 갈등을 들고 있다.호킹이 돈을 벌기 위하여 '시간의 역사'라는 책을 썼다고 이 책은 명확히 밝히고 있다. ... ...
신약개발로 각광받는 세계의 전통약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주후비급방이라는 책에 말라리아 치료제로 개똥쑥이 소개됐다. 이 사실은 본초강목에도
언급
돼 있으나 현대약학에서는 이를 무시해 왔다. 그러나 1972년 중국에서는 개똥쑥에서 추출한, 아르테미시닌(artemisinine)이라고 이름붙인 유효성분의 화학구조를 밝히는데 성공했다. 이어서 원성분보다 활성이 ... ...
오존측정용 과학로켓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그 이후는 실제 위성체를 지구궤도에 진입시킬 수 있는 3단형이 목표. 하지만 앞에서도
언급
됐듯이 2단 이후의 과정은 선진국 특히 미국의 견제가 심해 목표를 달성하기가 쉽지 않을 듯하다. 한 관계자는 3단 정도가 개발되려면 정상회담에서 거론돼야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반도체와 자동차를 ... ...
인간 뇌속에 나침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너무 앞서 나간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이 따라 갈 때까지 좀 기다려야 할 것"이라고
언급
한다.생물자기학에 대한 커시빙크 박사의 관심은 20년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학부를 다닐 때부터 시작됐다. 그 당시 그는 생물학과 지질학을 모두 전공으로 선택했는데, 지질학 수업시간에 자철광은 ... ...
코골기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전날 잠을 제대로 못잤을 때는 그 다음 날 밤에 요란한 '굉음'을 내기 십상이다. 앞에서
언급
한대로 근육의 긴장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음주도 코고는 소리와 관계가 있다. 평소에 코를 골지 않은 사람이 음주후 코를 고는 것은 코안의 비갑개라는 부분이 확장돼 공기통로가 좁아지는데 기인한다. ... ...
지구한랭화를 주도하는 대빙하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현재의 해수준면보다 다소 높은 해수준면이 형성돼 있었을 것이다. 앞에서 잠시
언급
했듯이 바다에서도 빙기와 간빙기의 온도변화에 따라 온수성 해서동물과 한수성 해서동물의 빈번한 이동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당시 바다에서 살았던 유공충의 일종(Globigerina pachyderma)은 한수성 생물의 ... ...
한국신경과학학회 초대회장 박찬웅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아무래도 노인성 치매의 원인을 밝히는 것이 신경과학의 최근 이슈가 되고 있죠."- 지금
언급
한 대로 흔히 신경과학의 성과라면 신경전달물질의 기능을 해명해 이를 치료요법에 적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앞으로 신경과학이 발달한다면 의학적으로 기대되는 바는 무엇이 있을까요."지금까지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