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화"(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만화나 영화에서 본 공룡은 우둘투둘한 피부에 뭐든 물어뜯을 것만 같은 강력한 이빨이 인상적입니다. 깃털을 뽐내며 하늘을 나는 새와 무척 달라 보이지요. 공룡처럼 이빨이 달린 턱, 손톱이 난 세 손가락은 물론 새처럼 깃털도 있는 동물의 화석이 1861년에 발견됐을 때 사람들은 이 동물을 ...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커다랗고 노란 눈을 제외하면 우리 인류와 꼭 닮은 모습이랍니다.알로와 스팟이 사는 영화 속 세계에서는 공룡이 진화해 인류를 가르치고 이끌어요. 이번 기사에서 그려낸 공룡 시대에는 두 종이 나란히 진화했고요. 여러분이 생각하는 공룡 시대는 어떤 모습인가요? 각자가 만나고 싶은 공룡과의 ... ...
- [Tech & Fun] 썸의 결정적 한 방 그날의 분위기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절대 노래를 부르라는 의미가 아니다(첫 만남에 노래? 그때는 결과를 책임질 수 없다). 영화에서처럼 이어폰을 하나씩 나눠 끼면 된다. 생각만해도 로맨틱하다고 생각하겠지만, 노래는 단순히 달콤한 분위기를 위한 것이 아니다. 어떤 음악을 듣고 있는지에 따라 보는 것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 ...
- [새 책] 입자물리학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단순히 입자물리학자들이 어떤 연구를 하고, 무슨 입자를 알아냈는지 나열하지 않는다. 영화감독, 배우, 시나리오 작가, 음악가 등과 대화하며 느끼고 깨달았던 것들을 토대로 독자들의 눈높이를 맞춘다. 최근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최초의 여성 소장이 된 파비올라 지아노티 박사에 대한 ... ...
- 1인용 이동수단이 뜬다! 스마트 모빌리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이젠 진짜 만들 수 있게 됐단다. 과학으로 날게 된 호버보드호버보드는 1989년 개봉한 영화 ‘백 투 더 퓨처2’에 처음 등장했어요. 당시에는 가상의 기계였지만, 이제는 실제로 만들 수 있게 됐어요.호버보드의 원리는 3가지예요. 첫 번째는 ‘전류’를 이용한 방법이에요. 전기가 흐르는 판 위에서 ... ...
- [Nesw & Issue] 생체조직 투명하게 만드는 데 단 6시간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영화 ‘해리포터’에 나오는 투명 망토를 ‘머글’ 세상에서도 만들 수 있게 됐다. 선웅 고려대 의대 교수팀은 생체조직을 초고속으로 투명하게 만들고 염색할 수 있는 기술 ‘액트-프레스토(ACT-PRESTO)’를 개발해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1월 11일자에 발표했다. 액트-프레스토 기술은 뇌를 ... ...
- [News & Issue] 자연닮은 생체모방무예, 쿵후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철벽방어와 연계공격, 무적의 호권호랑이는 기습을 통해 사냥을 하는 동물입니다. 영화를 보면 간혹 멀리서부터 포효하며 사냥감에 접근하곤 하는데, 엄연히 잘못된 부분입니다. 그러면 먹잇감이 이미 다 도망가고 없겠죠. 호랑이는 냄새보다는 시각과 청각을 예민하게 사용하며, 먹잇감을 잡을 수 ... ...
- [지식] 세기의 매치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게임이기 때문에 이론상으로 역방향 추론이 가능하다. 하지만 영화 대사에서도 나오듯 체스는 단 네 번의 움직임만으로 이미 3000억 개가 넘는 경우의 수가 생긴다. 즉 현실적으로 기보를 추론해 필승법칙을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바비 피셔는 일반 체스 전략이 거의 분석됐다고 ... ...
- [소프트웨어]앱으로 나를 소개하자!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나온 사진을 함께 보여 주고,버튼을 누르면 여러분이 누구인지 말을 해 주는 거예요. 영화 속에 나오는 인공지능 비서처럼 말이지요!❶ 디자인 노트 만들기새로운 친구를 만나 자신을 소개할 때 아쉬웠던 점은 무엇인가요? 아래 예제를 보고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담아 디자인을 해 보세요. ... ...
- [Tech & Fun]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➊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영화 ‘해리포터’의 9와 4분의 3 승강장이 있는 런던 킹스크로스 역을 나와 정면에 있는 기차역 건물 하나를 통과하면 영국국립도서관 오른쪽으로 은빛 건물이 보인다. 유럽에서 가장 큰 생명과학연구소인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이하 크릭 연구소)’다. 크릭 연구소는 외관부터 압도적이다. 2층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