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d라이브러리
"
저장
"(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인쇄물에 적힌 소수점 이하 3자리의 숫자를 입력했지만, 컴퓨터는 소수점 이하 6자리까지
저장
하고 있었던 것이다.로렌츠는 1972년 ‘브라질에 있는 나비의 날갯짓이 텍사스에 토네이도를 일으킬 수 있을까?’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했다. 사실 그는 처음 논문에서 갈매기의 날갯짓이라고 표현했지만, ... ...
[체험] 차세대 통신망 연구실 미래 통신은 수학으로 통한다!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쓰인다. 큐잉 모델을 잘 만들면 사용자가 기다리는 시간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서버에
저장
되어 있는 메모리의 손실을 막을 수 있다. 즉 서비스 품질이 좋아진다는 얘기다.카이스트 수학과 황강욱 교수님은 현재 와이 파이(Wi - Fi)에서 사용자간의 충돌문제를 해결하고 계신다. 교수님께 앞으로 정보 ... ...
PART 1. 검색은 김수현(작가, 탤런트)을 구분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세계에 흩어져 있는 구글의 데이터센터(방대한 양의 자료와 파일이 오고가는 서버와
저장
장치를 한 데 모은 곳) 중 한 곳에 도착한다. 그 곳에서 구글이미리 수집해 놓은 해당 검색어가 들어있는 자료와 비교해 일치하는 내용을 한다. 웹에 올리는 문서에 robot.txt 파일을 만들어 놓으면 구글의 크롤링 ... ...
PART 3. 구글의 눈으로 보는 세상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한다.●클라우드 컴퓨터와 연결돼 언제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캘린더에
저장
된 일정을 시간이 되면 구글 글래스 화면에 띄워줘 사용자가 곧바로 알 수 있게 된다.●인터넷 접속은 스마트폰 중계기를 통해 언제나 가능할 것이며 글래스와 스마트폰은 블루투스 등 다양한 방법으로 ... ...
PART 1. 잘 때 입술이 마르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되면 아무리 비가 많이 와도 물을 흡수하고
저장
할 수 있는 곳이 줄어든다.토지가 물을
저장
하는 능력이 줄어들면 우선 유출되는 물이 많아진다. 토지가 흡수하지 못하고 하천이나 하수도를 통해 흘러나가는 강우 유출량이 도시화 이전인 1962년 11%에 불과했던 것이 2010년 49%로 늘어났다. 반면 ... ...
UPDATE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만든 시술 소프트는 현종이 떠올린 바다의 모습을 골라 지워지지 않을 인유의 언어
저장
소에 덮어씌웠다. ‘태양.’ 현종이 본 온갖 태양들이 인유가 알고 있는 태양 위에 내려앉았다.숲. 지구. 밤하늘. 안개꽃. 용암. 다리. 산. 불꽃놀이. 촛불…….불꽃놀이가 한계였다. 그렇게 해서 인유는 바다가 ... ...
‘텔레파시’ 동물 실험 첫 성공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서로 주고받았다는 뜻이다.니콜렐리스 교수는 “이 기술이 동물 뇌 안의 정보를
저장
하고 가공하며 옮길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전에 없던 사회적 의사소통 방식도 탄생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공명 이용한 저전력 정보처리의 길 열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회전운동을 이용하는 신개념 정보처리방식은 열적 안전성이 높고 반영구적으로 정보를
저장
하고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저전력으로 충분히 큰 정보신호를 발생시키고 증폭하는 기술 확보가 관건이었다.연구팀은 위상차가 일정한 서로 다른 자기펄스를 연속적으로 가해 공명현상을 일으켜 작은 ... ...
숨은 보물단지를 찾아라! 빅 데이터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생김과 동시에 대부분 폐기됐어요. 하지만 정보기술이 발달하면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
하고 분석할 수 있게 됐어요. 따라서 자연히 이런 대규모의 데이터 속에서 유용한 정보를 찾아내는 기술이 각광받기 시작한 것입니다.그렇다면 현재 생산되는 데이터의 양은 얼마나 될까요? 2011년 한 해 동안 ... ...
마틴 루터 킹 연설문이 DNA 속에 ‘쏙’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1PB=100만GB) 단위에서 70% 이상, 엑사바이트(EB, 1EB=10억GB) 단위에서는 65% 이상의 효율을 갖는
저장
매체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지구에서 가장 많은 과학 데이터를 생산하는 곳 중 하나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다. 이곳에서 지난 2월까지 만든 데이터가 약 100PB다.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