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리"(으)로 총 3,253건 검색되었습니다.
- [맛있는 수학] 솔로몬의 햄 샌드위치 정리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있습니다. n차원의 어떤 복잡한 경우에도 반드시 해가 있지만, 그 해를 햄 샌드위치 정리가 찾아주지는 않는다는 거예요. 해를 구하는 것은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다른 방법을 통해 계산해야 해요. 저는 칼 한자루만 들고 감으로 잘라야 해서 여러 번 시행착오를 거쳐야 했답니다. 팀 원들의 표정을 ... ...
- 주기율표, 누가 만들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원소들 사이의 규칙을 찾으려 했어요. 원소에 규칙이 있다면 기존의 원소들을 정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견되지 않은 새 원소를 예측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테니깐요. 처음으로 원소의 규칙을 찾아낸 사람은 독일의 화학자 요한 되베라이너예요. 1829년, 그는 갓 발견된 새 원소인 ‘브로민(Br ... ...
- 과학은 대화다_홍영덕 교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수업마다 한 명씩 돌아가면서 지난 수업에 대한 리뷰를 작성해 발표한다. 홍 교사는 “정리한 내용을 다시 들으면서, 지난 수업에 무엇을 배웠는지 학생들이 상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발표를 통해 학생들의 참여를 높이는 효과는 덤이다. 김 양은 “첫 단원이 우주의 빅뱅에 관한 내용이었는데, ... ...
- [서거 500년] 프로N잡러 레오나르도 다빈치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수학적으로 이를 증명한 이탈리아의 수학자 페데리코 콤만디노의 이름을 따 콤만디노의 정리로 이름 붙여졌습니다.살아생전에 다빈치는 “수학이 적용되지 않는 과학에는 확실성이 없다”라고 말할 정도로 수학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습니다. 지식의 한계로 다양한 수학을 다루지는 못했지만, ... ...
- 과학으로 독립운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총목록>을 통해 일본 학자들이 같은 종인데도 다른 종이라고 잘못 분류한 나비 500여 종을 정리해 250여 종으로 분류하고 나비의 특성을 상세히 기록했답니다. 조선의 나비를 제대로 알리는 데 앞장선 거예요. 그는 우리나라 고유의 나비를 알리는 일로, 우리나라의 자주성을 알리고자 했어요. 이 ... ...
- [검시관의 사건노트] 무색, 무취, 독극물...니코틴 살인사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함께 즉시 현장에 출동했다. 사망 장소는 경기 남양주시에 있는 한 아파트의 8층이었다. 정리가 잘 된 깔끔한 집의 작은방 바닥에 한 남성이 곧게 누워 있었다. 자정이 넘은 시간, 담당 형사는 신고자인 A 씨와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 사망한 남성 B 씨의 부인이었다. 갑작스러운 남편의 사망을 겪은 ... ...
- [세상을 바꾼 원소] 수소, 미래를 여는 '작은 거인'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가장 처음의, 그리고 가장 간단한 무언가는 언제나 그 자체로 의미가 있는 경우가 많다. 세상을 이루고 있는 원소, 그중에서도 현재까지 발견된 118 ... 1번에 걸맞은 ‘작은 거인’인 셈이다. 바로가기 ☞https://tv.naver.com/periodictable 용어정리-플로지스톤(phlogiston). 18세기 초 연소를 설명하기 ... ...
- [맛있는 수학] 도우의 변신은 무죄! 토르티야 피자수학동아 l2019년 05호
- 그래왔던 것처럼 양쪽을 접어 가로 방향으로 살짝 곡률의 크기를 늘리면 피자는 빼어난 정리에 따라 가우스 곡률 0을 유지하기 위해 세로 곡률이 0이 돼요. 그래서 피자 조각을 접으면 도우가 구부러지지 않게 되는 거죠. 모양 바꾸기 쉬운 주름진 쌍곡면가우스 곡률을 이해했다면 이제 주름진 ... ...
- [통합과학] 40인의 도둑이 살아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사실 응회암 동굴에 산다?! ‘알리바바와 40인의 도둑들’ 이야기는 중동의 구전문학을 정리한 ‘아라비안 나이트, 천일야화’에 실린 이야기예요. 그래서 알리바바의 이야기를 그린 그림책을 보면 사막이나 낙타, 터번을 두른 남자 등의 그림이 많이 나오지요. 그런데 이 지역에는 화산 때문에 ... ...
- [수동TV] 수프라이즈~수학자들은 24가족?수학동아 l2019년 05호
- 강의할 수 있도록 도우며 든든한 조력자의 역할을 했다. 난제였던 ‘특이점 해소 정리’를 증명하고 1970년에 필즈상을 받은 히로나카 헤이스케. 그는 수학자를 꿈꾸는 많은 이를 독려하고 후학을 양성하는데 힘쓴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런 히로나카를 위대한 수학자이자 훌륭한 스승으로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