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안"(으)로 총 2,006건 검색되었습니다.
- 거짓말 탐지 MRI과학동아 l2012년 03호
- 것은 1991년 미국 일리노이주립대의 로렌스 파웰 박사가 ‘뇌 지문’이라는 개념을 제안하면서부터다. 뇌 지문은 비슷한 자극을 제시하다가 다른 종류의 자극을 섞을 때 300ms(밀리세컨드, 1000분의 1초)에서 나타나는 뇌파인 P300을 측정하는 것이다. P300 뇌파는 범죄수사에 아주 유용하게 쓸 수 있다. ... ...
- Part1. 작아서 강한 큐브샛, 인공위성 성능 뺨친다과학동아 l2012년 03호
- 갖고 있는 우주 레이저 간섭계 기술을 실험하고 확보하자는 취지에서 이 아이디어를 제안했다.2대의 큐브샛이 간섭계 실험을 정교하게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편대를 이뤄 궤도로 올라가야 한다. 방교수팀은 편대비행과 간섭계 실험을 위한 큐브샛의 스펙과 설계 기술, 탑재체 등 ... ...
- 프로젝트를 ‘장악’하는 힘과학동아 l2012년 03호
- 다양한 프로젝트를 한다. 연구실에서 생활한 2년 동안 규장각 리모델링 제안, 아산시 근대문화유산활용 창작벨트 조성사업, 서울 디자인올림픽 전시준비, 여름건축학교 준비 등 많은 일을 했다. 특히 창작벨트 조성사업이 기억에 남는다. 더 이상 기차가 다니지 않는 철도 폐선 부지와 그 옆의 오래된 ... ...
- Intro. 우주의 불꽃축제 감마선폭발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우주의 모습이 점차 드러나고 있다. 또 감마선폭발을 일으키는 새로운 메커니즘이 속속 제안되고 있다. 한편 올해 6월에는 한국 천문학자들이 이끄는 국제연구팀이 ‘유포 패스파인더’라는 새로운 개념의 감마선폭발 관측 장비를 위성에 실어 쏘아 올린다. 차세대 감마선폭발 연구의 출발점이 될 ...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축소판인 셈이다.사실 이 모델은 1960년대 감마선폭발 현상이 처음 관측된 뒤 1973년 제안된 모델이었는데, 감마선폭발이 먼 우주에서 일어나는 사건이라는 게 밝혀진 뒤 잊혀 있었다. 임명신 교수는 “두 연구 그룹을 이끈 캄파나 박사와 퇴네 박사는 스승과 제자 사이”라며 “이들이 한 현상을 전혀 ... ...
- 토륨 원전 vs 우라늄 원전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않게 안정적인 토륨 원전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이론적으로 밝혔다”며, “하지만 처음 제안한 1995년만 해도 이런 원전 시스템을 만들 수 없어서 상업화까지 나아가지 못 했다”고 말했다.루비아 교수의 주장은 2005년 스의스에 0.6GeV대의 실험용 원전 PSI가 만들어지면서 사실상 검증이 됐다. PSI는 약 ... ...
-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이화여대에서는 2006년 광시야각, 확대, 추적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신개념 추적망원경을 제안했다. 2009년 초미세 전기기계시스템(MEMS, 멤스) 기술을 활용한 초소형 추적망원경 탑재체(5kg)를 러시아의 소형 인공위성 타티아나-2에 실어 발사했다.이 경험을 바탕으로, 2009년부터 감마선폭발의 초기광을 ... ...
- 창의적 연구, 즐거운 성취감!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이 때 선생님이 컴퓨터를 인체에 비유하고 부품을 장기에 비유해서 보고서를 써보라고 제안했다. 두 번째 실험은 중학교 1학년 수준. 그렇게 몇 번의 실험을 반복한 끝에 드디어 고등학교 1학년 수준의 보고서를 쓸 수 있었다. 즐거운 연구활동, 재밌는 에피소드 공성덕, 김민찬, 손은우 학생 조는 ...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대한 엄청난 정보가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몇몇 출판사를 찾아가 책을 내자고 제안했어요. 다들 내용은 너무 좋지만 엄두가 안 난다며 거절하더군요. 그래서 결국은 제 돈을 들여 출판하기로 했습니다.”이렇게 해서 2008년 3권으로 된 ‘한국생약자원생태도감’이 나왔다. 총 3696쪽, 무게 15. ... ...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박테리아 속에서 작동한다는 보장도 없기 때문에 먼저 작은 유전자로 시험을 해보자고 제안한 것. 그래서 이들이 선택한 게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이라는 아미노산 14개로 이뤄진 호르몬이다. 보이어 교수는 이들의 결정에 쉽게 동의했지만 시간이 급한 스완슨은 말도 안 되는 얘기라며 펄쩍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