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변
환경
둘레
근처
외주
원주
가장자리
d라이브러리
"
주위
"(으)로 총 3,171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만의 탐구방법을 개발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영향이 크다. 집에서 학교까지 가는 길에 자꾸만 빨간 신호등에 걸리는 이유를 집
주위
지도를 이용해 과학적으로 분석해보겠다.간략하게 그린 지도를 살펴보면 위쪽부터 차례대로 양운초사거리, 대림삼거리, 양운사거리가 있다. 나는 항상 집에서 나와서 대림3차를 거쳐서 횡단보도를 건너서 ... ...
광펌핑 세슘원자시계 KRISS-1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만들어야 하고, 지구나 주변물질이 만들어내는 자기장, 전자파 등도 모두 차단해야 한다.
주위
의 간섭을 받으면 세슘원자가 1초에 91억 9263만 1770번 진동할 수 없기 때문에 정밀한 시간측정에 큰 오차가 생긴다. [표준주파수국(HLA)의 모습. ‘시간표준’을 전파에 실어 내 보내는 작은 방송국이다.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번쩍 떴다.지오는 어리둥절했다. 햇살 아래 드러난 곳은 연월기 몸통 속이었기 때문이다.
주위
는 어젯밤에 잠든 모습 그대로였다.“꿈이었나 봐.”고개를 떨어뜨리던 지오는 화들짝 놀라며 벌떡 일어섰다.“인절미 보따리가 없어. 정말 누나에게 인절미를 준 거야. 꿈이 아니었던 거야.”지오는 ... ...
1984년 발터 게링 교수의 호메오박스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추정했다. 지금 생각해보면 놀라운 선견지명이지만 당시로서는 추측에 불과했고
주위
연구자들은 오히려 생체촉매인 효소의 유전자라고 생각했다.당시 분석방법으로는 해당 유전자의 실체를 밝혀내기는 어려웠기 때문에 연구가 더 진행되지는 못했다. 그런데 DNA를 분자수준에서 조작할 수 있는 ... ...
Part 3. 삼각형으로 지도를 그릴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에헴~. 측량 도구를 들고 나서니 ‘리틀 김정호’ 라도 된 기분이다. 구멍으로
주위
를 둘러보니 시야는 좁아졌지만, 웬만큼 보인다. 그 구멍 사이로 학교가 가장 먼저 눈에 띄었다. 단숨에 학교로 달려갔다. 벅찬 숨을 가다듬고, 학교 건물로부터 가장 먼 운동장 가장자리에 바로 섰다. 과연 학교 ... ...
스마트시대, 우리는 스마트해졌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신경을 끄고 책에 집중해야 한다. 그런데 우리는 본능적으로 산만한 존재다. 산만함이란
주위
의 사소한 환경변화에 끊임없이 반응하는 현상으로 인류가 수렵 채집을 하던 시절에는 생존에 중요한 기능이었다. 사바나 평원 한복판에서 홀로 독서삼매경에 빠져있다면 사자의 밥이 되는 건 시간문제일 ... ...
고려대 봉사단 ‘쿠소’의 뜨거운 8박 9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것은 학생들뿐만이 아니다. 현지 장관급 인사가 직접 앙스페우 중학교를 찾을 정도로
주위
의 관심을 얻었다. 캄보디아 왕립학술원(Royal Academy of Cambodia)의 클롯 티다(Khlot Thyda) 원장은 ‘한국의 교육프로그램이 우수하다’는 말을 전해듣고 현장을 방문했다. 쿠소의 교육과정을 미리 살펴본 ... ...
인공위성이 그린 호랑이의 포효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있던 땅이 밖으로 노출된 것이다.] [귀신 들린 바다 핀란드와 스웨덴 사이 알랜드 제도
주위
에 떠 있는 얼음 조각이 발틱 해의 짙은 바다색을 배경으로 청록색을 띠고 소용돌이치고 있다. 바닷물이 얼어 해빙이 돼 가는 초기 단계에는 수많은 얼음 결정이 바다 위를 떠다니며 물 위에 기름을 띄워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돌아다니므로 효율적으로 청소한다고는 할 수 없다. 하지만 라이다를 이용한 지능로봇은
주위
환경을 지도로 만든 뒤 최적의 경로를 계산해서 움직일 수 있다.박 교수가 개발한 기술은 물체의 3차원 형태를 측정하는 레이저 스캐너에도 쓸 수 있다. 원리는 같다. 레이저가 물체에 반사돼 돌아오는 데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몸을 통해 고이 가져와 뉴런에게 제공한다. 또 뉴런끼리 얘기를 잘 나눌 수 있도록
주위
환경을 조성한다.[뇌 속 뉴런과 신경교세포의 모습 뉴런(➊)이 긴 축색돌기로 전기신호를 보낸다. 돌기교세포(➋)는 뉴런의 축색돌기를 감싸 미엘린(➌)을 만들어 전기신호를 빨리 전달하게 한다. 별교세포(➍)는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