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효과를 낼 수 있는 모든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단순한 교육용 재료나 장난감이 아니라
한계
를 뛰어넘는 기술처럼 자리매김하고 있다. 종이 한 장으로 입체 조형물을 만들어 내는 신비한 기술, 앞으로 어떤 모습으로 진화할지 기대해 보자 ... ...
PART 2. 물리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연구팀은 마침내 1992년 최초의 파란색 LED를 만드는 데 성공한다. 하지만 아직 산업화에
한계
가 있었다. 마그네슘이 문제였다. 정공 역할을 하는 마그네슘의 효율이 매우 낮고 비용도 많이 들었기 때문이다. 마그네슘 불순물 때문에 품질도 좋지 않았다. 구박받던 연구자파란색 LED의 선구자가 ... ...
PART 4. 화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것이다(INSIDE-2 참조). 분자 여러 개가 좁은 공간에 모여 한꺼번에 빛을 내면 회절
한계
때문에 이들을 구별할 수 없다. 하지만 고흐의 점묘법처럼 따로따로 빛을 내도록 한 다음 이를 한데 모으면 초고해상도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베치그는 운 좋게도 미국 보건성에 있는 과학자들의 도움으로 ... ...
[hot science] 초고층의 저주, 수직도시 안녕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건물을 지을 계획이다. 그런데 혹시 근본적으로, 초고층건물이 태생적으로 갖고 있는
한계
는 없을까.◀ 런던 중심가에 건설된 초고층건물 ‘더 샤드’의 68층 실내 전망대.엘리베이터가 초속 6m의 속도로 위로 솟구쳤다. 30초가 채 지나지 않아 도착을 알리는 안내 방송이 나왔다. 엘리베이터 문이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EEG) 기기나 기능적자기 공명영상(fMRI) 장치 등을 활용해 뇌를 연구하곤 하지만 역시
한계
가 있다. 결국 공학, 생물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결합해야만 복잡한 뇌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게 나의 결론이었다.현재 나는 생물학과 의학에 유전공학 기술을 접목해 뇌 회로의 각 단자를 ... ...
[life & tech]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 2014 아티언스 오픈랩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것은 ‘친해지자’였다. 아무리 좋은 주제로 훌륭한 전문가들이 만나도 서로 서먹하면
한계
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직접 만나는 기회를 늘리기 위해 과학자의 공간, 연구소에 직접 들어가기로 했다.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여기에 호응했다. 예술과의 만남이 과학자들에게 새로운 시각을 ... ...
[화보] 열매의 아찔한 유혹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보면서 이 열매엔 어떤 아름다움과 신비로움이 숨겨져 있을지 생각해 보거나, 작업의
한계
를 극복하고 얻게 될 결과물을 상상해 보는 일은 굉장히 도전적이면서도 흥미롭거든요. 여러분도 열매를 관찰해 보면서 그 매력에 빠져 보세요 ... ...
수학 유전자를 찾아라! 아인슈타인 프로젝트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가운데 다른 사람과 차이가 나는 부분을 일컫는다.수학 유전자 찾기의 문제점과
한계
는?미국과 중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수학 유전자 찾기 프로젝트를 두고 많은 유전학자들은 의미 있는 성과를 내지 못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한 이런 연구를 하는 것만으로도 비난 여론이 거세다. 그 이유는 ... ...
[생활] 아이스버킷 챌린지 열풍의 비밀 복잡계 연결망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잘 알려져 있다.복잡계 연결망은 방대한 양의 연결망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데
한계
가 있었기에 발전의 속도가 그다지 빠르지 못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컴퓨터 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예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수준의 자료를 확보하고 계산할 수 있게 되었다.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새로운 공장을 지을 힘은 줄어들지. 몸이 쓸 수 있는 에너지도 줄고 세포의 기능도
한계
까지 떨어져 더 이상 버틸 수 없을 때 병에 걸리거나 죽는 거란다.셋. 자손을 많이 남기는 게 더 중요해생물종이 오래 살아남기 위해서는 젊은 나이에 튼튼한 자손을 낳는 데 좋은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를 많이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