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자
나무궤짝
궤
배
문고
d라이브러리
"
함
"(으)로 총 1,16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Ⅱ 신호등과 컴퓨터의 만남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따라서 교통량에 알맞는 시간계획을 짜려면 교차로에 있는 제어기들을 한 장소에서
함
께 제어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작업은 컴퓨터를 사용해 수행하는데 이를 컴퓨터제어 교통신호체계라고 한다. 이 체계의 구성요소들은 다음과 같다(그림4).그중 중앙 컴퓨터는 시스템의 핵심부로서 ... ...
PARTⅠ 도시교통문제를 보는 시각 달라져야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통행빈도의 증가와 장거리화가 이뤄지고 송용차 보급이 증가
함
에 따라 도시교통수요는 공급시설이 도저히 따를 수 없을 정도로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따라서 이미 자동차 대중화 시대를 이룩한 선진국의 대도시는 도로를 차라리 주차장이라고 불러야 할 정도로 차량정체가 ... ...
10년후엔 「한국형 중급항공기」개발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경우 30~50인승급의 경비행기이며 군용기의 경우 중등 및 고등훈련기를 의미한다.FX사업과
함
께 국내 항공산업을 발전시키는 또하나의 중요한 디딤돌은 HX사업이다. FX가 공군과 관련이 있다면 HX는 육군이 주무처. 현지 육군이 갖고 있는 헬기를 새로운 대체기종으로 바꾸는 사업이다. HX사업규모도 ... ...
PARTⅢ 아피안에서 첨단도로까지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종횡단자료를 이용, 현지형을 입체해석 설계방법인 조감도(3-dimension perspective view)로 검토
함
으로써 도로의 안전성, 주변경관과의 조화여부, 주행의 쾌적성 그리고 환경영향 등을 살필 수 있다. 또 컴퓨터 주행시험(simulation)을 통한 평가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다 ... ...
오른쪽 뇌 훈련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모습을 마음속으로 그린다. 이제는 마음 속으로 연필을 잡으려고 해본다. 여러번 반복
함
으로써 머리 속으로 어떠한 모습도 그릴 수 있게 된다.훈련2눈을 감고 숲속을 혼자 거닐고 있다고 상상해보자 나무가 울창하고 아름답다. 나무의 색깔이 선명하다. 무슨 소리가 들리는지 귀를 기울여보자. 나무 ... ...
반도체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이들 연구소와 대학의 역량을 크게 육성해야 하리라고 본다.90년대에는 이러한 과제와
함
께 차세대 반도체로 불리는 화합물반도체 초격자소자 바이오칩 등의 연구도 게을리해서는 안될것이다. 특히 갈륨비소반도체는 현재의 실리콘칩을 대체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반도체재료로 90년대 중반에는 ... ...
정보화 사회를 향한 기차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지금은 5공청산 등 내부적인 당면과제에만 눈을 돌려 미국의 VAN개방압력에 대해 그 심각
함
을 잘 모르고 있는 듯 하다.VAN이란 무엇인가? 또 VAN은 도대체 우리에게 무엇을 줄 수 있는가? 다시 한번 생각해 볼 때다.또 부가가치란 무엇인가? 어떻게 하면 전자를 정보로 만들 수 있으며 통신망을 VAN으로 ... ...
암의 메커니즘까지 밝혀낸 분자생물학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성장인자의 수용체를 겨냥하는 기법도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성장인자와 강력한
함
암약제를 묶어 '발사'하면 몸 안에 있는 수용체만을 찾아가므로 정상세포에는 손상을 입히지 않는다. 기억을 분자식으로90년대에는 분자생물학이 더욱 만개할 것이 분명하다. 특히 유전자 재조합기술은 ... ...
빛이 만들어 내는 찬란
함
색체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있다.일본에서는 표준기관과는 별도로 색체연구소가 설립되어 있어서 색의 측정과
함
께 색의 기호도조사, 색디자인 등을 연구하고 있으며 표준색도감을 제작하고 있다. 색체연구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측색기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일본 표준기관인 EIL로부터 교정받은 반사율 표준판을 ... ...
PARTⅢ 리액터 REACTOR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있다. 앞으로는 발효산물마다, 또는 각 공정마다 전문가들의 경험을 소프트웨어화
함
으로써 어디서나 생산성 높은 생물공정을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생물전문가 시스템(bioexpert system)이 개발·활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 효율 높은 바이오리액터와 생물전문가시스템의 만남은 거의 모든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