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뉴스
"
남아
"(으)로 총 2,432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중계] NASA 화성탐사선 착륙 시도 19일 오전 5시 48분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크기의 퍼시비어런스. NASA 제공 퍼서비어런스는 화성에서 고대 생명체의 자취가
남아
있을 법한 토양을 발견하면 이를 채취해 시료 보관함 ‘캐시(Cache)’에 담아 보관해야 하는 중대한 임무를 맡았습니다. 시료를 찾아 캐시에 보관해 놓으면 향후 ‘화성 시료 귀환(MSR‧Mars sample return)’ 프로젝트를 ... ...
[사이언스N사피엔스]성당의 스팬드럴과 진화론
2021.02.18
비판이 줄을 이었다. 과학자들의 뇌리 속에는 우생학 등 ‘나쁜 과학’의 기억이
남아
있다. 사회생물학이 세상의 불공평이나 차별을 유전자의 이름으로 정당화한다는 비난은 어쩌면 당연한 반작용이었는지도 모른다. 그 선봉격이었던 사람이 하버드 대학의 윌슨과 같은 건물에 있었던 굴드와 ... ...
설 연휴 맑고 포근해요…아침 안개 주의
동아사이언스
l
2021.02.10
중심으로 안개가 끼는 곳이 많고 낮 동안에도 안개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연무로
남아
있는 지역이 많을 것으로 예상했다. 서해상에도 바다 안개가 발달하면서 일부 해상의 가시거리가 100m 이하로 짧아질 것으로 분석됐다. 기상청은 “서해안 지역 대교를 이용하는 운전자는 안개가 낀 경우 차량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코로나19 키워드 'RNA'는 어떤 물질인가
2021.02.09
조절자’라고 요약할 수 있다. 현재 DNA와 단백질이 담당하는 기능이 RNA에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생명의 기원이 되는 지구 역사상 첫 유전물질이 DNA보다 RNA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하는 과학자들도 많다. 생명현상 유지에 필요한 유전과 효소 기능의 대부분을 DNA와 단백질에 넘기고 RNA는 조절 ...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75만명분 2월 마지막주 국내 공급"
동아사이언스
l
2021.02.08
되는 상황”이라며 “이후 당국과 화이자 간의 공급 계약과 운송 계획 등 행정 절차도
남아
있다”있다고 말했다. 이어 “통제하기 어려운 그런 절차들이 있는 상황”이라며 “이에 따라 조금 공급 일정은 조정이 될 여지가 있다”고 덧붙였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앞서 지난달 20일 “코백스 ... ...
中 우한 간 WHO조사단이 밝힌 '중요한 단서' 동물·인간 매개 흔적 찾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2.08
다스작 대표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우한시장에 남겨진 장비나 기구 등에 증거가
남아
있었다”며 “우한 수산시장에 대한 조사가 가장 유의미했다”고 밝혔다. 우한 수산시장을 특정해 유의미한 증거를 발견했다는 발언으로 볼 때 그동안 코로나19의 기원으로 여겨졌던 야생 동물 거래로 ... ...
WHO 국제조사단 “우한 수산시장에서 코로나 발원 실질적 단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02.07
직후 청소됐지만, 사람들이 서둘러 떠나면서 놓고 간 장비와 기구에 여전히 증거가
남아
있었다”며 “수산시장에 대한 조사가 가장 유의미했다”고 밝혔다. 다스작 대표가 지목한 수산시장은 우한시 중심에 위치한 화난(華南) 수산시장이다. 2019년 12월 최초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하면서 ... ...
코로나19 신규 확진 372명…사흘째 300명대
동아사이언스
l
2021.02.07
높은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감염 사례도 계속 늘어나고 있어 재확산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다. 전날 기준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는 누적 51명이다. 이날 지역발생 326명 중에서는 서울이 141명으로 가장 많고, 경기 109명, 인천 15명이 나왔다. 수도권에서 발생한 신규 확진자는 265명으로 ... ...
손톱 크기 '나노 카멜레온' 세계서 가장 작은 파충류 '도전'
연합뉴스
l
2021.02.02
작아진 척추동물이 많이 있다"면서도 B. 나나가 작아진 이유는 아직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고 했다. 작은 섬에 사는 동물의 크기를 작게 만드는 '섬 효과'로 일부 카멜레온 종의 몸집이 작아지기는 했으나 B. 나나는 마다가스카르 본섬의 산악지대에 살아 섬 효과로는 설명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다. ... ...
인류 발달 토대 엄지손가락 진화 약 200만년 전 이뤄져
연합뉴스
l
2021.01.29
때의 작용 등을 분석해 12개 화석 인류의 엄지손가락 사용 기술을 측정했다. 그 결과,
남아
프리카공화국 스와르트크란스 유적에서 출토된 약 200만년 전 화석 인류가 현대인과 비슷하게 엄지손가락을 사용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화석은 초기 사람속이거나 사람아족 내 다른 속인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