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뉴스
"
지점
"(으)로 총 1,611건 검색되었습니다.
6600만년 전 그날 거대한 불덩어리가 떨어졌다…소행성 충돌 직후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19.03.31
'암석 비' 때문에 곳곳에서 큰 불이 났을 것으로도 추정했다. 이곳은 소행성이 떨어진
지점
으로부터 3000km나 떨어져 있다. 연구를 이끈 로버트 드팔마 연구원은 "담수 어류와 육상 척추동물, 나뭇가지와 통나무, 암모나이트 등 해양생물 등이 쓰나미에 한데 휩쓸려 왔다"면서 "일반 쓰나미였다면 ... ...
아직 조사중인데…연구비 끊고 장비사용료 지급 일방 중단
동아사이언스
l
2019.03.28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장비이용 대금은 신 총장을 둘러싼 의혹에서 중요한 논쟁
지점
중 하나다. DGIST는 2012년 2월 LBNL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같은 해 7월 DGIST 내에 연구협력센터를 설립하며 협력연구를 시작했다. 이 센터를 바탕으로 DGIST는 한국연구재단의 공동연구센터 사업을 수주했다. ... ...
해수 담수화에 쓰이는 '분리막' 오염 실시간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6
막 오염과 막 젖음이 서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막 젖음이 막 오염이 일어난
지점
에서 발생하는지 확인되지 않았다. 기존의 막 젖음을 확인하는 기술은 생산된 담수에 해수가 섞일 때 이온 농도 증가를 측정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막 증류 분리막에 막 오염이나 막 젖음 ... ...
'지열발전이 포항지진 촉발'…CO₂해저저장연구에도 '불똥'
연합뉴스
l
2019.03.22
권이균 공주대 교수는 "이산화탄소 저장 실증시설은 알려진 단층대에서 멀리 떨어진
지점
을 선정해 만든 것"이라며 "실증시설 인근에서는 2017년 이후 지진이 발생한 적이 한 번도 없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산화탄소 저장실증은 지열발전과 많은 측면에서 다르고 온실가스 감축 기술 ... ...
김해 장유소각장 다이옥신 측정 과정 논란 속 '공개'
2019.03.22
주장하기도 했다. 김해시 측은 "내달 환경영향평가에선 반경 2.5㎞ 이내 구역에 대해 7개
지점
에서 측정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해시는 21일 소각장 증설 반대 주민비대위가 참관을 거부한 가운데 주민협의체 간부와 일부 주민 등에게 부산시보건환경연구원의 다이옥신 측정 과정을 공개했다. ... ...
몸집 커진 미세먼지 관측항공기 더 많은 장비·연구원 싣고 하늘 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2
관련해 지상과 인공위성 정보는 우리가 가지고 있지만 지상과 위성 정보 그 중간
지점
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며 “미세먼지 사업단에서 24억 투자해 중형항공기를 개조했다”고 말했다. 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거센 바람으로 이리저리 흔들리던 항공기는 구름을 뚫고 고도 1300m까지 ... ...
우량 정자 대량 생산,50년전 얼린 정자 해동…스펌 엔지니어링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1
쪽으로 진화했다. 연구팀은 정자가 중추신경계나 근육이 없이 어떻게 움직이고 어떤
지점
에서 방향을 트는지 연구할 계획이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지' 19일자에 실렸다. 50년간 얼렸던 정자로 임신-출산 성공률 61% 50년 동안 동결보존했던 정자로 메리노 양 34마리를 탄생시키는 데 ... ...
'수학 노벨상' 아벨상 첫 여성 수상자에 '수학계 여성 롤모델' 울렌베커 교수
2019.03.20
울렌베커 교수는 이를 유한한 요소로 나누어 대략적으로 해석한 이후 해석이 되지 않는
지점
을 다시 들여다봐 문제를 별도로 해결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문제를 모든 곳에서 풀 수 없으므로 대략적 답을 얻은 후 답에서 나오는 한계를 극복하는 방식으로 접근한 것이다. 울렌베커 교수의 가장 ... ...
포항지진 진원지 위치·지진 후 지하수위 변화…지난해 연구와 다른 점은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나타났다. 당시 사이언스지에 실었던 연구결과에서는 진원지를 1번 지열정 바로 아래 150m
지점
으로 추측했었다. 2번 지열정의 주입으로 인한 영향이 컸다는 것이 이번에 새롭게 드러나면서 2번 지열정을 분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촉발지진이라는 예측을 한 것이다. 복합적인 검증 방법을 통해 ... ...
포항지진은 촉발지진…진원 깊이 등 남은 쟁점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0.01초에 한 번씩 측정이 가능하므로, 더 짧은 시간은 분간이 어렵다. 그러므로 어떤
지점
을 P파 도달 시점으로 특정하느냐에 따라 진원의 깊이가 4~6㎞로 달리 측정되는 큰 오차가 날 수 있다는 게 홍 교수의 설명이다. 같은 자료를 바탕으로 홍 교수 연구팀이 추정한 진원의 깊이는 6.1㎞다.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