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스페셜
"
눈
"(으)로 총 1,335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삶이 허무하게 느껴질 때
2018.06.23
목도리나 모자 등을 만들면서 아직 뭔가 할 수 있다는 희망을 느꼈다고 한다. 한 여성은
눈
을 실명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이제 삶이 끝장났다는 절망에 빠져 있었는데 우연히 뜨개질을 시작하게 되었고, 마침 어렸을 때 배웠던 게 아직 남아있어서 보이지 않아도 뜨개질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위로가 필요한 나에게 무슨 말을 할까?
2018.06.02
그런 위험하고 힘든 상황에 처하지 않았으면 좋겠어. 네가 행복했으면 좋겠어.’
눈
을 뜨고 이번에는 내 앞 사람을 바라보며 속으로 축복의 말을 건네는 시간을 가졌다. 나에게 그랬듯 이 사람에게도 나름의 어려움들이 있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당신에게도 불합리하고 부조리한 일들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강간범과 일반인의 차이
2018.05.26
것은 또 얼마나 해로운 걸까? 강간을 포르노화 하고 큰 고민 없이 강간 장면을
눈
요깃거리로 사용하곤 하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쉬이 전시하는 미디어는 또 어떤가? GIB 제공 남자는 울면 안 된다든가 남자는 공감 능력이 떨어진다는 류의 편견 역시 남성으로 하여금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홍대 누드모델 몰카' 사건에 주목하는 또다른 이유
2018.05.19
나만 잘 하면 다 잘 될 거라는 희망을 주는 한편 차별을 정당화하고 존재하는 문제에
눈
과 귀를 막아 결과적으로 체제 유지(system justification)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ost & Hunyady, 2003). 현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는 이러한 체제 유지 동기는 보통 사회적 변화가 심한 시기에 더 강하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왜 효자손이 필요할까
2018.05.08
어르신들이 몸 여기저기를 긁거나 바지를 무릎 위로 올리는 모습을 보더라도 그다지
눈
살을 찌푸리지 않을 것 같다. 그리고 부모님이 등이 가렵다며 효자손을 찾는 모습을 본다면 얼른 가서 효자손 대신 내 손으로 등을 시원하게 긁어드려야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이 지나치게 통제하는 부모의 공통점
2018.05.05
Barber & Harmon, 2002). 아이뿐만 아니라 부모에게도 분리불안이 나타난다 우선 자녀가
눈
앞에 보이지 않는 등 자녀와 물리적으로 떨어지는 것이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신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이 줄어들 것을 두려워한다. 아이의 자율성과 독립심을 자연스러운 성장 과정으로 받아들이기보다 ... ...
‘백두산 과학기지’에서 분화 모니터링 한다
과학동아
l
2018.04.27
만든다면 백두산 분화 위험을 경보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며 “땅 속에 있어
눈
에 보이지 않는 마그마방을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백두산 공동연구는 지금까지 북한이 3차례에 걸쳐 제안하며 시행 목전까지 왔지만 결실을 맺지 못했다. 2007년 12월 남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넘쳤다. 패스트푸드점에서 필자와 대화를 나누며 튀긴 닭을 맛있게 먹던 모습이
눈
에 선하다. 헤어질 때 장 교수는 필자에게 2007년 제작한 ‘장현갑 박사의 마음챙김 명상’ CD세트를 선물로 줬다. CD 세 장으로 이뤄져 있는데 다양한 명상법을 장 교수가 직접 설명하고 있다. 필자는 이 가운데 CD2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무는 어떻게 겨울잠을 잘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4.14
잎의 기공이 닫히게 하는 역할을 해 식물 내 수분을 유지시킨다. 실제 휴면 중인 식물의
눈
이나 알뿌리, 종자 등에 아브시스산이 많이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겨울이 되고 식물이 빛에 노출되는 낮의 길이가 줄어들면 아브시스산과 해당 호르몬 수용체가 늘어나면서 반응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이 독재하는 나라
2018.04.07
것은 다른 문제다. ‘그래도 아직 나는 대단한 사람이라고!’라고 생각하고 싶어서
눈
앞의 문제들을 부정하고 나는 아직 잘 나가고 있다던가 이런저런 문제들은 다 내가 아닌 ‘남의 탓’이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스스로를 얼마나 많이 좋아하거나 좋아하지 않느냐(자존감의 높낮이)와 상관 없이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