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계
천하
천지
세태
사회
지구
인류
스페셜
"
세상
"(으)로 총 936건 검색되었습니다.
본다는 것의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있는 것이다. ‘이 얼마나 낭비인가’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어차피 동영상
세상
에서 살아가야 하는 동물에게 고정된 영상에 효율적인 별도의 시스템이 진화했을 리는 없다. 2000년 생체분자의 입체(3차)구조를 알 수 있는 X선 결정학 방법으로 로돕신의 구조가 처음 밝혀진 이래 활성화된 형태의 ... ...
세상
을 바꾸고,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기술_반도체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1948년, 트랜지스터의 발명은 전 세계를 요동치게 만들었고 이후 IT업계의 판도를 완전히뒤바꾸어 놓았다. 집적회로 개발 이후 반도체 기술은 빠르게 발전했으며 금새 생활 곳곳에 반도체가 사용되지 않은 곳이 없는 ‘반도체 시대’가 열렸다. 이와 함께 인텔, 삼성 등의 기업들은 최신 반도체를 속 ... ...
미래창조과학부 성공의 조건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4.30
사회·경제적 양극화를 해소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생각이 바뀌지 않으면
세상
도 바뀌지 않는다"는 아인슈타인의 말처럼 새로운 시각으로 신설된 미래창조과학부의 탄생이 과학기술계와 우리나라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으로 기대한다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
에 빛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그러나 이 실험은 앞에서 언급했던 두 종류의 실험처럼 만만하지가 않다. 무엇보다 어려운 점은, 우리가 원하는 결과를 얻으려면 모든 실험 장치를 엄청나게 작게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애석하게도 지금의 과학 기술로는 전자 규모의 초미세 실험 기구를 만들 수가 없다. 따라서 이 실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되지 못했다”라고 회상했다. 볼츠만의 제자이자 슈뢰딩거의 스승인 하젠욀은 1915년
세상
을 떠날 때까지 10여 년 간 오스트리아 물리학계를 이끌었다. 하젠욀은 1874년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의 수도 빈의 한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나 당대 최고 물리학자였던 프란츠 엑스너와 볼츠만에게 물리학을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리타 레비-몬탈치니가 12월 30일 103세로 별세했다. 12월 30일 또 한 명의 위대한 과학자가
세상
을 떠났는데, 그가 바로 미국 일리노이대 칼 우즈(Carl Woese·‘칼 우스’라고도 쓰는데 발음기호를 보니 ‘z’다) 교수다. 위의 두 사람처럼 노벨상을 받지는 못했지만 1977년 우즈가 박사후연구원이었던 조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이끄는 모습을 봤을 때”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그와 51년을 함께 한 아내는 2009년 먼저
세상
을 떠났는데 샛킨은 마지막 날까지 매일 아내의 무덤을 찾아 침묵 속에 잠시 머물렀다고 한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침팬지는 95% 정도 일치한다는 것. 이 논문을 쓴 로이 브리튼(Roy Britten)이 올 초 93세로
세상
을 떠났다. 미국 워싱턴DC에서 태어난 브리튼은 버지니아대에서 물리학을 공부한 뒤 제2차 세계대전 때는 맨해튼프로젝트에 참여했다. 그 뒤 학교로 돌아와 1951년 프린스턴대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 2012. 8. 3) 상온핵융합, 사기는 아니었다! 과학에 관심이 많은 40대 이상인 사람들은 1989년
세상
을 떠들썩하게 했던 ‘상온핵융합(cold fusion)’ 발표 해프닝을 기억할 것이다. 중수(D2O)에 팔라듐 전극을 담그고 전류를 흘려주면 중수소분자가 생기는데 이 과정에서 30℃인 용액이 50℃까지 올라가 수일 간 ... ...
“3D업종이라고요? 미래농업은 상상이상을 보여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5.07
확대하기 위해서죠. 당장 눈앞에 결과가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가만히 있으면 안 됩니다.
세상
에 당연하게 이뤄지는 일은 없어요.” 농진청의 1년 연구개발 예산은 5000억 원 정도. 이 돈으로 자체 연구를 하면서 학계와 공동으로 진행하는 바이오그린21사업도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농업생명공학의 ... ...
이전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